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와 ANP 중심의 다기준 의사결정 기반 생태교통정책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Evaluation Scheme for EcoMobility Policy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HP and ANP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3, 2017년, pp.183 - 196  

김정화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ITS연구실) ,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제사회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생태교통 정책의 효율적 추진이 가능하도록 그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에 "생태교통의 구현요소", "생태교통의 토지이용과 교통체계", "생태교통의 결과 및 영향" 의 큰 3가지 평가항목을 주축으로 총 8개 평가목표와 22개 평가 지표가 검토되고 제시되었으며, 종합적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별 가중치 산정시 AHP와 ANP 기법을 통해 양방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계층적 구조만 반영된 AHP의 분석결과는 "생태교통의 추진요소"와 "생태교통의 인프라구축", 그리고 "생태교통의 안전성"이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반면, 요소간 종속성이 추가적으로 고려된 ANP의 결과에서는 "생태교통의 서비스", "생태교통의 복지성" 그리고 "생태교통의 환경성"이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생태교통 정책평가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두 기법의 분석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생태교통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기법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olicy evaluation scheme was established to encourage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coMobility which has been expanding gradually all around the world. A total of eight evaluation goals and 22 evaluation items are review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three major evaluation catego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NP 분석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시행되어져야 한 상관관계 규명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비용적 제약으로 인해 22개의 하위 평가지표는 규명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3개의 상위평가항목과 중위 8개의 평가목표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달 동안 시행된 전문가 설문조사의 조사지에 평가항목 및 평가목표간의 상관관계를 묻는 질문항을 포함시켰으며 총 69인의 응답을 통해 상관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
  • 더 나아가 “생태교통의 토지이용과 교통체계” 항목에 포함되는 3가지의 평가목표인 토지이용과 인프라구축 그리고 교통서비스 간에도 상호 인과성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P 분석을 위해 기존의 AHP 조사를 위한 전문가 응답자 수보다 많은 샘플수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현실적인 시간과 비용적 조건을 고려하여 생태교통과 연관성이 있는 분야의 전문가 69인(도시 11, 건축 2, 조경 3, 교통 46, 환경 1, 기타 4, 미응답 2)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약 45%는 박사수료 이상의 교육수준을 갖고 있으며 33명의 응답자는 연구원 및 교수로 재직 중인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통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 · 외 사례분석을 통해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지표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며, 개발된 평가지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 번째 평가항목인 “생태교통의 구현요소”에는 생태교통 도시가 되기 위해서 도시가 이에 관한 비전과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비전과 전략에 대한 정치적/행정적 수준에서의 지원이 있는지 확인하는 정책시행 의지 지표와 걷기, 자전거타기, 대중교통이용 촉진 및 교통량 저감에 지출되는 평균예산의 비율을 평가하는 정책시행 예산확보 지표를 통해 도시가 생태교통 추진요소를 확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계획, 자전거 이용활성화계획 그리고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 등의 수립여부 확인을 통해 해당 도시가 생태교통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 Kim(2014)는 생태교통을 기존의 녹색교통, 지속가능한 교통과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친환경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인이라면 누구도 소외받지 않도록 많은 교통수단을 포함시킴으로써 교통약자 및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특성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걷기, 자전거 타기, 바퀴달린 기구 타기, 대중교통의 이용 및 이러한 개별 수단들을 연결하는 복합 운송에 중점을 두는 친환경적인 교통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생태교통은 운송수단 전환에 중점을 두는 녹색교통과 환경 ・ 경제 ・ 사회를 포괄한 광범위한 개념인 지속가능교통과 함께 환경친화적인 교통체계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도로를 사회적 포용성 측면에서 누구나 참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레크레이션 공간으로 해석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생태교통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기후친화적인 교통체계로 지속가능교통, 녹색교통과 아주 차별화된 개념은 아니지만, 교통체계의 친환경성과 사회적 포용성을 강조한 좀 더 진전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통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생태교통정책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구축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대상으로 AHP기법을 통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지표간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ANP기법의 적용을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AHP 및 ANP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앞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지표를 대상으로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2달 간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표별 영향도(종속성) 및 중요도에 대해 전자메일을 통한 직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생태교통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생태교통의 실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분야의 대안제시와 더불어 생태교통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것이 목표이므로 계량화할 수 있고, 구득이 가능한 지표를 중심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사례분석을 통해 생태교통 평가지표의 강점을 반영하고, 생태교통의 개념을 포함하며 또 통계청 및 지자체를 통해 구득할 수 있는 지표로 구성된 생태교통 평가지표를 구축하였다.
  • 더 나아가 “생태교통의 토지이용과 교통체계” 항목에 포함되는 3가지의 평가목표인 토지이용과 인프라구축 그리고 교통서비스 간에도 상호 인과성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렇게 평가항목과 평가목표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고려할 수 있고, 또 정규분포의 특성을 따르지 않는 측정지표들의 표준화한 방법으로 보다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AHP와 함께 ANP 분석기법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통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 · 외 사례분석을 통해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지표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며, 개발된 평가지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 의사결정법 중 1971년에 saaty 의해 제창된 계층화 의사결정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및 네트워크과정 의사결정법(ANP, Analytic Network Process)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태교통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기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생태교통”을 중심으로 ICLEI에서도 국제사회에서 교통 및 운송 부문에서의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생태교통 시프트(Ecomobility SHIFT) 프로그램을 구축한 사례가 있다. 이에 도시의 교통과 이동 편의성 등의 교통 상태를 수치화하여 측정하고 검증하고자 평가지표를 구성하였다. 평가지표는 크게 구현요소, 교통시스템과 서비스 평가, 결과 및 영향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 첫 번째 평가항목인 “생태교통의 구현요소”에는 생태교통 도시가 되기 위해서 도시가 이에 관한 비전과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비전과 전략에 대한 정치적/행정적 수준에서의 지원이 있는지 확인하는 정책시행 의지 지표와 걷기, 자전거타기, 대중교통이용 촉진 및 교통량 저감에 지출되는 평균예산의 비율을 평가하는 정책시행 예산확보 지표를 통해 도시가 생태교통 추진요소를 확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2달 동안 시행된 전문가 설문조사의 조사지에 평가항목 및 평가목표간의 상관관계를 묻는 질문항을 포함시켰으며 총 69인의 응답을 통해 상관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 표는 정방행렬 형식으로 행렬의 좌측요소가 상단요소에 영향을 주는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Table 3과 같이 응답자의 과반수인, 35인 이상이 상관성이 있는 관계라고 정의한 요소간의 관계성을 네트워크 구축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n개의 평가요소가 있다면, 의사결정자는 #개의 쌍대비교를 수행한다. 3. 각 레벨에서 평가요소가 중첩되어 계산되며, 이를 전체적으로 합산하여 산출하면 각 요소의 중요도가 결정된다.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데에 AHP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지표 간의 상호독립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제일 상위계층인 평가항목의 3가지 요소인 생태교통의 구현요소, 생태교통의 토지이용과 교통체계, 그리고 생태교통의 결과와 영향이 동일한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가정아래 조사된 전문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AHP 분석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NP 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데에 AHP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지표 간의 상호독립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1996년 Saaty에 의해 개발된 ANP(Analytic Network Process, 이하 ANP) 분석은AHP를 확장한 이론으로, 어떤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에 있어 지표 간의 인과성을 고려하여 보다 향상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Cheng 외, 2007). ANP는 내외부 종속관계와 피드백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의사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복잡한 관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 교통 상태에 대한 평가지표 중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평가지표는 크게 구현요소, 교통시스템과 서비스 평가, 결과 및 영향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보행환경과 자전거 이용 환경이 가장 중요한 지표로 포함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생태교통 이동수단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도시계획 및 대중 교통 권역, 속도, 교통수단의 환승 및 연계, 요금 및 시간표와 같은 대중교통 관련 지표를 중요 평가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Busan Development Institute도 2014년 도시단위의 생태교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비롯한 평가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산시의 생태교통 실태를 분석하여 부산시의 생태교통 추진에 기여하는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생태교통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2007년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생태교통의 개념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무동력 · 무탄소 교통수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져 왔다. 생태교통(EcoMobility)은 2007년 2월 지방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ICLEI)의 사무총장이자 세계생태교통연맹 (Global Alliance for EcoMobility)의 총재인 Konrad Otto-Zimmerman이 주창한 개념으로, 보행 · 자전거 · 수레와 같은 무동력 이동수단, 대중교통수단, 친환경 전기동력수단, 그리고 이들 사이의 연계를 포함하여 삶의 질 향상, 이동수단 선택 폭의 증가, 사회적 결속을 촉진시키는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성, 사회적 통합성을 실현한 지역교통체 계를 말한다(ICLEI, 2013). Kim(2014)는 생태교통을 기존의 녹색교통, 지속가능한 교통과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친환경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인이라면 누구도 소외받지 않도록 많은 교통수단을 포함시킴으로써 교통약자 및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특성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걷기, 자전거 타기, 바퀴달린 기구 타기, 대중교통의 이용 및 이러한 개별 수단들을 연결하는 복합 운송에 중점을 두는 친환경적인 교통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angari H., Garrick N., Atkinson-Palombo C. (2016),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and Transportation Sustainability or the United States and Selected European Countri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59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92-101. 

  2. Al-Atawi A., Kurmar R., Saleh W. (2016), Transportation Sustainability Index for Tabuk city in Saudi Arabia: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Tramsport, 31(1), 47-55. 

  3. 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14), Analysi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Ecological Transportation in Busan City. 

  4. Hamalainen R.P., Seppalainen T.O. (1986)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in Energy Policy Planning Science,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20(6), 399-405. 

  5. ICLEI (2013) EcoMobility Suwon 2013, ICLEI. 

  6. Jeon C., Amekudzi A., Guensler R.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4, 227-247. 

  7. Jeong K. (2009), Development of Green Indicators and Models for 3G Implementa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8. Kim J., Lee S. (2013), A Study on Evaluation Indices for Sustainable Urban Transport Systems, 14(2), 245-257. 

  9. Kim S., Lee S. (2014), An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Ecomobility World Festival 2013 Suwon,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11(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4-72. 

  10.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ational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11.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9), Development of Transport Indicators for Green Growth Index and DB Construction Plan. 

  12. KRIHS (2003), Sustainable Land Development Index. 

  13. KRIHS (2007), Sustainable Land Development Index. 

  14. Lee S. (2009), A Study on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Seoul studies, 10(1), 209-221. 

  15. Lee Y. (2006), Designing Customer-Oriented Marketing Decision Making Model Using ANP,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33(2), 32-39. 

  16. Matsui D., Asahi Y., Yamaguchi T. (2006), Consideration on leadership Evaluation System of Preliminary School Teachers Using AHP and ANP, Proceedings for Conference of Japan Operations Research Society, 54-55. 

  17. Mead L., Sarkis J. (1999) Analyzing Organizational Project Alternatives for Agile Manufacturing Process: An Analytical Network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37(2), 241-261. 

  18. Mead L., Sarkis J. (2002) A Conceptual Model for Selection and Evaluating Third party Reverse Logistics Provider,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7(5), 283-295. 

  19. OECD (2001),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20. Saaty T.L. (1996),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21. Seoul Research Institute (2008),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ustainable Traffic Policy Indicators. 

  22. Shim Y., Byun G., Lee B. (2011), Deriving Strategic Priorities of Green ICT Policy Using AHP and ANP, Jo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2(1), 85-98. 

  23. Son E., Bae S. (2011), Calculation of Weighting Factors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Index, Journal of Transportation Research, 18(2), 47-60. 

  24. Suwon Research Insitutue (2013),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co-Transportation Suwon 2013 Project. 

  25. The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08),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26. UNSCSD (2007),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ance and Methodologies. 

  27. Yang J., Kim N., Ahn K.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dicators of Transportation Department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Compare Internal and External Indicators, The 72nd Conference of KS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421-42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