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업 사이클링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up-cycling cultural products using Hangul calligraphy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1 no.4, 2019년, pp.153 - 163  

한연희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up-cycling design applied with Hangeul calligraphy on outdated clothing materials, and recreating them as eco-friendly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ngeul calligraphy en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폐 청바지 등 낡은 의류와 한글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업 사이클링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업 사이클링 제품의 영역을 확대하고 친환경적이면서 고부가가치 문화상품으로 재창조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한글 캘리그래피와 친환경적 소재의 수공예적인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업 사이클링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문화적 감성을 전달하는 실용적인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업 사이클링 문화상품 개발을 위해 국내 학술지, 학위논문 등의 선행연구와 인터넷을 비롯한 미디어 자료 등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업 사이클링의 수공예에 근거한 기술적 요소와 한글 캘리그래피를 담은 감성적 요소의 조화를 이루어 실용적인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표 1).
  • 셋째, 업 사이클링 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
  • 한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업 사이클링 문화 상품은 폐 청바지와 버리는 천 조각 등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독특한 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기훈. (2013). 한글 캘리그래피를 이용한 티셔츠 디자인의 표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1(5), 684-698. 

  2. 박순옥. (2008). 세계화를 위한 한국문화상품의 분석적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7, 81-83. 

  3. 박주희, 김윤희. (2014). 폐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복식, 64(8), 138-154. 

  4. 박지연. (2013). 업 사이클링 리 디자인 의상개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해인, 곽태기. (2017). 업사이클 브랜드 패션가방제품의 표현특성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20). 1-14. 

  6. 박효주, 김경희. (2018). 업사이클 디자인 특성에 따른 패션디자인연구, 패션과 니트, 16(1), 44-55. 

  7. 송재민, 김지영, 최종명. (2017). 한국의 세계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한자 글자꼴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5(5), 611-628. 

  8. 성현진, 정재훈. (2017). 현대패션디자인에 활용된 한글의 조형성 및 내적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3). 17-33. 

  9. 신순범, 엄기서. (2005). 캘리그래피의 특징과 중요성에 대한 조형적 분석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8(2). 157-165. 

  10. 신준용, 박영순, 정의철. (2011). 소재와 문양분석을 통한 사이버 쇼핑몰의 전통문화 상품 디자인특성고찰. 한국디자인포럼, 31, 235-244. 

  11. 안인숙, 김호경. (2018). 폐기된 청바지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연구. 복식, 65(1), 76-88. 

  12. 양진숙, 박효은. (2012). 재활용 섬유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1), 190-198. 

  13. 왕경희. (2014). 업 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2), 337-351. 

  14. 윤을요, 박선경. (2009). 한글 캘리그래피 패션에서 나타난 아날로그적인 감성. 기초 조형학 연구, 10(5), 301-312. 

  15. 이향재. (2017). 캘리그래피의 감성융합 특성과 브랜드 가치. 조형미디어학, 20(1), 180-188. 

  16. 정흥균. (2017). 한글 캘리그래피 디자인의 해체적 표현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지, 51, 143-152. 

  17. 조재승. (2008). 한글을 소재로 한 문화예술 및 문화상품 디자인 활용방안 연구. 과학과문화, 5(4), 51-62. 

  18. 홍종선. (2008). 한글문화의 발전과 세계화. 한국어학, 41, 157-182. 

  19. 곽선미. (2019. 10. 11). '파타고니아, UN 지구환경대상 '기업가 비전' 수상'. 패션비즈. 자료검색일 2019. 10. 13, 자료출처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74660 

  20. 김민지. (2018. 6. 6). 패션업계에 부는 친환경 바람, 지속가능한 패션 주목. 에너지경제. 자료검색일 2018. 9. 16, 자료출처 http://m.ekn.kr/section_view.html?no366403#_enliple 

  21. 문화상품. (2016). 국립국어원. 자료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2bd066186341481da1dac7b76607dde8 

  22. 백수진. (2019. 10. 9). 세계인이 뽑은 아름다운 한국어 (1) 사랑 (2) 안녕 (3) 아름답다 (4) 별.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9. 10. 9, 자료출처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09/2019100900301.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23. 업사이클링? 리사이클링?: 디자인 이슈 45. (2017). 서울디자인재단. 자료검색일 2018. 10. 12. 자료 출처 http://www.seouldesign.or.kr/board/32/post/101934/detail?menuId29&boardCateId4 

  24. 유인근. (2019. 9. 13). '새 옷보다 나은 헌 옷' 파타고니아 코리아, 의류 무상수선 서비스 캠페인 전개'. 스포츠서울. 자료검색일 2019. 9. 15. 자료출처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8180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