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정원'의 현황 및 특성 분석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Garden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6, 2019년, pp.129 - 138  

조성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개인의 정원을 대중에게 오픈하게끔 장려하는 법률상 개념인 '민간정원'은 2015년 관련법이 지정된 이후 2019년 11월, 25개의 민간정원이 산림청에 등록되어 있다. 정원문화 확산 및 장려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제도이지만, 그 정확한 성격 및 역할이나 지정요건 등에 대해 충분한 공론을 거친 것은 아닌 상태이다. 본 연구는 현재 전국에 지정되어 있는 민간정원 25개소의 현황 실태 분석을 통해 민간정원이 갖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정원의 지역적 분포에서 남부지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는 자연적, 기후적 조건의 영향이었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그 외에도 해당 지자체의 정책기조, 담당공무원의 재량 등의 영향으로 좌우되기도 하였다. 또, 민간정원에 속하는 정원은 거의 현대에 만들어진 정원들이 많았고, 유일하게 1개소가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고택정원이었다. 민간정원 소유자들은 50~80대로, 처음에는 정원이 좋아서 시작했다가 커진 정원의 관리를 감당하기 어려워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으로 민간정원을 통한 외부 개방을 하거나 지역활성화에 의지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정원 이외의 수익시설로 이윤을 창출하기도 하였는데, 일부는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원문화 확산을 도모했다. 향후 지속가능한 민간정원 제도를 위해서는 등록 기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고, 지역 내에서 수행할 뚜렷한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관리 및 마케팅을 위한 차후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민간정원 제도에 대한 기초연구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vate Garden', is a legal concept that encourages the opening of private gardens to the public. Twenty-five private gardens have registered with the Forest Service since the 2015 policy was enacted. Although it is a positive system in terms of spreading and encouraging garden culture, the exact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혼자 정원을 가꾸던 중 관리 및 경제적 어려움에 부딪힌 소유자들은 ‘민간정원’이라는 제도를 활용하여 경제적 부담감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그간 뚜렷한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았던 민간정원 제도에 대해 현황을 기반으로 특성을 분석했다.
  • 본 연구는 등록된 ‘민간정원’들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민간정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추구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정원의 지역적 분포 특징은? 본 연구는 현재 전국에 지정되어 있는 민간정원 25개소의 현황 실태 분석을 통해 민간정원이 갖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민간정원의 지역적 분포에서 남부지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는 자연적, 기후적 조건의 영향이었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그 외에도 해당 지자체의 정책기조, 담당공무원의 재량 등의 영향으로 좌우되기도 하였다.
19세기 영국의 왕이나 귀족의 사유지였던 개인 정원이 일반 대중에게 개방된 이유는? 17세기, 영국에서는 하이드파크 등 왕실의 정원이 공공에 개방되기 시작했고, 18세기 프랑스에서도 여러 정원이 공공에 개방되었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로 환경문제를 겪게 되자 도시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정원의 공공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왕이나 귀족 등 특권층의 사유지였던 정원이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며, 누구나 녹지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Chadwick, 1966; Hwang, 2014). 현대에 와서 대저택에 딸린 귀족들의 정원이 아닌 중산층 가정의 정원 들도 개방되기 시작하였다.
정원이란? 정원은 일반적으로 사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현대에 와서 점차 공공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왔다. 정원을 의미하는 Garden, Garten, Jardin의 어소 gher는 공간을 둘러싸는 행위, 또는 그렇게 둘러싸인 공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파생된 Garden은 원초적으로 위요공간을 뜻하고 있다. 정원을 의미하는 한자 ‘園’의 부수자인 큰 입‘구’(口)도 에워싸는 행위를 뜻한 다는 점에서 서구의 ‘gher’와 마찬가지로 위요공간을 뜻한다. 따라서 가장 원초적인 정원의 원형은 닫혀 있고 사적인 ‘위요 (圍繞) 공간’으로서의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Hwang,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akovska, B.(2018) Garden tourism: reasons for opening private gardens in the UK National Garden Scheme. Current Issues in Tourism 21(12): 1344-1348. 

  2. Chadwick, G. F.(1966).The Park and the Town ; Public Landscap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London. The Architectural Press 

  3. Hirata, H. and Y. Son(2015) The effect of housing garden on regional economy in local c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56: pp. 67-73. 

  4. Hwang, G. (1987). A note on the archetypes of garden.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20: 85-97. 

  5. Hwang, J. Y. (2014). Urban Parks as Modern Invention of London and Paris in the Nineteenth Century,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6. Kang, S. K.(2010) Creative rural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cultural tourism -Case study from obuse town, nagano prefecture in Japan-. Review of Culture & Economy 13(1): 85-106. 

  7. Oh, H.(2015). A study on promoting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downtow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obuse town c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3): 47-58. 

  8. Act On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nd Gardens (http://www.law.go.kr/). 

  9. Blog of the Korea Forest Service (http://blog.daum.net/kfs4079/17210147).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5552&bbsIdBBSMSTR_1045&pageIndex1&pageUnit10&searchCnd&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mnNS_03_09_01) 

  11.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http://www.law.go.kr/) 

  12. Na, C.(2019.03.24.), Criteria for Registering Private Gardens with One or More Professional Managers "People avoid garden registration", land scape architecture Korea, (https://www.lak.co.kr/m/news/ view. php?id6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