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 2019년, pp.91 - 98
이우진 (광주여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김태강 (남부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research trends of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y to explore the centrality of related variables though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Data were collected from ten years articl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학습장애의 특징? | 학습과 관련된 연계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학습장애는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기억, 문제 해결 등의 학습기능이나 읽기, 쓰기, 수학 등 학업 성취 영역에서 현저하게 어려움을 나타내는 장애이다[4]. 또래 정상아에 비해 학업적인 습득이 미비하고 전반적인 학습에 기초가 되는 학업영역에서 장애를 보임으로써 학년이 증가할수록 더 장애가 심화되어 학습에서는 저 성취뿐 아니라 정서적이고 사회적인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5]. | |
난독증 및 학습장애 해결방안? | 난독증 및 학습장애와 관련해서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해 “2018 한국 학습장애 현 주소의 진단과 방향”이라는 주제를 통해 학습장애 학회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미흡, 모호한 정의, 교육지원 제공자의 전문성 부족, 선별, 진단 지침 혼란, 진단 모델의 불완전성, 관련 인들의 인식 및 이해 부족을 원인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합의된 정의의 명료화, 교육지원 제공자의 전문성 강화, 학생에게 유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선별, 진단 지침 개선 등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독증과 학습장애의 상호 관계성 분석의 중심이 되는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두 영역 간 체계적인 연구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 |
난독증의 정의? |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는 읽기에 어려움을 크게 단어재인 정확성, 읽기 속도,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의 결함으로 분류하여 언급하면서 난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난독증은 단어재인의 정확성과 유창성에서의 문제, 열등한 해독 그리고 열등한 철자 능력으로 특징지어지는 학습장애의 한 유형이다[6]. 그러나 난독증 자녀를 가진 많은 학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가진 읽기 어려움 또는 난독증이 특수교육대상자는 아니라고 주장하며 특수교육서비스를 반대하고 있다[7]. |
L. C. Moats, S. Bloom, R. Davis, P. Meisel, L. Spear-Swerling & B. Wilson. (2010). Knowledge and Practice Standards for Teachers of Reading. Baltimore: ID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8).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 HaWoo.
G. R. Lyon, S. E. Shaywitz & B. A. Shaywitz. (2003). A definition of dyslexia. Annals of dyslexia, 53(1), 1-14.
Y. H. Shin. (2013). For a Kid who's Looking for a Dream(The Lack of Learning due to Learning Difficulties and the Policies Parents want). National Assemblyman kang eun hee Policy Library (pp. 10-18). Seoul.
K. R. Seo & M. R. Lee. (2014). The Real Reason why should not kind Studying Dyslexia. Seoul: Raon Book.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http://www.psych.org
G. H. Kim. (2013). Learning Disability, The Pain and Hope(The Lack of Learning due to Learning Difficulties and the Policies Parents want). National Assemblyman kang eun hee Policy Library (pp. 1-9). Seoul.
Y. O. Kim, O. R. Kang, J. H. Woo & C. S. Byun. (2015). A Study on Standardizing a Dyslexia Sereening Checklist and Statistical Estimation of Korean Students with Dyslexia.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2(1), 21-45.
O. R. Kang, J. M. Yun, H. J. Go, M. K. Pank & S. J. Seo. (2018). The Diagnosis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2018 Korean Learning Disability.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Conference (pp. 1-18). Seoul: TJLD.
M. K Kwon. (2014).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utiliz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H. W. Park & L. Leydesdorff.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Y. O. Kim, O. R. Kang, J. H. Woo & C. S. Byun. (2015). A study on Standardizing a Dyslexia Screening Checklist and Statistical Estimation of Korean Students with Dyslexia.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2(1), 21-45.
W. Tunmer & K. Greaney. (2010). Defining dyslexia. Journal of Learning, 43(3), 229-243. DOI: 10.1177/0022219409345009
D. I. Kim, E. Y. Koh, S. R. Jeong, Y. R. Lee, K. Y. Lee, J. K. Park & L. N. Kim. (2009).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 synthesis of Researches from 1999 to 2008.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283-347. DIO: 10.15753/aje.2009.10.2.010
D. P. Flanagan & V. C. Alfonso. (2010). Essential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y identification.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H. W. Park. (2005). KrKwic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hanpark.net/index2.asp
Y. H. Kim. (200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rkyoungsa.
H. J. Park.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by using a sematic network analysis:1998-2015.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6(1), 131-143. DOI : 10.15724/jslhd.2017.26.1.012
Y. W. Kim, J. H. Woo & J. H. Shin. (2015). A study on dyslexia research.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6(2), 213-242.
B. J. Chung.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short-term working memory, phonological awarenes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skill of school age poor read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3(2), 313-327.
D. L. Kim & L. H. Lee. (2010). The relationsip betwwn linguistic component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low achieving elementar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7(1), 27-45.
M. R. Jeong. (2013). The predictiors of poor comprehenders' reading comprhension in 3 to 6 grades.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0(3), 79-10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