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LEFC 블록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Block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itan-oxide Photocatalyst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3 no.6, 2019년, pp.120 - 131  

김병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오상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공학과) ,  서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디자인기술융합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빛 감성친화형 콘크리트에 광촉매를 적용하여 대기질 및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LEFC 블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LEFC에 광촉매를 적용하게 되면 자외선 입사면 반대편에서도 투과로 인한 자외선이 존재하여 광촉매가 반응함으로써 일반 건축 자재를 적용한 경우보다 광촉매 반응효율이 크게 상승한다. 따라서 광촉매를 LEFC에 적용하기 위해 슬럼프, J-ring, L-box 테스트를 통한 자기충전성능을 평가하여 최적 배합을 결정하였고, 압축 및 휨 강도 시험을 통해 역학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TiO2 분포도를 확인하기 위해 SEM과 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ALC골재와 단열재 적용으로 광촉매 사용량을 줄이고 단위중량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활용하여 광촉매 효율을 증가시키는 빛투과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였고, 향후 건조수축 등의 문제점 개선 및 NOx 제거 실험을 통한 LEFC 블록 성능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level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as reached its highest level, threatening the public's health. If the air purifier was not operated indoors, natural ventilation would not be possible. In this study, photocatalyst is applied to building materials to purify air in a passive manner...

주제어

표/그림 (3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촉매 적용 LEFC 블록 제작 시 봉의 직경 및 간격 변화로 인한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광촉매 반응면적비를 고려하여야 하고 향후 시작품 제작시 적용 위치별 최적화된 P-LEFC 제작에 위 데이터를 중요한 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Fig. 2(b)와 같이 일반 콘크리트 내부 선 타설 혹은 빈 공간(단열재, 경량부재 등)으로 채우고 광촉매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이중타설 구조로 광촉매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광촉매 콘크리트 블록의 최적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플라스틱 봉의 직경 및 간격의 영향, 양생하는 과정에서의 건조수축에 의한 광촉매 타설부의 결함 여부, 콘크리트 표면 분석(EDS,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을 통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경량형의 광촉매 적용 빛 투과 노출 콘크리트(P-LEFC) 블록을 제작하고자 한다.
  • 그러나, 광촉매의 우수한 성능은 높은 단가와 자외선에만 반응한다는 결점으로 활용성이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빛을 투과시키는 빛 감성친화형 콘크리트(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LEFC)에 광촉매를 혼입하여 자외선을 받는 영역을 증가시켜 빛 투과면의 광촉매 반응으로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현재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화두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저비용 고성능 광촉매 활용 빛투과 콘크리트 블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Pe는 Pa와 달리 광촉매 면적이 아닌 광촉매 효율이기 때문에 빛, 아크릴 및 거리 등을 고려해야 하나,  본 논문에서는 아크릴 투과율 및 벽면의 반사율을 일부 고려하였고 광원과의 거리, 광원의 세기, 빛의 회절 및 간섭 등은 고려하지 않았는데 이는 빛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변수이지만 과도하게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시 본 논문의 주제를 벗어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고 광원은 콘크리트 단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며 직진성을 갖고 이외의 빛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촉매 표면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Fujishima and Honda, 1972) 이 산화티탄(TiO2)이 대표적인 광촉매로 활용되는데 이는 반도 체이고 일반적으로 아나타제(anatase)형으로서 밴드갭 에너지(Eg)가 약 388nm로 자외선(400nm) 이하 영역에서 우수한 광활성 반응이 일어난다. 광촉매 표면층은 자외선과 반응할 경우 광산화 분해작용으로 세균, 곰팡이균 등을 제거하는 항균작용, 기재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오염물질의 분해 및 제거, 악취 제거 그리고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촉매는 현재 일본 동경 이과대학의 광촉매 연구센터(PIRC, Photocatalysis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 및 현장 적용 중에 있다.
LEFC에 광촉매를 적용하는 것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빛 감성친화형 콘크리트에 광촉매를 적용하여 대기질 및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LEFC 블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LEFC에 광촉매를 적용하게 되면 자외선 입사면 반대편에서도 투과로 인한 자외선이 존재하여 광촉매가 반응함으로써 일반 건축 자재를 적용한 경우보다 광촉매 반응효율이 크게 상승한다. 따라서 광촉매를 LEFC에 적용하기 위해 슬럼프, J-ring, L-box 테스트를 통한 자기충전성능을 평가하여 최적 배합을 결정하였고, 압축 및 휨 강도 시험을 통해 역학성능을 평가하였다.
국내에서는 잘 쓰지 않는 건축물에서 광촉매를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면적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표면에 적정량의 광촉매 입자를 고정하여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면적을 높여야 한다. 빛 투과콘크리트는 자외선 입자를 콘크리트의 반대편으로 투과시킬 수 있어 일반 내·외장재료보다 광노출면 적을향상시킬수있는장점이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빛 투과콘크리트인 Litracon은 광섬유를 전체 콘크리트 체적의 4-10% 배열하여 타설한다. 광섬유의 우수한 빛 투과성을 활용하여 심미성을 극대화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ujishima Aand Honda K. (1972), Electrochemical photolysis of water at a semiconductor electrode, Nature, 238(5358), 37-38. 

  2. Adachi T, Latthe S, Gosavi S, Roy N, Suzuki N, Ikari H, Kato K, Katsumata KI, Nakata K, Furudate M, Inoue T, Kondo T, Yuasa M, Fujishima A and Terashima C. (2018), Photocatalytic, superhydrophilic, self-cleaning $TiO_2$ coating on cheap, light-weight, flexible polycarbonate substrates. Applied Surface Science, 458, 917-923. 

  3. Hayashi M, Ochiai T, Tago S, Tawarayama H, Hosoya T, Yahagi T and Fujishima A. (2017), Influence of Dissolved Ions on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iO_2$ -Impregnated Porous Silica Tubes. Catalysts, 7(5), 158-167. 

  4. Magudieshwaran R, Ishii J, Raja K, Terashima C, Venkatachalam R and Fujishima A. (2019), Pitchaimuthu S. Green and chemical synthesized $CeO_2$ nanoparticles for photocatalytic indoor air pollutant degradation. Materials Letters, 239, 40-44. 

  5. Han H, Riboni F, Karlicky F, Kment S, Goswami A, Sudhagar P, Yoo J, Wang L, Tomanec O, Petr M, Haderka O, Terashima C, Fujishima A, Schmuki P and Zboril R. (2017), ${\alpha}-Fe_2O_3/TiO_2$ 3D hierarchical nanostructures for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Nanoscale, 1, 134-143. 

  6. Kim W, Jung J and Jeon K. (2009), Development of Visible Ray Photocatalyst for Reinforcement of Air Cleaning Fuction Indoors and Outdoo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5(12), 121-128. 

  7. Kim W, Jeon K, Son S, Lee C and Kim K. (2012), A Study to Improve Photocatalysts for Purification NO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3), 51-58. 

  8. Park J, Kim H, Jung B, Choi Y, Kim Y and Kim W.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Ox Removal Properties of photocatalystic paint.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3(2), 1123-1128. 

  9. Kim B. (2017), Light Transmitting Lightweight Concrete with Transparent Plastic Bar. The Open Civil Engineering Journal, 11, 615-626. 

  10. Kim B and Seo S. (2019) Prediction Model of Flexural Properties of LEFC using Foaming agent. J. Korea Institute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19(1), 009-018. 

  11. KIM T. (2018) Study on Optimum Mixing and Strength Improvement of Concrete for Light weighting of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M.E. Thesis,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Architecture. 

  12. Kim B and Han Y. (2018), Flexural Performance of Transparent Plastic Bar Reinforced Concrete. Applied Sciences, 8(3), 325-341. 

  13. Ryu D. (2017), A Review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9(2), 38-44. 

  14. Choi J, Koh K and Lee B. (2015),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Combination of Fib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4), 49-56. 

  15. Shin Y, Noh S and Suh K. (1993), Synthesis of Acrylic-Diene Block Copolymer and Physical Properties of PMMA Resin Containing Block Copolymer. Polymer(Korea), 18(1), 28-37. 

  16. Oh S, Lee T, Park J, Kim D, Park W and Choi S. (2018), A Study on Solar Reflectance of Cool-Roof Coating Material with Heat Barrier and Waterproofing Performance According to Color Type.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8(1), 251-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