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위험요소분석에 관한 후향적 연구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eri-implantitis: A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1, 2019년, pp.8 - 17  

이새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 ,  김대엽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치주과) ,  이종빈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치주과) ,  방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식립된 임플란트 증례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유병률을 조사하고,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본원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수복을 시행한 환자 422명(853개 임플란트)에 대한 의료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각 위험요소와 임플란트 주위염의 통계적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GEE)을 사용하여 각 변수들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 사이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또한 관찰 기간 중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은 Kaplan Meier Method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 수준에서 7.3% (422명 중 31명), 임플란트 수준에서 5.5% (853개 중 47개)로 나타났다. 성별,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여부, 보철물 부하기간이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기간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염의 누적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보철물 장착 후 19개월째 첫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였고, 이후로 임계점(critical point) 없이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수준에서 7.3%, 임플란트 수준에서 5.5%로 나타났으며, 남성, GBR을 시행한 경우, 보철물 부하기간이 길수록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and factors which may have affected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based on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422 patients (853 implant cases)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ental Center from Janu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평가하고,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조사하고 임플란트 주위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 18 임플란트 치료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임플란트 합병증에 관련된 연구를 한다. 본 연구에서도 이 같은 맥락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위험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는 무엇인가?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1 Brånemark 등2,3에 의해 1983년 골유착(osseo-integration)의 개념이 소개되면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것은 안전하고, 예측할 수 있는 결손치의 대안법이 되었다.
임플란트의 장기간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는 무엇이 있는가? 임플란트의 장기간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는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건전성이다. 임플란트 주위질환(peri-implantdisease)은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서의 염증 질환을 의미한다.
최신 문헌 고찰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이 연구마다 다양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최신 문헌고찰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연구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26 그 이유는 아직까지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단 기준에 대한 공식화된 정의가 없고, 연구 기간이 연구마다 상이하며, 임플란트 시스템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일치된 정의를 가지고 연구를 하여야 유병률과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간의 비교와 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lbrektsson T, Donos N, Thoma D, Pjetursson B, Eugenio R, Bragger U, Esposito M, Kohal R, Nahri T, Storeilli S, Tomasi C, Watzek G, Zwahlen R, Kapos T, Zwahlen M, Lustenberger F, Holmes N. Implant survival and complications. The Third EAO consensus conference 2012. Clin Oral Implants Res 2012;23:63-5. 

  2. Branemark PI, Adell R, Breine U, Hansson BO, Lindstrom J, Ohlsson A. Intra-osseous anchorage of dental prostheses. I. Experimental studie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1969;3:81-100. 

  3. Branemark PI. Osseointegration and its experimental background. J Prosthet Dent 1983;50:399-410. 

  4. Saadoun AP, LeGall ML. Clinical results and guidelines on Steri-Oss endosseous implan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2;12:486-95. 

  5. Gotfredsen K, Nimb L, Hjorting-Hansen E, Jensen JS, Holmen A. Histomorphometric and removal torque analysis for TiO2-blasted titanium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on dogs. Clin Oral Implants Res 1992;3:77-84. 

  6. Cordioli G, Majzoub Z, Piattelli A, Scarano A. Removal torque and histomorphometric investigation of 4 different titanium surface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rabbit tibia.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668-74. 

  7. Berglundh T, Lindhe J, Marinello C, Ericsson I, Liljenberg B. Soft tissue reaction to de novo plaque formation on implants and teeth.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Clin Oral Implants Res 1992;3:1-8. 

  8. Pontoriero R, Tonelli MP, Carnevale G, Mombelli A, Nyman SR, Lang NP. Experimentally induced peri-implant mucositis. A clinical study in humans. Clin Oral Implants Res 1994;5:254-9. 

  9. Albektsson T, Isidor F. Consensus report of session IV. In: Lang NP, Karring T, eds. Proceedings of the 1st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London: Quintessence Publishing 1994. p. 365-9. 

  10. Ong CT, Ivanovski S, Needleman IG, Retzepi M, Moles DR, Tonetti MS, Donos N. Systematic review of implant outcomes in treated periodontitis subjects. J Clin Periodontol 2008;35:438-62. 

  11. Heitz-Mayfield LJ. Peri-implant diseases: diagnosis and risk indicators. J Clin Periodontol 2008;35:292-304. 

  12. Esposito M, Murray-Curtis L, Grusovin MG, Coulthard P, Worthington HV. Interventions for replacing missing teeth: different types of dental impla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CD003815. 

  13. Lang NP, Berglundh T, Heitz-Mayfield LJ, Pjetursson BE, Salvi GE, Sanz M. Consensus statements and recommended clinical procedures regarding implant survival and complication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150-4. 

  14. Roos-Jansaker AM, Lindahl C, Renvert H, Renvert S. Nineto fourteen-year follow-up of implant treatment. Part II: presence of peri-implant lesions. J Clin Periodontol 2006;33:290-5. 

  15. Zitzmann NU, Berglundh T. Definition and prevalence of peri-implant diseases. J Clin Periodontol 2008;35:286-91. 

  16. Jung RE, Pjetursson BE, Glauser R, Zembic A, Zwahlen M, Lang NP. A systematic review of the 5-year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Clin Oral Implants Res 2008;19:119-30. 

  17. Park WK, Lee JK, Chang BS, Um HS. A retrospective study on patients' compliance with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9;39:59-70. 

  18. McDermott NE, Chuang SK, Woo VV, Dodson TB. Complications of dental implants: identification, frequency,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848-55. 

  19. Pjetursson BE, Tan K, Lang NP, Bragger U, Egger M, Zwahlen M. A systematic review of the survival and complication rates of fixed partial dentures (FPDs)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at least 5 years.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667-76. 

  20. Berglundh T, Persson L, Klinge B.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cidence of biological and technical complications in implant dentistry reported in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of at least 5 years. J Clin Periodontol 2002;29:197-212. 

  21. Renvert S, Polyzois I, Claffey N. How do implant surface characteristics influence peri-implant disease? J Clin Periodontol 2011;38:214-22. 

  22. Quirynen M, De Soete M, van Steenberghe D. Infectious risks for or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Oral Implants Res 2002;13:1-19. 

  23. Greenstein G, Cavallaro J. Failed dental implants: diagnosis, removal and survival of reimplantations. J Am Dent Assoc 2014;145:835-42. 

  24. Qian J, Wennerberg A, Albrektsson T. Reasons for marginal bone loss around oral implants.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2;14:792-807. 

  25. Padial-Molina M, Suarez F, Rios HF, Galindo-Moreno P, Wang H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riimplant diseases. Int J Periodontic Restor Dent 2014;34:e102-11. 

  26. Atieh MA, Alsabeeha NH, Faggion CM Jr, Duncan WJ. The frequency of peri-implant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Periodontol 2013;84:1586-98. 

  27. Ferreira SD, Silva GL, Cortelli JR, Costa JE, Costa FO. Prevalence and risk variables for peri-implant disease in Brazilian subjects. J Clin Periodontol 2006;33:929-35. 

  28. Higuchi KW, Folmer T, Kultje C. Implant survival rates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 3-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1995;53:264-8. 

  29. Rinke S, Ohl S, Ziebolz D, Lange K, Eickholz P. Prevalence of periimplant disease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 practice-based cross-sectional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2011;22:826-33. 

  30. Marcantonio C, Nicoli LG, Marcantonio Junior E, Zandim-Barcelos DL. Prevalence and possible risk factors of periimplantitis: A concept review. J Contemp Dent Pract 2015;16:750-7. 

  31. Vouros ID, Kalpidis CD, Horvath A, Petrie A, Donos N. Systematic assessment of clinical outcomes in bone-level and tissue-level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2;27:1359-74. 

  32. Fransson C, Tomasi C, Pikner SS, Grondahl K, Wennstrom JL, Leyland AH, Berglundh T. Severity and pattern of periimplantitis-associated bone loss. J Clin Periodontol 2010;37:442-8. 

  33. van der Weijden GA, van Bemmel KM, Renvert S. Implant therapy in partially edentulous,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s: a review. J Clin Periodontol 2005;32:506-11. 

  34. Schou S, Holmstrup P, Worthington HV, Esposito M. Outcome of implant therapy in patients with previous tooth loss due to periodontitis. Clin Oral Implants Res 2006;17:104-23. 

  35. Karoussis IK, Kotsovilis S, Fourmousis I.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f dental implant prognosis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7;18:669-79. 

  36. Quirynen M, Abarca M, Van Assche N, Nevins M, van Steenberghe D. Impact of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and implant surface roughness on implant outcome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2007;34:805-15. 

  37. Lindhe J, Meyle J, Group D of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Peri-implant diseases: Consensus Report of the Sixth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J Clin Periodontol 2008;35:282-5. 

  38. Zitzmann NU, Scharer P, Marinello CP. Long-term results of implants treated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a 5-year prospective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355-66. 

  39. Schmitt A, Zarb G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for single-tooth replacement. Int J Prosthodont 1993;6:197-202. 

  40. Krennmair G, Waldenberger O. Clinical analysis of widediameter frialit-2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710-5. 

  41. Penarrocha-Diago MA, Flichy-Fernandez AJ, Alonso-Gonzalez R, Penarrocha-Oltra D, Balaguer-Martinez J, Penarrocha-Diago M. Influence of implant neck design and implant-abutment connection type on peri-implant health. Radiological study. Clin Oral Implants Res 2013;24:1192-200. 

  42. Lee SY, Piao CM, Koak JY, Kim SK, Kim YS, Ku Y, Rhyu IC, Han CH, Heo SJ. A 3-year prospective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level around different implant systems. J Oral Rehabil 2010;37:538-44. 

  43. Gotfredsen K, Rostrup E, Hjorting-Hansen E, Stoltze K, Budtz-Jorgensen E.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al evaluation of tissue reactions adjacent to endosteal implants in monkeys. Clin Oral Implants Res 1991;2:30-7. 

  44. Hermann JS, Cochran DL, Nummikoski PV, Buser D. Crestal bone changes around titanium implants. A radiographic evaluation of unloaded nonsubmerged and submerged implants in the canine mandible. J Periodontol 1997;68:1117-30. 

  45. Derks J, Schaller D, Hakansson J, Wennstrom JL, Tomasi C, Berglundh T. Peri-implantitis - onset and pattern of progression. J Clin Periodontol 2016;43:38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