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이력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ood Traceability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6, 2019년, pp.730 - 737  

이성빈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  양성범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food traceability system that could improve food reliability and secure food safety. To this, in our survey May-June, 2019, 567 adult males and females were analyzed for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the food traceabilit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식품 신뢰도 향상 및 식품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식품이력관리시스템 확대를 위한 추가지불의사를 추정하여 업체와 관계 당국에 경제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식품 신뢰도 향상 및 식품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식품이력관리시스템 확대를 위한 추가지불의사를 추정하여 업체와 관계 당국에 경제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식품 신뢰도 향상 및 식품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전국 성인남녀 567명을 대상으로 식품이력관리시스템 인식 및 경험여부, 식품이력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식품이력관리시스템 개선을 위한 추가지불의사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은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회수·폐기를 위해 신속·정확하게 원인을 추적하여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전체 식품에 확대하면 제조원가의 상승 및 관계 당국의 관리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해당 식품의 가격이 증가할 수 있다. 응답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설명한 후 현재 식품 가격이 100%라고 가정한 후,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얼마나 추가적으로 지불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이때 추가지불의사 수준은 0%(지불하지 않음)에서 5%까지 0.

가설 설정

  • 현재 특수용도식품 중 일부(영․유아식품, 조제유류), 건강기능식품만 의무로 시행하며, 그 외 품목은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둘째 의무대상사업자가 제한적이다. 특수용도식품(영․유아식품, 조제유류)의 경우 제조 · 수입 · 가공 · 판매업자가 이력추적의 의무대상사업자이며,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제조·수입업자만이 이력추적의 의무대상사업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이력추적에서 기록 및 관리하는 정보의 항목은 무엇인가? 조제유류의 경우 수입․가공․판매업자 중 영업장 면적이 300 m2이상인 자만 의무대상이다. 기록 및 관리하는 정보의 항목은 식품이력추적관리번호, 제조업소 명칭 및 소재지, 제조일자, 유통기한 또는 품질유지기한, 제품 원재료 정보, 유전자재조합식품여부, 생산량, 그 밖에 공개하고자 하는 정보, 기능성 내용(건강기능식품에 한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품이력관리시스템(www.tfood.go.kr)을 통해 관리한다.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의 경우 다른 이력제도와는 달리 소비자의 인지도 및 활용도가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ark CW 2014).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정부는 식품안전사고에 대한 대응력 강화를 통한 신뢰도 상승과 식품안전의 확보를 위해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를 도입했다. 농산물은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www.
식품이력관리시스템에서 이행 의무대상사업자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의무대상사업자가 제한적이다. 특수용도식품(영․유아식품, 조제유류)의 경우 제조 · 수입 · 가공 · 판매업자가 이력추적의 의무대상사업자이며,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제조·수입업자만이 이력추적의 의무대상사업자이다. 이로 인해 의무대상이 아닌 단계에서는 이력추적이 어렵다(Park HJ 2012). 셋째 제도 본연의 목적과 맞지 않는 기록․관리 대상 정보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SG, Choi SH, Lee HJ, Son EA, Shin YM, Kang YS, Jung BD, Hong GP. 2017. Study on expansion of food traceability system and linkage of logistics informa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 Cho SG, Lee HJ, Son EA. 2016. A survey on information of food traceability desired by consumer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3. Choi JH. 2017.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food history information for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proces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4. FOODINFO. 2016. Food traceability in major countries of foreign countries management system statu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5. Kang SH. 2010.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ver nutrition labelling on snack in Hadong. Master's Thesis, Silla Univ. Busan. Korea 

  6. Lee JT. 2016.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linkage strategy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7. Lee KI, Hwang YJ, Woo BJ, Cho SH, Jung SM, Jung JH, Ahn JS, JU MB. 2011a. A study on the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foo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Lee MS, Park BI, Lim SS, Kim SA, Kim NH, Yoon SJ, Jeon JH, Park TH, Kim HW, Kim HS, Kim YH. 2011b.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for food traceability and the public relations strategie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9. MFDA. 2019. 2018 Food production resul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docviewer/skin/doc.html?fn20190823041738254.pdf&rs/docviewer/result/stat0018/30198/2/201910 [cited 5 October 2019] 

  10. Moon ES. 2011. Study on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on traceability syste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1. Park CW. 2014. A study on phased implementation for food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link with agriculture and manufactured food traceabilit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2. Park HJ.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food traceability system. Korea Consumer Agency 

  13. Seok DS, Yang SB. 2018. A study on introduction of new food labeling for reduction of sodium intake. Korean J Food Nutr 31:143-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