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남방큰돌고래 반향정위 클릭음 특성 분석
Analysis of echolocation click signal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8 no.1, 2019년, pp.56 - 65  

최강훈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  윤영글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  김선효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  김현수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  최지웅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  배호석 (국방과학연구소) ,  박경주 (해군사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방큰돌고래(Tursiops aduncus)는 클릭음을 사용하는 이빨고래로써 국외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남방큰돌고래의 클릭음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사육중인 개체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국내에서는 휘슬음에 관한 연구만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야생개체의 남방큰돌고래 클릭음에 대한 음향특성을 분석하였다. 음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음향 파라미터인 신호 길이, 첫 번째 피크 주파수, 두 번째 피크 주파수, 3 dB 대역폭 및 10 dB 대역폭을 산출하였으며 호주 서식 종의 클릭음 음향특성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신호 길이는 평균 $38{\mu}s$를 나타냈고 대부분의 클릭음이 $20{\mu}s-60{\mu}s$ 범위 내에 속하였다. 2종류의 대역폭의 경우 협대역과 광대역의 주파수 특성 모두 나타냈으며, 첫 번째 피크 주파수(평균 $96kHz{\pm}18kHz$)와 두 번째 피크 주파수(평균 $69kHz{\pm}19kHz$)를 통해 바이모달 신호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are a toothed whale using echolocation clicks and have been studied continuously abroad. However, most studies on this whale's clicks were performed about captive animals and, in Korea, only the studies of the whistle sounds of this animal wer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17년 6월 14일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남방큰돌고래를 육상 정점조사한 후 자동 기록 수중청음기를 통해 남방큰돌고래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신호 중 클릭음을 추출하여 음향 특성을 분석하였다. 음향 파라미터인 신호 길이, 첫 번째 피크 주파수, 두번째 피크 주파수, 3 dB 대역폭, 10 dB 대역폭을 통해 클릭음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였고 호주 서식 종과 비교함으로써 서식 해역에 따른 음향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 신호 길이는 클릭음 에너지의 최대값으로부터 10 dB 작은 에너지를 갖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의 간격으로 계산하였고, 첫 번째 피크 주파수와 두 번째 피크 주파수는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에서 최대 에너지를 갖는 주파수와 그 다음 최대 에너지를 갖는 주파수로서 검출하였다. 3 dB 대역폭과 10 dB 대역폭은 첫번째 피크 주파수의 에너지보다 각각 3 dB, 10 dB 낮은 에너지를 갖는 두 주파수의 간격으로 계산하였다.[3,11]
  • 남방큰돌고래 클릭음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클릭음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구간과 고래 소리가 없는 주변소음 구간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비교하였다(Fig. 3). Fig.
  • 각 신호 구간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는 약 10 kHz 이상의 주파수부터 주변소음보다 클릭음에 의한 에너지가 우세하였고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ig3(b)]. 따라서 클릭음이 우세한 주파수 대역만 분석하기 위해 수신신호에 10 kHz 이상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 남기는 고역통과 여파기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역통과 여파기는 MATLAB 내부함수인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 추출된 클릭음으로부터 다중 클릭음 파형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대부분 첫 번째 클릭음이 그 뒤에 수신된 클릭음들보다 큰 에너지를 갖고 수신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다중 클릭음 중 가장 첫 번째 수신된 클릭음에 대한 특성만을 분석하였는데, 다중 클릭음이 남방큰돌고래가 직접 발생시키는 소리일 가능성도 있으나 개체의 정확한 수심이나 수중청음기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없고 해수면 및 해저면과 같은 경계면에 반사되어 수신된 신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에[11] 직접 경로로 추정되는 첫 번째 클릭음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따라서 추 후에는 단일클릭음, 이중 클릭음 및 삼중 클릭음 등의 클릭음 파형 구조에 따른 음향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개체의 행동학적 특성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수신된 신호 중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음향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음향 파라미터의 분포 특성 및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식지에 따라 동일 고래 종의 음향 신호에 대한 특성이 다르므로[21] 호주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의 클릭음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3 dB 대역폭은 평균 35 kHz ± 11 kHz와 14 kHz - 93 kHz의 범위, 10 dB 대역폭은 88 kHz ± 32 kHz와 24 kHz - 164 kHz의 범위로써 협대역 주파수와 광대역 주파수를 고루 갖는 특성을 보였다. 서식 해역에 따른 음향파라미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호주 북서쪽 연안(exmouth gulf north west cape)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의 음향 특성 연구 결과[3]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Table 1). 호주 서식 종의 클릭음 신호 길이는 평균 14 µs ± 2 µs와 10 µs - 19 µs의 범위로 제주 서식 종이 평균값 대비 약 3배 더 긴 클릭음을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서 연중 관찰이 가능한 야생 남방큰돌고래를 대상으로 음향 신호를 직접 수집하였다. 수신된 신호 중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음향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음향 파라미터의 분포 특성 및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식지에 따라 동일 고래 종의 음향 신호에 대한 특성이 다르므로[21] 호주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의 클릭음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클릭음의 정확한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주변소음보다 충분히 높은 신호대잡음비(20 dB 이상)를 갖는 신호만을 선택하여 총 1,596개의 클릭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클릭음 중 1 ms 내에 여러 개의 펄스가 수신된 경우 남방큰돌고래가 직접 발생시키는 신호인지 경계면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된 신호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1 ms 내에 포함된 신호 중 첫 번째 펄스 구간을 음향 특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된 음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MATLAB(Mathworks, USA)을 이용하여 파워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 PSD)와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Energy Spectral Density, ES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크기는 1,024, 주파수 분해능은 375 Hz였고 창함수는 해닝(hanning) 창함수를 이용하였다.
  • 클릭음의 파형과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도출한 음향 파라미터는 신호 길이(signal duration), 첫 번째 피크 주파수(1st peak frequency), 두 번째 피크 주파수(2nd peak frequency), 3 dB 대역폭(Bandwidth), 10 dB 대역폭(Bandwidth)이며 본 논문에서는 남방큰돌고래의 위치추정이 불가능하여 음원 준위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신호 길이는 클릭음 에너지의 최대값으로부터 10 dB 작은 에너지를 갖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의 간격으로 계산하였고, 첫 번째 피크 주파수와 두 번째 피크 주파수는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에서 최대 에너지를 갖는 주파수와 그 다음 최대 에너지를 갖는 주파수로서 검출하였다. 3 dB 대역폭과 10 dB 대역폭은 첫번째 피크 주파수의 에너지보다 각각 3 dB, 10 dB 낮은 에너지를 갖는 두 주파수의 간격으로 계산하였다.
  • 음향 파라미터의 분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였다(Fig. 5). 신호 길이는 20 µs - 60 µs 범위의 클릭음이 88 % 이상의 분포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클릭음이 이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0 µs 이하의 신호 길이를 갖는 클릭음은 약 2.
  • 2017년 6월 14일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남방큰돌고래를 육상 정점조사한 후 자동 기록 수중청음기를 통해 남방큰돌고래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신호 중 클릭음을 추출하여 음향 특성을 분석하였다. 음향 파라미터인 신호 길이, 첫 번째 피크 주파수, 두번째 피크 주파수, 3 dB 대역폭, 10 dB 대역폭을 통해 클릭음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였고 호주 서식 종과 비교함으로써 서식 해역에 따른 음향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 남방큰돌고래 클릭음의 신호 길이는 평균38 µs로 대부분의 클릭음이 20 µs - 60 µs 범위 내에 속하였다.
  • 1). 음향조사는 2017년 6월 14일에 육상 정점조사를 통해 남방큰돌고래 무리의 위치 확인 후 보트로 접근하여 자동 기록식 수중청음기(self-recording hydrophone, SM3BAT/H1, Wildlife Acoustics, Inc., USA)를 이용해서 남방큰돌고래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였다. 수신 당시 수중청음기는 약 10 m의 수심인 해역에서 중간 수심인 약 5 m에 위치시켰으며, 정확한 거리추정은 불가능하나 10 여 마리의 남방큰돌고래가 수중청음기로부터 약 300 m 거리반경 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클릭음을 분석하기 위해 수중청음기를 이용하여 약 4 min 30 s 동안 음향 신호를 수신하였고 그중 클릭음만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클릭음으로부터 다중 클릭음 파형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대부분 첫 번째 클릭음이 그 뒤에 수신된 클릭음들보다 큰 에너지를 갖고 수신되었다.
  • 제주 남서쪽 연안에서 수집한 남방큰돌고래 음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음향 파라미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Fig.
  • 제주 해역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가 발생시키는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 중 클릭음의 펄스형태 및 반복 주기 등을 확인한 후 클릭음을 포함하며 인접 클릭음을 제외할 수 있도록 1 ms 단위로 추출하였다. 클릭음의 정확한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주변소음보다 충분히 높은 신호대잡음비(20 dB 이상)를 갖는 신호만을 선택하여 총 1,596개의 클릭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 추정된 클릭음의 음향 파라미터 중 신호 길이, 3dB 대역폭 및 첫 번째 피크 주파수 간 상관성을 확인하였다(Fig. 6). Fig.
  • 수집된 클릭음 중 1 ms 내에 여러 개의 펄스가 수신된 경우 남방큰돌고래가 직접 발생시키는 신호인지 경계면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된 신호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1 ms 내에 포함된 신호 중 첫 번째 펄스 구간을 음향 특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된 음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MATLAB(Mathworks, USA)을 이용하여 파워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 PSD)와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Energy Spectral Density, ES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크기는 1,024, 주파수 분해능은 375 Hz였고 창함수는 해닝(hanning) 창함수를 이용하였다. 클릭음의 파형과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도출한 음향 파라미터는 신호 길이(signal duration), 첫 번째 피크 주파수(1st peak frequency), 두 번째 피크 주파수(2nd peak frequency), 3 dB 대역폭(Bandwidth), 10 dB 대역폭(Bandwidth)이며 본 논문에서는 남방큰돌고래의 위치추정이 불가능하여 음원 준위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2(b)]을 제외한 모든 신호가 주변소음 또는 클릭음이었다. 클릭음의 정확한 음향 특성 분석을 위해 휘슬음과 클릭음이 동시에 수신된 신호 구간은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분석한 남방큰돌고래의 음향 신호는 고래연구센터에서 수행한 2017년 2차 제주도 남방큰돌고래 조사에서 획득하였으며, 최근 들어 남방큰돌고래의 발견율이 높아진 대정읍 영락리방파제 인근 해역(북위 33° 15' 8.58'', 동경 126° 11' 35.94'')에서 측정하였다(Fig. 1).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서 연중 관찰이 가능한 야생 남방큰돌고래를 대상으로 음향 신호를 직접 수집하였다. 수신된 신호 중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음향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음향 파라미터의 분포 특성 및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 제주 해역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가 발생시키는 클릭음의 음향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 중 클릭음의 펄스형태 및 반복 주기 등을 확인한 후 클릭음을 포함하며 인접 클릭음을 제외할 수 있도록 1 ms 단위로 추출하였다. 클릭음의 정확한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주변소음보다 충분히 높은 신호대잡음비(20 dB 이상)를 갖는 신호만을 선택하여 총 1,596개의 클릭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클릭음 중 1 ms 내에 여러 개의 펄스가 수신된 경우 남방큰돌고래가 직접 발생시키는 신호인지 경계면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된 신호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1 ms 내에 포함된 신호 중 첫 번째 펄스 구간을 음향 특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4(d), (h)] 또한 확인되었다. 1,596개 클릭음의 음향 파라미터 분석 결과를 Table 1에 나타냈으며 평균과 표준편차 및 범위를 값으로 나열하였다. 신호 길이는 평균 38 µs ± 13 µs와 14 µs - 81 µs의 범위로 100 µs 이내의 다양한 신호 길이 특성을 보였다.

이론/모형

  • 따라서 클릭음이 우세한 주파수 대역만 분석하기 위해 수신신호에 10 kHz 이상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 남기는 고역통과 여파기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역통과 여파기는 MATLAB 내부함수인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방큰돌고래(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란 무엇인가 남방큰돌고래(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는 인도양과 서태평양의 온대 및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중형 돌고래로, 분류학적으로 고래목, 이빨고래아목, 참돌고래과에 속한다.[13,14] 남방큰돌고래는 대부분 천해에 서식하며 회유를 하지 않는 연안정착성으로 국내에서는 100여 마리 이상이 제주도 연안에서 관찰된다.
고래 소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고래 소리는 ‘반향정위 클릭음(이하 클릭음, echolocation clicks)’과 ‘의사 소통 신호’로 구분할 수 있으며, 클릭음은 이빨고래만 사용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져있고[8]짧은 충격파 형태의 지향성을 가진 강한 신호로 먹이를 찾거나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9,10]
사육 중인 개체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11] 한편 야생 개체는 음향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밀한 실험적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사육 중인 개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야생 개체와 서식환경이 다르므로 다른 특성의 음향 신호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어 동일 고래종의 신호 특성을 대표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 E. Henderson, J. A. Hildebrand, and M. H. Smith, "Classification of behavior using vocalizations of Pacific," J. Acoust. Soc. Am. 130, 557-567 (2011). 

  2. M. L. Melcon, M. Failla, and M. A. Iniguez, "Echolocation behavior of franciscana dolphins (Pontoporia blainvillei) in the wild," J. Acoust. Soc. Am. 131, EL448-EL453 (2012). 

  3. M. de Freitas, F. H. Jensen, J. Tyne, L. Bejder, and P. T. Madsen, "Echolocation parameters of Australian humpback dolphins (Sousa sahulensis) and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in the wild," J. Acoust. Soc. Am. 137, 3033-3041 (2015). 

  4. J. Barlow and B. L. Taylor, "Estimates of sperm whale abundance in the northeastern temperate pacific from a combined acoustic and visual survey," Marine Mammal Sci. 21, 429-445 (2005). 

  5. E. K. Jacobson, K. A. Forney, and J. Barlow, "Using paired visual and passive acoustic surveys to estimate passive acoustic detection parameters for harbor porpoise abundance estimates," J. Acoust. Soc. Am. 141, 219-230 (2017). 

  6. S. Liu, G. Qiao, and A. Ismail, "Covert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using dolphin sounds," J. Acoust. Soc. Am. 133, EL300-EL306 (2013). 

  7. S. Liu, G. Qiao, A. Ismail, B. Liu, and L. Zhang, "Covert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using whale noise masking on DSSS signal," in OCEANS - Bergen, 2013 MTS/IEEE, 1-6 (2013). 

  8. W. M. X. Zimmer, Passive Acoustic Monitoring of Cetace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11), Part.1. 

  9. M. A. Roch, M. S. Soldevilla, J. C. Burtenshaw, E. E. Henderson, and J. A. Hilderbrand, "Gaussian mixture model classification of odontocetes in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and the Gulf of California," J. Acoust. Soc. Am. 121, 1737-1748 (2007). 

  10. Y. G. Yoon, H. Sohn, K. J. Park, Y.-M. Choi, S. Kim, and J. W. Choi, "Study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common dolphins delphinus delphis in the East Sea" (in Korean), Kor. J. Fish. Aquat. Sci. 50, 406-412 (2017). 

  11. S. Li, K. Wang, D. Wang, and T. Akamatsu, "Echolocation signals of the free-ranging Yangtze finless porpoise," J. Acoust. Soc. Am. 117, 3288-3296 (2005). 

  12. M. Wahlberg, F. H. Jensen, N. A. Soto, K. Beedholm, L. Bejder, C. Oliveira, M. Rasmussen, M. Simon, A. Villadsgaard, and P. T. Madsen, "Source parameters of echolocation clicks from wild bottlenose dolphins," J. Acoust. Soc. Am. 130, 2263-2274 (2011). 

  13. H. W. Kim, H. Sohn, Y.-R. An, K. J. Park, and Y.-M. Choi, "Occurrence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off Jeju Island, Korea during the Early 2000s" (in Korean), Kor. J. Fish. Aquat. Sci. 48, 940-946 (2015). 

  14. T. A. Jefferson, M. A. Webber, and R. L. Pitman, Marine Mamma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London, 2008), pp. 221-223. 

  15. S. G. Choi, H. W. Kim, Y.-R. An, K. J. Park, and Z. G. Kim, "Coastal resident stock of bottlenose dolphins in the Jeju Islands" (in Korean), Kor. J. Fish. Aquat. Sci. 42, 650-656 (2009). 

  16. H. W. Kim, Distribution patterns and population abundance estimate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off the Jeju Island, Korea, in the early 2000s (in Korean), (Ph.D.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1). 

  17. T. Morisaka, M. Shinohara, F. Nakahara, and T. Akamatsu, "Geographic variations in the whistles among thre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populations in Japan," Fish. Sci. 71, 568-576 (2005). 

  18. T. Gridley, P. Berggren, V. G. Cockcroft, and V. M. Janik, "Whistle vocalization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inhabiting the south-west Indian Ocean," J. Acoust. Soc. Am. 132, 4032-4040 (2012). 

  19. E. R. Hawkins and D. F. Gartside, "Whistle emissions of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differ with group composition and surface behaviors," J. Acoust. Soc. Am. 127, 2652-2663 (2010). 

  20. H.-L. Shin, D.-O. Seo, D.-J. Lee, D.-J. Hwang, M-K. Bae, and Y.-W. Lee, "Characteristics of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whistle" (in Korean), J. Kor. Soc. Fish. Technol. 38, 271-277 (2002). 

  21. I. C. Ansmann, J. C. Goold, P. G. H. Evans, M. Simmonds, and S. G. Keith, ''Variation in the whistle characteristics of short-beaked common dolphins, Delphinus delphis, at two locations around the British Isles,'' J. Mar. Biol. Assoc. UK 87, 19-26 (2007). 

  22. C. Kamminga and H. Wiersma, ''Investigations on Cetacean Sonar II. Acoust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dontocete sonar signals,'' Aquat. Mamm. 8, 41-62 (1981). 

  23. C. Kamminga, H. Wiersma, and W. H. Dudok van Heel, ''Sonar sounds in Orcaella brevirostris of the Mahakam River, East Kalimantan, Indonesia; the first descriptions of the acoustic behaviour,'' Aquat. Mamm. 10, 83-95 (1983). 

  24. C. Kamminga, M. T. Van Hove, F. J. Engelsma, and R. P. Terry, "Investigations on Cetacean Sonar X: A comparative analysis of underwater echolocation clicks of Inia spp. and Sotalia spp.," Aquat. Mamm. 19, 31-43 (1993). 

  25. W. W. L. Au and D. L. Herzing, "Echolocation signals of wild Atlantic spotted dolphin (Stenella frontalis)," J. Acoust. Soc. Am. 113, 598-604 (2003). 

  26. M. Schotten, W. W. L. Au, M. O. Lammers, and R. Aubauer, ''Echolocation recordings and localization of wild-spinner dolphins (Stenella longirostris) and pantropical spotted dolphins (Stenella attenuate) using a four hydrophone array,'' handbook of Echolocation in Bats and Dolphins, edited by J. Thomas, C. F. Moss, and M. Vater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