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내 부유물질 거동 분석을 통한 도암댐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of Doam Dam Operation by the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Behavior in the lake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6, 2019년, pp.470 - 480  

염보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기후환경변화예측연구센터) ,  문희일 ((주)에코인) ,  윤동구 ((주)에코인) ,  최정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am lake watershed was designated as a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area in 2007 to improve water quality based on watershed management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with respect to the watershed management impacting the pollutant transport of the rese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점오염원 저감대책이 호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역의 유출과 호내 거동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를 기반으로 댐 운영시 수질개선효과와 그 운영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도암호 유역의 부유물질 유출량과 토사량을 모의하고, 부유물질의 호내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HSPF 유역모델과 CE-QUAL-W2 호소모델을 연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저감대책이 호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유물질의 유역 유출과 호내 거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댐 운영시 수질개선 효과와 그 운영방안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유역관리 및 호내 대책 중심의 수질개선대책 효과를 포함하여 도암호의 탁수 문제 해결을 위한 댐 운영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S0 시나리오는 현재 상태(2017년 조건)에서 발전방류를 재개하여 남대천으로 방류수가 유입되는 대조 시나리오이다. S1 시나리오는 사면보호공, 농로포장, 우회수로, 저감팬스 등 도암호 유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대책이 향후 10년 동안에도 현재와 유사한 수준으로 연간 4,545 ㎥의 토사유출을 저감할 것을 가정하고(ME, 2014), HSPF 모델 내에서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 BMP) 효율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 도암호 유역에서 유입되는 탁수를 저감하기 위한 시나리오는 유역대책과 호내대책으로 구분하였다(Table 1). 수질개선 대책 시나리오는 2017년 기상, 유량 및 수질 조건에서, 2001년 이전과 유사하게 일평균 9시간, 40만 ㎥/day로 발전방류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S0 시나리오는 현재 상태(2017년 조건)에서 발전방류를 재개하여 남대천으로 방류수가 유입되는 대조 시나리오이다.
  • 호내대책(S2-S4)은 각 호소대책에 유역관리대책(S1)이 함께 적용된다고 가정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S2 시나리오는 호소 유입부에 10만 ㎥/day 용량의 침강지와 부유물질 차단막을 설치하여 토사유입을 저감하는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관리지역 지정제도에 근거하여 도암호에서 추진된 사업은? 비점오염관리지역 지정제도 는 비점오염원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로 인하여 하천이나 호소 등의 이용목적,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자연생태계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의 수질 을 관리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이 제도에 근거하여 도암호 유역에서는 도암호 말단지점에서 SS 항목이 호소수질 Ⅱ등 급인 5.0 ㎎/L 이하로 유지되도록 저감사업이 추진되어 왔 다. 도암호의 수질개선대책은 주로 상류유역의 비점오염원을 관리하여 호내로 유입되는 토사를 저감시키는 침사지, 식생 수로, 식생매트, 작목전환 등 유역관리대책 중심으로 시행되 었다.
도암댐이란? 72 ㎞이다. 도암댐은 1989년 8월 남한강 최상류인 송천을 막아 15.6 ㎞의 지하도 수로를 통해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수력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건설된 유역변경식 댐이다. 도암댐은 1990년 에 준공되어 운영되었으나, 도암호 상류 유역의 오염원 유입 으로 인해 발전 방류지역인 강릉남대천에서 수질오염문제가 야기되어 2001년 이후 가동이 정지된 상태이다.
고랭지 농업의 경우에 토양유실이 가속화되는 이유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림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경작지 확 보를 위한 개간이나 지력 증진을 위해 성행되는 객토, 기계 화 영농을 위한 밭두렁 제거 등 비합리적인 토지이용으로 토 양유실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지형이 높고 경사가 심한 곳 에서 이루어지는 고랭지 농업의 경우에는 작물 재배 기간 외 에는 밭고랑이 나지상태로 유지되며, 강우를 배제할 수 있는 빗물 우회수로나 배수로가 거의 없어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 이 가속화된다(Cho, 2018; Heo et al., 2008; Jang and Kim, 2018;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K. G. (2001). Seasonal patterns of reservoir thermal structure and water column mixis and their modifications by interflow current, Journal of Korean Ecology and Environment, 34(1), 9-19. [Korean Literature] 

  2. Cho, J. H. (2018).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of rainfall-runoff from dense highland field areas in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 focused on jaun area in upstream watershed of lake soyang,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2), 170-180. [Korean Literature] 

  3. Choi, J. W., Shin, D. S., Lim, K. J., Lee, S. S., and Kang, M. J. (2012). Estimation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of the doam reservoir under dry and wet weather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2), 113-121. [Korean Literature] 

  4. Choi, Y. B., Choi, B. S., Kim, S. W., Lee, S. S., and Ok, Y. S. (2010). Effects of polyacrylamide and biopolymer on soil erosion and crop productivity in sloping uplands: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1), 1024-1029. [Korean Literature] 

  5. Chung, S. W. (2004). Density flow regime of turbidity current into a stratified reservoir and vertical two-dimensional mode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9), 970-978. [Korean Literature] 

  6. Donigian, A.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7. Heo, S. G., Jun, M. S., Park, S. H., Kim, K. S., Kang, S. K., and Ok, Y. S. (2008).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ratio with changes in soil reconditioning amount for highland agricultural cro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 185-194. [Korean Literature] 

  8. Jang, S. S. and Kim, S. J. (2018).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best management practices of highland agricultural watershed under RCP scenarios using SW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0(4), 123-132. [Korean Literature] 

  9. Kim, B. R. and Kang, B. S. (2013).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for spatial and temporal temperature simulation in the hapcheon dam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2), 1181. [Korean Literature] 

  10. Kim, Y. H., Kim, B. C., Choi, K. S., and Seo, D. I. (2001). Modeling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transport of density flow in soyang reservoir using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15(1), 40-49. [Korean Literature]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accessed Jun, 2018) 

  12.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09). Survey and manual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3. Lee, H. W., Kim, E. J., Park, S. S., and Choi, J. H. (2015).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movement of turbidity flow in a stratified reservoir, Water resources management, 29(11), 4095-4110. 

  14. Lee, S. I., Shin, J. Y., Shin, M. H., Joo, S. H., Seo, J. Y., and Lee, J. Y. (2017).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runoff in highland field field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4), 85-98.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4).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in highland 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3-44.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4).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oam lak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VI), Ministry of Environment, 93.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doam lak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VIII), 11-1480358-000123-01,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3-21. [Korean Literature] 

  18.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282-290.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2010). Monitoring and evaluation report on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area in soyang lake and doam basin(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3-63. [Korean Literature]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2011). Assessing the action plans in the control area of non-point source pollution(I), NIER-RP2011-137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1-18. [Korean Literature] 

  21. Shin, C. M., Na, E. Y., Lee, E. J., Kim, D. G., and Min, J. H. (2013). Operational hydrological forecast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HSPF watershe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2), 212-222. [Korean Literature] 

  22. Yi, H. S., Jeong, S. A., Park, S. Y., and Lee, Y. S. (2008). Modeling study of turbid water in the stratified reservoir using linkage of HSPF and CE-QUAL-W2,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0(1), 69-78.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