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에서 검사에 따른 전극의 삽입 및 제거방법
Principles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with Insertion and Removal of Electrod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4, 2019년, pp.453 - 461  

임성혁 (삼성서울병원 뇌신경센터 신경과) ,  박순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특수검사부) ,  문대영 (아주대학교병원 신경외과) ,  김종식 (아산병원 신경과) ,  최영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  박상구 (삼성서울병원 뇌신경센터 신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인 수술 중 신경계 모니터링(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M) 검사는 다양한 수술에서 안정적으로 수술이 잘 진행되고 있음을 확신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검사다. 수술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검사의 최적화를 위하여 침 전극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수술실검사에 대하여 정확한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한 교재나 안내책자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논문에서 운동유발전위검사,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청각유발전위검사, 시각유발전위검사에서 올바른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자유진행 및 유발근전도검사(free-running and triggered EMG)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의 관찰로 대부분의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기능상태 파악을 한다. 검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해당 근육에 전극을 삽입하는 사진을 첨부하였고, 척수신경근에 따른 해당근육도 표로 제시하였다. 검사 후 전극제거를 할 때에도 환자와 검사자 모두 안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완벽한 검사가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M) examination identifies the damage caused to the nervous system during surgery. This method is applied in various surgeries to validate the procedure being performed, and proceed with confidence. The assessment is conducted in an operating room,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술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검사의 최적화를 위하여 침 전극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수술실검사에 대하여 정확한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한 교재나 안내책자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논문에서 운동유발전위검사,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청각유발전위검사, 시각유발전위검사에서 올바른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자유진행 및 유발근전도검사(free-running and triggered EMG)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의 관찰로 대부분의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기능상태 파악을 한다.
  • 뇌신경과 유사하게 척수신경근(spinal nerve root)과 관련된 근육들을 살펴보자(Table 5).
  • 다양한 수술 중 신경계 모니터링 검사들 마다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체적인 전극 삽입 방법과 부위, 매개변수 그리고 전극제거 방법을 제시하여 안전하고 확실한 검사가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실에서 환자에게 전기적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전기소작기(bovie)를 매우 자주 사용하며 식염수를 지속적으로 뿌리고 흡입기로 흡입하는 일들이 너무나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영향을 검사 파형은 받을 수 밖에 없다[5]. 그러므로 수술실에서의 검사는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침전극(subdermal needle electrode) 을 사용한다. 그러나 수술실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라는 특수성 때문에 우리는 수술실 검사에 대하여 자세히 배우는 것이 힘들고 실습을 하기도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로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수술 중 신경계 감시는 수술 부위, 수술 방법에 따라 청각을 자극하여 뇌간에서 발생하는 유발전위를 기록하는 검사로서 뇌간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진폭 등을 분석하여 청신경의 이상유무를 감별할 수 있는 청각유발전위검사, 안구에 Goggle을 이용하여 빛 자극을 주어 뇌의 후두부에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안구병변을 포함한 시신경교차전과 시신경교차후의 병변을 감별하고 그 병변(종양)을 제거할 때의 시신경 이상 유무를 감별 할 수 있는 시각유발전위검사, 말초감각신경(median nerve, posterior tibial nerve)에 자극을 가하여 자극이 감각로(sensory pathway)를 따라 전달되어 대뇌피질에서 파형을 기록하여 전기자극–말초신경–척수-대뇌피질로 전달되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기능을 모두 파악할 수 있는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대뇌 좌우측 반구의 운동영역부위를 두피에서 자극을 가하고 상지와 하지의 원위부 근육에서 파형을 기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운동신경경로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운동유발전위검사, 상하지 근육 및 뇌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는 근육(안면신경 등)들에서 시행하여 수술 중 신경손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운동단위전위(motor unit potentials, MUP)를 기록하는 방법(free-running EMG)과 직접 신경근을 전기 자극하여 신경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방법(triggered EMG)을 적극 활용하여 보다 안전한 수술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4, 5]. 예전보다 수술의 기술적인 부분이 발달하면서 수술 중 신경계 감시 또한 많은 발전을 하였다.
수술 중 신경계 손상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는?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인 수술 중 신경계 감시검사(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M)는 신경외과, 정형외과 그리고 흉부외과 등 신경계 수술에서 이용되어 수술 중 신경계의 손상을 조기에 찾아서 수술 후의 합병증을 줄여주어 집도의가 수술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검사다[1-4]. 검사실에서 보통 시행하는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신경전도(nerve conduction velocity) 검사 등은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 또는 컵전극(cup electrode)을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endiratta A, Emerson RG. Neurophysiologic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scoliosis surgery. J Clin Neurophysiol. 2009;26:62-69. 

  2. Min HK, Sung K, Yang JH, Kim WS, Jun TG, Lee YT, et al. Can intraoperative motor evoked potentials predict all the spinal cord ischemia during moderate hypothermic beating heart descending thoracic or thoracoabdominal aortic surgery? J Card Surg. 2010;25:542-547. 

  3. Yanni DS, Ulkatan S, Deletis V, Barrenechea IJ, Sen C, Perin NI. Utility of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using dorsal column mapping in intramedullary spinal cord surgery. J Neurosurg Spine.2010;12:623-628. 

  4. Macdonald DB. Intraoperative motor evoked potential monitoring: overview and update. J Clin Monit Comput.2006;20:347-377. 

  5. Park SK, Hyun SC, Lim SH, Park CW, Park JW, Kim DJ, et al. Basic techniques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Korean J Clin Lab Sci. 2013;45:77-85. 

  6. Baek JS, Park SK, Kim DJ, Park CW, Lim SH, Lee JH, et al. Usefulness of the facial motor evoked potential during cerebello-pontine angle tumor surgery. Korean J Clin Lab Sci. 2018;50:470-476. 

  7. M Fukuda, M Oishi, T Takao, A Saito, Y Fujii. Facial nerve motor-evoked potential monitoring during skull base surgery predicts facial nerve outc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79:1066-1070. 

  8. Cha JK, Kim SH. The concepts of montage i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Korean J Clin Neurophysiol. 1999;1:160-167. 

  9. Macdonald DB, Dong C, Quatrale R, Sala F, Skinner S, Soto F, et al.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intraoperati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lin Neurophysiol. 2019;130:161-179. 

  10. Grundy BL, Jannetta PJ, Procopio PT, Lina A, Boston JR, Doyle E.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J Neurosurg.1982;57:674-681. 

  11. American Clinical Neurophysiology Society. Guideline 11C: Recommended standards for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ternet]. Milwauke: American Clinical Neurophysiology Society; 2019 [cited 2019 Aug 13]. Available from: https://www.acns.org/pdf/guidelines/Guideline-11C.pdf. 

  12. Lim SH.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in microvascular decompression surgery of hemifacial spasm. Korean J Clin Lab Sci. 2016;48:262-268. 

  13. Joo BK, Park SK, Cho KR, Kong DS, Seo DW, Park K. Real-time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during microvascular decompression for hemifacial spasm. J Neurosurg. 2016;125:1061-1067. 

  14. American Clinical Neurophysiology Society. Guideline 9B: guidelines on visual evoked potentials. J Clin Neurophysiol. 2006;46:254-274. 

  15. Hayashi H, Kawaguchi M.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 under general anesthesia. Korean J Anesthesiology. 2017:70;127-135. 

  16. Kodama K, Goto T, Sato A, Sakai K, Tanaka Y, Hongo K, et al. Standard and limitation of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the visual evoked potential. Acta neurochirurgica. 2010;152:643-648. 

  17. Harper CM. Intraoperative cranial nerve monitoring. Muscle Nerve. 2004;29:339-351. 

  18. Deletis V, Fernandez-Conejero I. Intraoperative monitoring and mapping of the functional integrity of the brainstem. J Clin Neurol. 2016;12:262-273. 

  19. Bindal RK, Ghosh S. Intraoperative electromyography monitoring in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J Neurosurg Spine. 2007;6:126-132. 

  20. Lopez JR. Neurophysiologic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the oculomotor, trochlear, and abducens nerves. J Clin Neurophysiol. 2011;28:543-550. 

  21. Kaspera W, Adamczyk P, Slaska-Kaspera A, Ladzinski P. Usefulness of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oculomotor and abducens nerves during surgical treatment of the cavernous sinus meningiomas. Adv Med Sci. 2015;60:25-30. 

  22. Minahan RE, Mandir AS. Neurophysiologic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trigeminal and facial nerves. J Clin Neurophysiol. 2011;28:551-565. 

  23. Topsakal C, Al-Mefty O, Bulsara KR, Williford VS.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lower cranial nerves in skull base surgery: technical report and review of 123 monitored cases. Neurosurgical review. 2008;31:45-53. 

  24. Schlake HP, Goldbrunner RH, Milewski C, Krauss J, Trautner H, Behr R, et al. Intraoperative electromyographic monitoring of the lower cranial motor nerves (LCN IX-XII) in skull base surgery. Clin Neurol Neurosurg. 2001;103:72-82. 

  25. Leppanen RE.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segmental spinal nerve root function with free-run and electrically-triggered electromyography and spinal cord function with reflexes and F-responses: a position statement by the American Society of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J Clin Monitor Comput. 2005;19:437-461. 

  26. Gonzalez AA, Jeyanandarajan D, Hansen C, Zada G, Hsieh PC.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during spine surgery: a review. Neurosurg Focus. 2009;27:E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