$\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정된 KGE 방법을 활용한 지점, 인공위성, 재분석 자료 기반 증발산 융합 기술
Merging technique for evapotranspiration based on in-situ, satellite, and reanalysis data using modifed KGE fusion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 2019년, pp.61 - 70  

백종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  정재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  박종민 (메릴랜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최민하 (성균관대학교 수자원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제증발산 자료를 융합하기 위한 Modified Kling-Gupta efficiency Fusion (KGF)방법을 제시하였고, 인공위성 및 재분석 증발산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MODIS Global Evapotranspiration Project (MOD16)를 활용하여 Simple Taylor skill's Score (STS)와 비교하였다. 한반도와 중국의 세가지 land cover type(i.e., cropland, grassland, forest)을 가진 flux tower에서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제증발산의 융합 방법인 STS와 KGF로 계산된 가중치의 결과를 확인하면, cropland와 grassland에서 재분석 자료(GLDAS, GLEAM)가 높은 가중치 영향을 나타내지만, forest에서 융합 방법에 따라 가중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제증발산 융합 방법 적용 결과의 비교에서는 cropland에서는 융합에 사용된 자료에 비하여 높은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grassland와 forest 에서는 개선이 이뤄졌다. 두 방법 중 KGF의 결과가 STS의 결과에 비하여 약간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ified Kling-Gupta efficiency fusion method to merge actual evapotranspiration was proposed and compared with the simple Taylor skill's score method using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MODIS Global Evapotranspiration Project (MOD...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 자료의 융합 방법을 다루었으며, 최근 Yao et al. (2017)에서 제안된 Simple Taylor skill’s Score(STS)를 이용하여 융합한 증발산 자료와 비교하여 modified Kling-Gupta efficiency (KGE)를 기반으로 융합하는 방법인 KGE Fusion (KGF)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2017)에서 제안된 Simple Taylor skill’s Score(STS)를 이용하여 융합한 증발산 자료와 비교하여 modified Kling-Gupta efficiency (KGE)를 기반으로 융합하는 방법인 KGE Fusion (KGF)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융합된 증발산을 비교함으로써 기존 STS 방법과 KGF 방법 간의 차이를 확인해보고, 융합 방법의 적절성에 대해서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인공위성 자료인 MOD16, 재분석 자료인 GLDAS, GLEAM 자료들을 한반도와 중국의 7개 flux tower 지점에서 세 가지의 land cover type에 따라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각 토지피복의 차이에 따른 융합방법을 적용한 실제증발산의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에서 이용 가능한 플럭스타워(flux tower) 지점을 파악하였다. 동북아시아 영역에서 주요 토지피복에 해당하는 농경지(cropland), 초지(grassland), 산림지(forest)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소 3년 이상이 실제증발산이 연속적으로 관측되는 지점만을 선별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 Yao et al. (2017)가 제안한 Taylor skill score (TS) 방법을 기반으로 한 Simple TS (STS)방법을 적용하여 융합 실제증발산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증발산은 체감하기는 어려우나, 물 순환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강우량의 약 60∼70%를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정확하지 않은 증발산량 추정은 물 순환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큰 불확실성을 가져오게 되므로, 정확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Seo et al., 2017).
수문기상인자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수문기상인자들은 나라, 지역, 식생 등에 따른 특성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인공위성, 지점, 모델 등 관측기반이 다른 생산물(Product)들의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문기상인자를 최적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증발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지점에서물의 증발량을 직접 측정하는 Pan증발량, 단순 가정 및 경험식, 물리식 등이 있으며, 증발량을 측정 및 추정함으로써 특정지점에서의 증발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Lee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ik, J., and Choi, M. (2015). "Evaluation of remotely sen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rom COMS and MODIS at two different flux tower sit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6, No. 1, pp. 375-402. 

  2. Baik, J., Liaqat, U. W., and Choi, M. (2018a). "Assessment of satellite and reanalysis-based evapotranspiration products with two blending approaches over the complex landscapes and climates of Australi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263, pp. 388-398. 

  3. Baik, J., Jeong, J., and Choi, M. (2018b). "Estimation of the optimal evapotranspiration by using satellite- and reanalysis modelbased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3, pp. 273-280. 

  4. Baik, J., Park, J., Ryu, D., and Choi, M. (2016). "Geospatial blending to improve spatial mapping of precipitat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by merging satellite-based and ground-based data". Hydrological Processes, Vol. 30, No. 16, pp. 2789-2803. 

  5. Cheema, M. J. M., and Bastiaanssen, W. G. M. (2012). "Local calibration of remotely sensed rainfall from the TRMM satellite for different periods and spatial scales in the Indus Basi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3, No. 8, pp. 2603-2627. 

  6. Chen, S., Chen, J., Lin, G., Zhang, W., Miao, H., Wei, L., Huang, J., and Han, X. (2009). "Energy balance and partition in Inner Mongolia steppe ecosystems with different land use typ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49, No. 11, pp. 1800-1809. 

  7. Duan, Z., and Bastiaanssen, W. G. M. (2013). "First results from Version 7 TRMM 3B43 precipitation product in combination with a new downscaling-calibration proced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31, pp. 1-13. 

  8. Ehret, U., (2003). Rainfall and Flood Nowcasting in Small Catchments Using Weather Radar. Ph. D Thesis. University of Stuttgart, Germany, Germany. 

  9. Jeong, J., Baik, J., and Choi, M. (2018) "Estimation of dryness index based on COMS to monitoring the soil moisture status at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2, pp. 89-98. 

  10. Khan, M. S., Liaqat, U. W., Baik, J., and Choi, M. (2018). "Stand-alone uncertainty characterization of GLEAM, GLDAS and MOD16 evapotranspiration products using an extended triple collocation approach."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252, pp. 256-268. 

  11. Kim, H., Parinussa, R., Konings, A. G., Wagner, W., Cosh, M. H., Lakshmi, V., Zohaib, M., and Choi, M. (2018). "Global-scale assessment and combination of SMAP with ASCAT (active) and AMSR2 (passive) soil moisture produc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204, pp. 260-275. 

  12. Kim, K., Baik, J., Lee, J., Lee, Y., Jung, S., and Choi, M. (2016). "An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Gap-Filling Techniques for Revising Missing Data of Flux Tower based Evapotranspiration-FAO-PM, MDV, and Kalman Filter."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6, pp. 95-107. 

  13. Kim, S., Parinussa, R. M., Liu, Y. Y., Johnson, F. M., and Sharma, A. (2015). "A framework for combining multiple soil moisture retrievals based on maximizing temporal correl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42, No. 16, pp. 6662-6670. 

  14. Kling, H., Fuchs, M., and Paulin, M. (2012). "Runoff conditions in the upper Danube basin under an ensemble of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Vol. 424, pp. 264-277. 

  15. Lee, M. J., Han, K. S., and Kim, I. H. (2011).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ulti-Satellite Data over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4, pp. 145-151. 

  16. Liu, C., Shu, S., and Gao, W. (2013). "Improved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 estimation of community land model by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assimilation." In Remote Sensing and Modeling of Ecosystems for Sustainability X (Vol. 8869, p. 886917).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doi: https://doi.org/10.1117/12.2021713. 

  17. Mueller, B., Seneviratne, S. I., Jimenez, C., Corti, T., Hirschi, M., Balsamo, G., Ciais, P., Dirmeyer, P., Fisher, J. B., Guo, Z., Jung, M., Maignan, F., McCabe, M. F., Reichle, R., Reichstein, M., Rodell, M., Sheffield, J., Teuling, A.J., Wang, K., Wood, E. F., Zhang, Y. (2011). "Evaluation of global observations-based evapotranspiration datasets and IPCC AR4 simula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8, No. 6, L06402. 

  18. Seo, H., Kim, J., Park, H., and Kim, Y. (2017).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with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t Fluxnet Sites Over As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2, pp. 303-310. 

  19. Shin, S. C., and An, T. Y. (2007). "Development of Estimating Method for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0, No. 2, pp. 71-81. 

  20. Sun, Z., Wang, Q., Ouyang, Z., Watanabe, M., Matsushita, B., and Fukushima, T. (2007). "Evaluation of MOD16 algorithm using MODIS and ground observational data in winter wheat field in North China Plain." Hydrological Processe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21, No. 9, pp. 1196-1206. 

  21. Vinukollu, R. K., Wood, E. F., Ferguson, C. R., and Fisher, J. B., (2011). "Global estimates of evapotranspiration for climate studies using multi-sensor remote sensing data: evaluation of three process-based approach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5, No. 3, pp. 801-823. 

  22. Wang, H. M., Saigusa, N., Zu, Y. G., Wang, W. J., Yamamoto, S., and Kondo, H. (2008). "Carbon fluxes and their response to environmental variables in a Dahurian larch forest ecosystem in northeast China."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Vol. 19, No. 1, pp. 1-10. 

  23. Yao, Y., Liang, S., Li, X., Zhang, Y., Chen, J., Jia, K., Zhang, X., Fisher, J., Wang, X., Zhang, L., Xu, J., Shao, C., Posee, G., Li, Y., Magliulo, V., Varlagin, A., Moors, E. J., Boike, J., Macfarlane, C., Kato, T., Buchmann, N., Billesbach, D. P., Berimger, J., Wolf, S., Papuga, S. A., Wohlfahrt, G., Montagnani, L., Ardo, J., Paul-Limoges, E., Emmel, C., Hortnagl, L., Sachs, T., Gruening, C., Gioli, B., Lopez-Ballesteros, A., Steinbrecher, R., and Gielen, B. (2017).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from Landsat data using a simple Taylor skill fusion method." Journal of Hydrology, Vol. 553, pp. 508-526. 

  24. Yilmaz, M. T., Crow, W. T., Anderson, M. C., and Hain, C. (2012). "An objective methodology for merging satellite-and model-based soil moisture produc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11, W11502. 

  25. Yu, G., Fu, Y., Sun, X., Wen, X., and Zhang, L. (2006). "Recent progress and future directions of ChinaFLUX." Science in China Series D: Earth Sciences, Vol. 49, No. 2, pp.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