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의 방향
Engineering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Direc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2 no.6, 2019년, pp.40 - 50  

황순희 (홍익대학교(세종) 교양과) ,  윤경미 (부산대학교 교육인증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everyday creativity according to majors, gender and grade. Everyday creativ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은 어떤 사고방식과 관련된 대표적인 역량인가? , 2012; OECD, 20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창의성(creativity)은 이중 사고방식과 관련된 대표적인 역량이다. 뿐만 아니라 창의성은 공학 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중 하나(Rugarcia et al.
무엇이 대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가? 급변하는 시대적 특성, 미래 인재상의 변화, 학령인구의 감소 등은 대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지식습득에 초점을 맞춘 교수방법에서 벗어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역량, 창의성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춘 교육시스템을 지향한다.
대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변화는 어떤 교육시스템을 지향하는가? 급변하는 시대적 특성, 미래 인재상의 변화, 학령인구의 감소 등은 대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지식습득에 초점을 맞춘 교수방법에서 벗어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역량, 창의성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춘 교육시스템을 지향한다. 특히 급변하는 상황과 문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인‘역량’ 강화교육이 갈수록 강조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승희.윤소정(2015). 공학 전공 대학생의 창의성에 나타나는 성차. 한국기계가공학회지, 14(5), 50-59. 

  2. 김명숙.고장완(2014).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지각된 창의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3(1), 83-106. 

  3. 김정연.태진미(2017). 창의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차이 비교 및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4), 145-164. 

  4. 김형재.이준연.엄세진(2017). 대학생의 전공데 따른 창의성 비교연구, 예비유아교사, 예비디자이너, 예비공학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19-27. 

  5. 송윤숙.이경화(2012).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2(2), 73-88. 

  6. 윤경미.유순화(2015).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23(4), 105-127. 

  7. 윤경미.황순희(2017 a). 공과대학생의 사고양식 탐색. 공학교육연구, 20(5), 14-22. 

  8. 윤경미.황순희(2017 b).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의 관계. 교양교육연구, 11(2), 413-448. 

  9. 이경화.김은경.유경훈(2012). 대학생의 제 변인에 따른 창의적 능력 비교. 창의력교육연구, 12(1), 29-47. 

  10. 이경화.박선형(2014).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비교를 통한 대학 창의성교육 강화 방안. 영재와 영재교육, 13(3), 59-83. 

  11. 이경화 외(2015).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 13(2), 1-24. 

  12. 이미나.이화선.최인수(2012).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전공계열별 인식 비교. 교육과정연구, 30(3), 353-376. 

  13. 정은이(2002).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정은이.박용한(2002). 일상적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문제연구, 17, 155-183. 

  15. 황순희(2019). 공과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인식과 평가. 공학교육연구, 22(3), 18-31. 

  16. 황순희.윤경미(2015).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교양교육연구, 9(3), 399-434. 

  17. 황순희.주나형.조한나(2019). '동아리' 참가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진로적응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3(1), 293-320. 

  18. Bartkus, K. R., Nemelka, B., Nemelka, M., & Gardner, P.(2012). Clarify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American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5(6), 693-704. 

  19. Beghetto, R. A.(2013). Nurturing creativity in the micro-moments of the classroom. In Creatively gifted students are not like other gifted students (pp. 3-15). Brill Sense. 

  20. Binkely, M., Erstad, O., Herman, J., Raizen, S., Ripley, M., Miller-Ricci, M., & Rumble, M. (2012). Defining twenty-first century skills. In P. Griffin, B. McGaw, & E. Care (Eds.).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p. 17-66).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http://dx.doi.org/10.1007/978-94-007-2324-5_2 

  21. Bodran, I.(2007). Enhanc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2)5, 573-585. 

  22. Charyton, C. & Snelbecker, G. E.(2007). General,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Attributes of Engineering and Music Studen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9, 213-225. 

  23. Cotter, K. N., Pretz, J. E., & Kaufman, J. C.(2016). Applicant extracurricular involvement predicts creativity better than traditional admissions factor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0(1), 2-13. 

  24. Dalrymple, O., & Evangelou, D.(2006). The rol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education of enginee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gineering Education, 24-30. 

  25. de Freitas, C. C. S., Figueiredo, D. A., & Iano, Y.(2013). Inclus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 competitions in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engineering educ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Brazilian reality.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ve Collaborative Learning (ICL), 793-800. 

  26. Elisondo, R. C., Donolo, D. S., & Rinaudo, M. C.(2013). The unexpected and education: curriculums for creativity. Creative Education, 4(12B), 11-15. 

  27. Helson, R.(1996). Arnheim Award address to division 10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 search of the creative personal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 295-306. 

  28. Kersting, K.(2003). Considering creativity: What exactly is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onitor, 34, 40. 

  29. Kuhar, K., & Sabljic, J.(2016). The work and role of extracurricular clubs in fostering student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4(4), 93-104. 

  30. Lunenburg, F. C., & Ornstein, A. C.(2011).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Cengage Learning. 

  31. Montgomery, D., Bull, K. S., & Baloche, L.(1992). College level creativity course content.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6(4), 228-234. 

  3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U.S.(2004). The engineer of 2020: Visions of engineering in the new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3. Nickerson, R. S.(1999). Enriching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92-43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34. OECD(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Retrieved October 10, 2019, from https://www.oecd.org/pisa/35070367.pdf 

  35. Orhun, E. & Orhun, D.(2013). Creativity and engineering education. Proceedings of 41st SEFI Conference, 16-20. 

  36. Rugarcia, A. Felder, R. M., Woods, D. R., & Stice, J. E.(2000). The future of engineering education I. A vision for a new century. Chemical Engineering Education, 34(1), 16-25. 

  37. Runco, M. A.(2014).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New York: Elsevier. 

  38. Runco, M. A., Acar, S., & Cayirdag, N.(2017). A closer look at the creativity gap and why students are less creative at school than outside of school.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24, 242-249. 

  39. Simonton, D. K.(1999). Creativity and genius, In L. A. Pervin & O. P. Joh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pp. 629-652), New York: Guilford. 

  40. Simpson, T., Barton, R. & Celento, D.(2008). Interdisciplinary by design. Mechanical Engineering, 130(9), 30. 

  41. Sternberg, R. J.(1988). Mental self-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4), 197-224. 

  42. Zhang, L. F.(2000). Are thinking styles and personality types related?. Educational Psychology, 20(3), 271-283. 

  43. Zhang, L. F.(2001). Thinking styles, self-esteem, and extracurricular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6(2), 100-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