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NP기법을 이용한 조경성능 및 친환경 평가항목 중요도 비교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for Landscap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Using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45 - 52  

류명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형숙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제기준 및 규격의 적용이 요구됨에 따라 조경분야에서도 성능기준 마련 및 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건축이나 토목분야와 비교하여 이에 대한 논의와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분야의 성능 및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도출하고, 국내 실무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항목간의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친환경 평가도구 및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설문을 통해 주요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30명의 조경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적 네트워크 의사결정 (ANP)기법을 통해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결과, 평가항목 간의 중요도 분석에서 부지 선정 및 보존과 건강 및 편의가 높게 나온 반면, 재료 및 시설물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부항목의 중요도는 모니터링 계획, 문화·역사적 장소 보존, 관리비용 절감방안, 자연지반 면적, 유실된 하천·습지 보존·복원 등의 순으로 높게 나왔으며 옥상/벽면 녹화, 자생식물 이용, 표토저장 및 이용, 지역재료 이용 등의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조경성능 및 친환경성 평가에 대한 객관적 지표정립 및 정량화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나, 다수의 조경분야 전문가들은 기존 건축물 중심의 친환경 인증체계와 분리된 평가체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해외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나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평가항목이 존재하므로, 향후 조경성능 평가기준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함께 실무자들의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international criteria and standards are required in the fields of design and construction, landscape performance must also be considered not only for the value of the landscape but also for providing quality assurance and sustainability. Given the lack of research on landscape performance,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조경 성능기준과 체계구축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무자들의 의견들이 충분히 반영되어 국내 실정에 맞는 평가항목 선정으로 효율적인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법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동안 논의가 부족했던 조경성능에 대한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조경성능 및 친환경 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평가항목 추출과정 및 ANP 설문에 있어 제한된 숫자의 전문가만이 참여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향후 조경분야뿐 아니라 건축 및 엔지니어 분야의 실무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외부공간 및 조경성능의 친환경 평가제도에 관한 논의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조경분야에서의 성능 및 친환경 평가기준 개발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으로, 주요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국내 조경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항목의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힘든 평가나 평가기준에 관한 불확실한 상황에서 다양한 그룹의 의견을 반영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분석법(ANP)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논의의 시작을 위한 예비조사 차원에서 문헌 고찰을 통해 조경분야의 성능 및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도출하고, 국내 실무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항목 간의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경분야의 성능평가 항목선정 및 분류체계를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향후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성능항목분류체계 구축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 2007; Lim and Lee, 2006; Lee, 2014). 이에 본연구는 기존 여러 조경성능 및 친환경성 평가요인들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및 중요도 평가를 통해 향후 국내 조경성능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능 중심의 기준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성능 중심의 기준이란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사용재료나 공법에 관계없이 해당 시설물의 요구 성능에 맞추어 설계 및 시공기준을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Kwon, 2012). 성능중심의 평가는 시공방법에 관한 세부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필요한 기능의 확보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주체별 대안 창출을 통한 품질 향상 및 사용자 편익 최대화, 생애주기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진다(Kim, 2007).
시애틀 Green Factor의 장점은 무엇인가? 시애틀 Green Factor는 시애틀 도시에서 신규 개발되는 부지에서 조경면적을 늘리고,품질을 향상시켜 생태학적 기능과 지형의 미적 특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Hirst, 2008). 엄격한 기준을 준수하기 보다는 시스템의 기능적 양에 대한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도시의 녹색 인프라 구축에 유연한 접근방식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부지, 식재, 옥상녹화, 벽면녹화, 물, 포장, 토양, 보너스의 8개 분야로 나누어 총 2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중심 평가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성능 중심의 기준이란 설계 및 시공에 있어 사용재료나 공법에 관계없이 해당 시설물의 요구 성능에 맞추어 설계 및 시공기준을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Kwon, 2012). 성능중심의 평가는 시공방법에 관한 세부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필요한 기능의 확보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주체별 대안 창출을 통한 품질 향상 및 사용자 편익 최대화, 생애주기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진다(Kim, 2007). 과거 성능 기준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환경․설비나 정보통신 등의 특정분야에 국한되어 진행되었으나, 최근 국제기준 및 규격이 적용이 요구됨에 따라 건축, 토목 등의 분야에서도 성능 중심의 건설기준 개발 연구 및 법규․기준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R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Y. (2013) Analyzing weights of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on the g-seed system using the ahp method -Focused on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partment buildings. KIEAE Journal 13(6): 113-120. 

  2. Choi, Y., B. H. Song and B. Y. Yang(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factors at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3): 37-49. 

  3. Global Procurement Assistance(2016) Protocol Amending the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 

  4. Han, C. K.(2018) Needs for performance centered quality standard. Construction Economy News. 

  5. Hirst, J.(2008) Functional Landscapes:Assessing Elements of Seattle Green Factor. The Berger Partnership. 

  6. Jang, D. H., H. S. Kim and T. H. Kim(2012) A study on the supplementation of the biotop area ratio by case study of outdoor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s. Journal of the KIEAE 12(1): 3-10. 

  7. Jung, Y. J. and K. H. Lee(2017)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on of revitalization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115-123. 

  8. Kim, H. Y.(2015) A Study on Development Evaluation Model of Outdoor Space for Remodeling Apartment, Master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9. Kim, J. H. and S. H. Kim(2017) Evaluation scheme for ecomobility policy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HP and AN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5(3): 183-196. 

  10. Kim, M. S.(2007) Preparatory applications for performance-based regulatory system in Japanese landscape architecture related fiel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37-45. 

  11. Kim, T. H., T. H. Kim, K. S. Jung, J. H. Ku and J. M. Won(2009)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pedestrian quality of service using analytic network process.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1): 211-222. 

  12. Kim, Y. J., S. J. Hong and K. H. Ahn(2011)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old city cent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rough analytic network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3): 89-108. 

  13. Kwon, S. A.(2012)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design criteria based on performanc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4. LaClergue, D.(2013) Seattle Green Factor: Improving livability and ecological function through landscaping standards. 

  15.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2018) Evaluating Landscape Performance: A Guidebook for Metrics and Methods Selection. 

  16. Lee, H. S.(2014) Assessment items of outdoor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SITES-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G-SEED and LEED. KIEAE Journal 14(4): 11-18. 

  17. Lee, H. S.(2016)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design strategies and assess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3): 56-64. 

  18. Lim, S. N. and J. H. Lee(2006)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riendly environment valuation indicator for the exterior space of complex. Housing Studies Review 14(2): 195-220. 

  19. Ministry of Foreign Affairs(2001)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http://www.mofa.go.kr/www/brd/m_3893/ 

  20. Na, C. H.(2012) Needs of Performance Standards in Landscape Architecture. Lafent. 

  21. Nam, H. R. and B. Y. Lee(2016). Research on the well-being-centr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KIEAE Journal 16(6): 29-38. 

  22. Roh, T. I., S. H. Kim, S. W. Ji, S. K. Chio and C. H. Seo(2009) A fundamental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based building codes focused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3): 77-84. 

  23. Saaty, T. L.(2008)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1(1): 83-98. 

  24. Seong, S. T., S. Yu and S. Yang(2012) Open space design for certificated green apartment housing. Urban Design 13(3): 83-92. 

  25. Sun, T. K.(2019) In needs of an integrated system for landscape management and performance standardization. Korean Construction News. 2019. 07. 29. 

  26. Yoon, S. M., T. I. Roh, S. H. Kim, S. W. Ji, S. K. Choi and C. H. Seo(2009) A fundamental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based systematic method for selecting building materials.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 487-490. 

  27. Yu, C. K., K. Byun and S. Cho(2014) Defining a village-focused green index and evaluating value structures using AHP.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16(1): 41-48. 

  28. City of Helsinki Environment Centre. www.integratedstormwater.eu 

  29.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www.landscapeperformance.org 

  30. Sustainable Sites Initiative. www.sustainablesites.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