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유역 대형댐 하류 하도지형 경년변화 및 하상재료 종적변이 연구
Temporal Adjustment of Channel Geometry and Spati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along the Downstream Channels of Large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4, 2019년, pp.287 - 294  

옥기영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최미경 (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  박형근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형댐 하류의 수용생태계에서는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과 토사 이동의 양적 단절과 질적 변환에 따라 서식처의 물리화학적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금강 중상류역을 대상으로 대형댐에 의한 하상재료와 토양의 종적변화, 그리고 대형댐 건설 이후 하류 하천의 하도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댐 상·하류 하상재료 입도분석 결과, 용담댐 구간은 상·하류 모두 호박돌, 굵은자갈로 조립화되어 있었으며, 대청댐 구간은 댐하류에서 중간입경이 가는자갈로 급격히 감소하고 모래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양유기물은 두 개의 댐 모두 하류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도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도지형을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의 감소와 사주 내 식생비율의 급격한 증가, 사행도와 저수로폭의 감소 경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댐 건설에 따른 서식처 변화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댐 하류 조절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한 복원관리 방안을 도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longitudin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properties and temporal alteration of river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Geum River basin, where two multipurpose dams(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were built in upstream area. We carried out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es and m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상류에 두 개의 대형댐과 중류에 3개의 대형보, 그리고 하류의 하구둑이 연속적으로 건설되어 상류 대형댐-닫힌하구 특성을 갖는 금강 대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도지형의 변화와 물질이동의 단절성을 조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강 중상류역을 대상으로 용담댐과 대청 댐의 상・하류의 하상재료 입도분포와 토양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여, 대형댐에 의한 하상재료와 토양의 종적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청댐 하류 역의 고지도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도의 선형과 사주형태를 공간분석하여, 대형댐 건설 이후 하류 하천의 하도지형 변화를 연도별로 추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댐 하류의 수용생태계에서 교란이 일어나는 이유는? 대형댐 하류의 수용생태계에서는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과 토사 이동의 양적 단절과 질적 변환에 따라 서식처의 물리화학적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금강 중상류역을 대상으로 대형댐에 의한 하상재료와 토양의 종적변화, 그리고 대형댐 건설 이후 하류 하천의 하도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댐이 불러온 부작용은? 2018). 그러나, 유역에서 대형댐이 건설되어 장기간 상류에서 공급되는 물질이 동이 물리적으로 단절되거나 질적으로 교란되게 되면, 하류의 서식처는 여울과 소의 소실, 하상저하, 식생의 육역화와 같이 물리적 교란이 발생하고 (Kondolf 1997), 수용생태계는 녹조, 부영양화, 생물종 감소와 같은 환경문제가 유발된다 (Power et al. 1996, Ock and Takemon 2014, Wu et al.
유역 내 생물 서식처는 어떻게 에너지를 주고받나? 유역 내 생물 서식처는 외부와 격리되어 독립적으 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이웃한 생태계와 공간적인 경계를 넘어서 물질과 에너지를 주고받고 있다 (Lamberti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M., Kim, J., Ock, G. and Jung, K., 2019.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s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mid-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by weir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S-2): 791-799. (in Korean) 

  2. Choi, S., Yoon, B., Woo, H. and Cho, K. 2004. Effect of Flow-Regime Change due to Damming on the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Downstream River Reach: A case of Hapchon Dam on the Hwa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 55-66. (in Korean) 

  3. Graf, W.J. 2006. Downstream hydrologic and geomorphic effects of large dams on American rivers. Geomorphology 79: 336-360. 

  4. Heiri O., Lotter, A.F. and Lemcke, G. 2001. Loss on ignition as a method for estimating organic and carbonate content in sediments: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results. Journal of Paleolimnology 25: 101-110. 

  5. Jang, C.L. 2017.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and channel changes with discharge in the sharped meandering channel in the Naeseongcheon,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 24-33. (in Korean) 

  6. Kondolf, G.M. 1997. Hungry water: effects of dams and gravel mining on river channels. Environmental Management 21: 533-552. 

  7. Lamberti, G.A., Chaloner, D.T. and Hershey, A.E. 2010. Linkages among aquatic ecosystem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9: 245-263. 

  8. Lee, C., Kim, D. G., Hwang, S. Y., Kim, Y., Jeong, S., Kim, S., and Cho, H. 2019. Dataset of long-term investigation on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I).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6: 34-48. (in Korean) 

  9. Lee, S., Ock, G. and Choi, J. 2008. A Study on the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s in Fluvial Meandering Strea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2: 658-665. (in Korean) 

  10. Lee, S. and Ock, G. 2012. Effects of Reduced Sediment Dynamics on Fluvial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Jiseok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s 45: 445-454. (in Korean) 

  11. Ock, G. and Takemon, Y. 2014. Effect of reservoir-derived plankton released from dams on particulate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a tailwater river (Uji River, Japan): source partitioning using stable isotopes of carbon and nitrogen. Ecohydrology 7: 1172-1186. 

  12. Ock, G., Jang, C.L., Kim, B. and Choi, M. 2019. A review on sediment replenishment to river channel for natural recovery of regulated rivers below large dam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s 52(S-2): 835-844. (in Korean) 

  13. Park, H.G. and Ock, G. 2017. Estimation of the total terrestrial organic carbon flux of large rivers in korea using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 549-556. (in Korean) 

  14. Power, M.E., Dietrich, W.E. and Finlay, J.C. 1996. Dams and downstream aquatic biodiversity: potential food web consequences of hydrologic and geomorphic change. Environmental management, 20: 887-895. 

  15. Schlunz, B. and Schneider, R.R. 2000. Transport of terrestrial organic carbon to the oceans by rivers: re-estimating flux- and burial r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th Sciences. 88: 599-606. 

  16. Wang, Y., Rhoads B.L., Wang, D., Wu, J. and Zhang, X. 2018. Impacts of large dams on the complexity of suspended sediment dynamics in the Yangtze River. Journal of Hydrology. 558: 184-195. 

  17. Wu, Y., Bao, H., Yu, H., Zhang, J. and Kattner, G.. 2015. Temporal variability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lower Changjiang(Yangtze River) in the post Three Gorges Dam period: Links to anthropogenic and climate impac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Biogeosciences. 120: 2194-2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