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저서동물 하천하상지수(BMSI) 개선을 위한 수질요인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Factor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Streambed Index (BMSI) Improvem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6, 2019년, pp.539 - 549  

김동희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공동수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6, Benthic Macroinvertebrates Streambed Index (BMSI) was proposed as an index to evaluate streams as benthic macroinvertebrate depending on the substrate type of streambed. However, orignal BMSI were sel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water quality. Analyzes without water quality do not consti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Kong and Kim (2016)에 의해 하상 기질의 조성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대변 할 수 있는 저서동물 하천하상지수(Benthic Macroinvertebrates Streambed Index, BMSI)가 개발됨으로써 이를 수생태계 변화의 원인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MSI의 구성은 개체수 출현도와 지표가중치의 곱으로 가중평균한 하상지수 값을 0∼100점으로 계량화한 형태로 구성되어있고, 점수의 구간별로 등급을 나누고 있다(Kong and Kim,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질 요인과는 독립적으로 하상 기질의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비교적 양호한 수질 상태를 가진 6,571개 표본단위를 기반으로 기존의 저서동물 하천하상지수(BMSI)를 개선하였다. 그 결과 총 191개 분류군 중 126개 분류군의 대표하상지수가 새로이 산정되었다.
  • 수질 또한 물리적 요인과 함께 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수질에 독립적이지 않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가 온전히 하상 기질에 의한 영향만을 대변한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비교적 양호한 수질 조건에서 하상 기질의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BMSI를 보다 정확한 생물학적 하상지수로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상 기질의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특성을 분석에서 보완할 점은? 그 결과 총 191개 분류군 중 126개 분류군의 대표하상 지수가 새로이 산정되었다. 비교적 수질 요인에 독립적이면서 더 큰 표본단위를 기반으로 지표 분류군들의 대표하상지 수가 개선됨에 따라 향후 하상 교란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을 보다 더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또한 수질 요인 외에도 유속이나 다른 물리적 환경요소도 고려하여 보완한다면 독립적인 하상으로만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하상 기질의 조성이 저서생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08; Minshall, 1984). 또한 하상 기질의 조성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Beisel et al., 1998; Erman and Erman, 1984), 유속과 더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구조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인자로 평가받고 있다(Corkum, 1989; Yoon et al, 1992b).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특성 분석 시 수질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하상 기질의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특성을 분석 시, 수질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수질 또한 물리적 요인과 함께 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수질에 독립적이지 않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가 온전히 하상 기질에 의한 영향만을 대변한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비교적 양호한 수질 조건에서 하상 기질의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BMSI를 보다 정확한 생물학적 하상지수로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isel, J. N., Usseglio-Polatera, P., Thomas, S., and Moreteau, J. C. (1998). Stream community structure in relation to spatial variation: The influence of mesohabitat characteristics, Hydrobiologia, 389, 73-88. 

  2. Corkum, L. D. (1989). Patterns of benthic invertebrate assemblages in rivers of northwestern North America, Freshwater Biology, 21, 191-205. 

  3. Culp, J. M., Walde, S. J., and Davies, R. W. (1983). Relative importance of substrate particle size and detritus to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 distribution,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0, 1568-1574. 

  4. Death, R. G. (2000). Invertebrate-substratum relationships, In New Zealand Stream Invertebrates and Ecolog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Collier, K. J., Winterbourn, M. J. (eds.), New Zealand Limnological Society, Hamilton, 157-178. 

  5. Duan, X., Wang, Z., and Tian, S. (2008). Effect of streambed substrate on macroinvertebrate biodiversity, Frontiers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in China, 2(1), 122-128. 

  6. Duan, X., Wang, Z., Xu, M., and Zhang, K.. (2009). Effect of streambed sediment on benthic ecology, International Jounal of Sediment Research, 24, 325-338. 

  7. Erman, D. C. and Erman, N. A. (1984). The response of stream macroinvertebrates to substrate size and heterogeneity, Hydrobiologia, 108(1), 75-82. 

  8. Finlay, J. C., Khandwala, S., and Power, M. E. (2002). Spatial scales of carbon flow in a river food web, Ecology, 83, 1845-1859. 

  9. Gore, J. A., Layzer, J. B., and Mead, J. (2001). Macroinvertebrate instream flow studies after 20 years: a role in stream management and restoration,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17, 527-542. 

  10. Hansell, M. H. (1976). A progress report on some approaches to the study of larval house building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epidostoma hirtum,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Trichoptera, 181-184. 

  11. Hawkes, H. A. (1979). Invertebrates as indicators of river water quality,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ames, A., Evison, L. (eds.), Chichester, 2-45. 

  12. Hellawell, J. 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Pollution Monitoring Serie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546. 

  13. Kim, Y. J. and Kong, D. (2018). Estimation on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Hwayang stream, Jou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1), 10-25. 

  14. Kong, D. and Kim, J. Y. (2016). Developmen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treambed index (BMSI) for bioassessment of stream physical habita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1), 1-14. [Korean Literature] 

  15. Kong, D., Son, S. H., Hwang S. J., Won, D. H., Kim, M. C., Park, J. H., Jeon, T. S., Lee, J. E., Kim, J. H., Kim, J. S., Park J., Kwak, I. S., Jun, Y. C., Park, Y. S., Ham, S. A., Lee, J. K., Lee, S. W., Park, C. H., Moon, J. S., Kim, J. Y., Park, H. K., Park, S. J., Kwon Y., Kim P., and Kim, A. R. (2018a). Developmen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 for biological assessment on stream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2), 183-201. [Korean Literature] 

  16. Kong, D., Park, Y., and Jeon, Y. R. (2018b). Revision of ex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 Korea, Jou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3), 251-269. [Korean Literature] 

  17. Malmqvist, B. and Rundle, S. (2002). Threats to the running water ecosystems of the world, Environmental Conservation, 29, 134-153. 

  1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19.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0. Minshall, G. W. (1984). Aquatic insect-substratum relationships, In The Ecology of Aquatic Insects, Resh, V. H., Rosenberg, D. M. (eds.), Praeger Publishers, New York, 358-400. 

  21. Nilsson, C., Reidy, C. A., Dynesius, M., and Revenga, C. (2005). Fragmentation and flow regulation of the world's large river systems, Science, 308, 405-408. 

  22.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ely, 165. 

  23. Shannon, C. 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4. Thomas, W. A. (1972). Indicators of environmental quality: An overview, Thomas, W. A. editor, Indicators of Environmental Quality, Plenum Publishers, New York, 1-5. 

  25. Townsend, C. R., Scarsbrook, M. R., and Doledec, S. (1997a). Quantifying disturbance in streams: alternative measures of disturbance in relation to macroinvertebrate species traits and species richnes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16, 531-544. 

  26. Townsend, C. R., Doledec, S., and Scarsbrook, M. R. (1997b). Species traits in relation to temporal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streams: a test of habitat templet theory, Freshwater Biology, 37, 367-387. 

  27. Won, D. H., Jun, Y. C., Kwon, S. J., Hwang, S. J., Ahn. K. G., and Lee, J. K. (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2(5), 768-783. [Korean Literature] 

  28. Yoon, I. B., Kong, D. S. and Ryu, J. K. (1992a).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1) saprobic valency and indicative valu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10(1), 24-49. [Korean Literature] 

  29. Yoon, I. B., Kong, D. S., and Ryu, J. K. (1992b).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2) -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to community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10(1), 40-55. [Korean Literature] 

  30. Yoon, I. B., Kong, D. S., and Ryu, J. K. (1992c).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3)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Evaluatio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10(2), 77-84.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