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DC-NIER 모델을 이용한 영산강 하구 물흐름 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Yeongsan River and Estuary Using EFDC Model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6, 2019년, pp.580 - 588  

신창민 (국립환경과학원) ,  김다래 (국립환경과학원) ,  송용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w of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is stagnant by two weirs of Seungchon and Juksan and the estuary dam and maintained in freshwater.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EFDC-NIER) model was applied to the Yeongsan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목적은 EFDC-NIER 모델을 이용하여 영산강 본류 구간과 하굿둑에서의 물 흐름과 수온 및 염분 성층 변화를 모의 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을 이용하여 하굿둑 개방이 영산강 하류 물 흐름 변화와 염분 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EFDC-NIER 모델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EFDC 모델을 기반으로 다기능 보 운영, 다중 조류 종 기작, 조류의 수직 이동 기작 등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한 모델이다(NIER, 2011; 20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의 수질상황은 어떠한가? 이처럼 영산강은 본류의 다기능 보와 하구의 하굿둑으로 인해 물흐름이 인위적으로 조절되고 있으며, 대규모 하수처 리장와 유역내 고밀도 축산과 농업 영향으로 한강, 낙동강, 금강 등에 비해 수질이 나쁜 상황이다. 이에 영산강 수질 및수생태계 개선을 위한 계획 수립과 평가를 위해서는 영산강의 물흐름과 다양한 수리구조물의 운영 특성을 모의할 수 있는 모델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먹이로 이용되는 것은? 하구는 하천과 바다의 교차지점으로 담수와 해수가 혼합하는 전이수역으로 반폐쇄성 기수역(Brackish water zone)을 형성한다(Prichard, 1967). 또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먹이로 이용되며, 하구는 많은동⋅식물들이 산란 및 서식하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 적으로 하굿둑이나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들은 수체의 흐름을 정체시켜 수질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수체에 서식하는 생물상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 et al.
하구 수질악화의 원인은? 또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은 하구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먹이로 이용되며, 하구는 많은동⋅식물들이 산란 및 서식하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 적으로 하굿둑이나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들은 수체의 흐름을 정체시켜 수질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수체에 서식하는 생물상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 et al., 2013). 정체된 수역에서는 수온에 의한 성층이 형성되 면서 저층의 용존산소가 감소하고 부영양화 된 담수가 하굿 둑을 통해 연안으로 유입되면서 연안의 수질에도 영향을 줄수 있다(Sin and Jeong, 2015). 특히, 영산강은 4대강 중 수질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산강 하류에서는 고농도 인과 질소로 인하여 부영양화, 저층 산소고갈, 연중 고농도 식물플랑크톤 발생 등으로 상시적인 환경문제가 보고되고 있다(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ng, K. Y., Kim, T. I., Song, Y. S., Lee, J. H., Kim, S. W., Cho, J. G., Kim, J. W., Woo, S. B., and Oh, J. K. (2013).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during the 2011 summer flood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2), 76-93. [Korean Literature] 

  2. Choi, H. G., Han, K. Y., and Park, J. H. (2017).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stratification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7(3), 561-573. [Korean Literature] 

  3. Han, C. S., Park, S. K., Jung, S. W., and Roh, T. Y. (2011). The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1), 101-108. [Korean Literature] 

  4. Jung, S. Y. and Kim, I. K. (2017). Analysis of water quality factor and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hl-a in middle and downstream weir section of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9(2), 89-96. [Korean Literature] 

  5. Kang, B. S., Park, H. B., and Kim, J. K. (2015). Saltwater intrusion characteristics in Seomjin river estuary using EFDC,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6), 1842-1853. [Korean Literature] 

  6. Kim, D. H. and Ryu, H. H. (2003). Water quality in Mokpo coastal area after a strong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6(2), 28-37. [Korean Literature] 

  7. Kim, E. J., Park, C. M., Na, M. J., Park, H. Y., and Kim, B. S. (2018). Impact analysis of tributaries and simulation of water pollution accident scenarios in the water source section of Han River using 3-D hydrodynami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4), 363-374. [Korean Literature] 

  8. Kim, J. W., Yoon, B. I., Song, J. I., Lim, C, W., and Woo, S. B. (201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in Yeoungsan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2), 103-111. [Korean Literature] 

  9.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KOEM). (2019). Marine Environmet Information System (MEIS), http://meis.go.kr/rest/obj_koem_port_new/obj/ALL/ALL/ALL/20150201/20161130/1 (accessed May 2019).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ion (KMA). (2019).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 (accessed May 2019). 

  11.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C). (1999). Operational guide of drainage gate of Yeongsan River estuary dam,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2. K-water. (2019). My water, http://www.water.or.kr/realtime/sub01/sub01/dam/hydr.do (accessed May 2019). 

  13. Kwon, K. Y., Lee, P. G., Park, C., Moon, C. H., and Park, M. O. (2001).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6(2), 93-102. [Korean Literature] 

  14. Lee, H. D., Ahn, T. J., and Kim, K, S. (2015). Simulations of the water temperature & circulation in the Assan Bay using EFD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6(6), 566-573. [Korean Literature] 

  15. Li, J. P., Dong, S. K., Liu, S. L., Yang, Z. F., Peng, M. C., and Zhao, C. (2013). Effects of cascading hydropower dams on the composition, biomass and biological integrity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middle Lancang-Mekong River, Ecological Engineering, 60, 316-324. 

  16.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http://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 (accessed May 2019).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2011). Development of 3-D, Time-Variable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for the Water Quality Forecasti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Korean Literature]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2014). An Advanced Research on the 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 and the Numerical Models(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Korean Literature] 

  19. Prichard, D. W. (1967). Tidal currents in shelf seas-their nature and impacts, Progress in Oceanograpy, 40, 245-261. 

  20. Shin, C. M., Min, J. H., Park, S. Y., Choi, J. K., Park, J. H., Song, Y. S., Kim, K. H. (2017). Operational water quality forecast for the Yeongsan river using EFDC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2), 219-229. [Korean Literature] 

  21. Sin, Y. S. and Jeong, B. K. (2015).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stressors in a highly altered temperate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6, 83-91. 

  22. Son, M. S., Park, J. H., Lim, C. H., Kim, S. K., and Lim, B. J. (2013).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2), 105-112. 

  23. Yeongs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YRFCO). (2019). Yeongs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YRFCO), http://yeongsanriver.go.kr/contents.do (accessed May 2019). 

  24. Yoon, B. B., Lee, E. J., Kang, T. A., and Shin, Y. S. (2013).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tophyll-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6(2), 205-214. [Korean Literature] 

  25. Yun, Y. J., Jang, E. J., Park. H. S., and Chung, S. W. (2018).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and control alternatives in Sejong weir using EFDC mode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548-56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