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 해양자료 복원을 통한 한반도 주변해역 표층수온의 장기변동 연구
A Study of Long-term Trends of SST in the Korean Seas by Reconstructing Historical Oceanic Dat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7, 2019년, pp.881 - 897  

박명희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송지영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준수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수산과학원은 과거 해양관측자료 복원사업을 통해 1961년 이전의 정선해양관측 및 연안정지관측 자료를 복원하여 디지털화 하였다. 먼저 한국근해 해양관측(정선해양관측) 자료 중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점이 일치하는 21개 정점에 대한 지난 80년-92년간 표층수온의 연변동을 분석한 결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상승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서해와 남해는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연안역보다 근해역에 위치한 정점에서 수온상승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해는 기존 연구와 달리 연안역보다 근해역에 위치한 정점에서 낮은 수온상승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복원된 연안정지관측 자료 중 각 동·서·남해를 대표할 수 있는 3개 정점에 대한 지난 89년-98년간 표층수온의 연변동을 살펴보면 동해(주문진, 1.63℃), 남해(거문도, 1.16℃). 서해(부도, 0.79℃)로 동해의 상승경향이 가장 뚜렷하였으며, 뚜렷한 주기성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대체로 3~6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대부분 정점에서 양의 편차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연안정지관측정점의 표층수온변화에 따른 기온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값이 남해(거문도)는 0.76, 서해(부도)는 0.34, 동해(주문진)는 0.32로 남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constructed and digitized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s (NSO) and Coa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s (NCO) data attained prior to 1961 through historical 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rescue projects. Increasing trends of long-term sea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원된 한국근해 해양관측(정선해양관측) 자료 중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점이 일치하는 21개 정점과 복원된 연안정지관측 자료 중 각 동·서·남해를 대표할 수 있는 3개 정점에 대하여 장기간 표층수온의 연변동과 수온편차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표층수온 변화는 어떠한가?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표층수온은 최근 47(1968-2014)년간 1.18℃ 상승하였으며, 같은 기간 전 세계의 표층수온은 0.38℃ 상승하였다. 우리나라의 수온상승률은 전 세계 평균수온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이는 한국 주변해역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도 해양 표층의 수온이 대기와 마찬가지로 상승하고 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Hahn, 1994; Kang, 2000; KMA, 2008).
한반도 주변의 해양은 어떤 특징이 있나? 019℃/year) 상승하여, 과거자료의 복원에 따른 수온 상승률보다 빠르게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반도 주변의 해양은 대체로 온난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Seong et al.
표층수온 상승의 원인은 무엇인가? , 2015; ME and NIER, 2015). 이러한 전 지구적인 기온의 상승은 대기-해양 간 열 교환을 통하여 해양의 표층과 저층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쳐 해양의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의 원인이 되고(Kim et al,, 2012), 해수면온도(SST)는 해수의 물리적 변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양과 기상 및 기후연구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Jo et al.,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a, K. J., E. H. Ha, C. S. Yoo, and E. H. Jeon(2004), Temperature Trends and Extreme Climate since 1909 at Big Four Cities of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0, No. 1, pp. 1-16. 

  2. Hahn, S. D.(1994), SST warming of Korea coastal waters during 1881-1990, KODC Newsletter, Vol. 24, pp. 29-38. 

  3. Hwang, J. D., Y. S. Suh, and J. S. Ahn(2012), Propert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derived from NOAA satellite in Northeastern Asian Waters from 1990 to 2008,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 6, No. 2, pp. 130-136. 

  4. Jang, S. M., S. S. Kim, Y. C. Choi, and S. G. Kim(2006), A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Air- Temperature of Jeju and SST around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9, No. 1, pp. 55-62. 

  5. Jeong, H. D., J. D. Hwang, K. K. Jung, S. Heo, K. T. Sung, W. J. Go, J. Y. Yang, and S. W. Kim(2003), Long Term Trend of Chang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around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9, No. 2, pp. 59-64. 

  6. Jo, Y. J., S. D. Hahn, and Y. Q. Kang(1997), Long-term Fluctuation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s Between Pusan and Tsushima Island, Research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p. 52. 

  7. Jung, H. S., Y. Choi, and J. H. Oh(2002), Recent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2, No. 11, pp. 1327-1337. 

  8. Kang, Y. Q.(2000),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Journal of Fisheries Sciense and Technology, Vol. 3, No. 3, pp. 173-179. 

  9. Kang, Y. Q. and C. S. Rho(1985), Annual and Interannual Fluctuations of Air Temperature in Korea during the Past 30 Years(1954-1983),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1, No.3, pp. 1-10. 

  10. Kang, Y. Q. and M. S. Jin(1984),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Temperature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9, No. 1, pp. 31-35. 

  11. Kim, H. Y., S. T. Yu, M. H. Yi, G. S. Kim, H. T. Shin, and B. D. Kim(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Warmth Index.Coldness Index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Vol. 10, No. 2, pp. 153-164. 

  12. Kim, J. J., H. S. Min, C. H. Kim, J. H. Yoon, and S. A. Kim(2012), Prediction of the Spawinin Ground of Todarodes pacificus under IPCC Climate A1B Scenario, Journal of the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4, No. 2, pp. 253-264. 

  13. Kim, S. J., S. H. Woo, B. M. Kim, and S. D Hur(2011),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 Journal of the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3, No. 3, pp. 281-290. 

  14. Kim, S. W., J. W. Im, B. S. Yoon, H. D. Jeong, and S. H. Jang(2014), Long-Term Variation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601-608. 

  15. KMA(2008), Long-term Trend of Sea Water Temperature in the Korean Seas and the Northeast Asian Sea induced by Climate Chang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 18. 

  16. Lee, M. I. and I. S. Kang(1997), Temperature Variability and Warming Trend in Korea Associated with Global Warming,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33, No. 3, pp. 429-443. 

  17. ME and NIER, Korea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14-Impacts and Adaptation of Climate Change(2015),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 6. 

  18. Min, H. S. and C. H. Kim(2006), Interannual Variability and Long-term Trend of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Journal of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 No. 4, pp. 415-423. 

  19. Seong, K. T., J. D. Hwang, I. S. Han, W. J. Go, Y. S. Suh, and J. Y. Lee(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4, pp. 353-3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