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원이 제도적 차원에서 공적영역으로 확대되며, 기능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원 조성 및 이용자 관점, 즉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정원 기능의 우선순위 인식을 규명하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사회과학적 방법론인 AHP를 적용하였으며, 집단A 227명, 집단B 220명의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고찰하였다. 먼저 정원의 대분류 기능에 대한 가중치 분석 결과, 집단A는 문화적 기능, 생태적 기능, 사회적 기능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반면 집단B에서는 생태적 기능,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순으로 나타나, 서로 간 인식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각 대분류별 중분류의 가중치 분석 결과에서는 문화적 기능에서 심미적 아름다움이 두 집단 모두 1순위로 나타났으며, 영적 종교적 영감, 문화유산과 고유성에서 순위 차이가 있었다. 생태적 기능에서는 생태환경 보호, 사회적 기능에서는 지역주민 삶의 질이 두 집단 모두 1순위로 평가되었으며, 나머지 중분류 우선순위도 모두 동일하였다. 셋째, 대분류 수준의 각 기능별 가중치를 곱셈한 중분류 기능의 종합적 분석 결과에서는 생태환경보호, 심미적 아름다움, 휴양치유, 물순환에 대해 두 집단 모두 제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반면 두 집단 모두 산업화를 가장 후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종합하여 보면 공적 영역으로 확대된 정원은 이용자 중심의 공간 기능이 우선되어야 하며, 산업적 혼란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문성이 존중되어야 한다. 즉, 생태환경 보호와 물순환 등의 생태적 기능을 최우선으로 하여, 심미적 아름다움, 휴양치유 등의 문화적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 연구로서 정원의 유형과 위계, 기타 다양한 정원에 대한 설계와 시공 및 모니터링 DB를 구축하여, 정원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gardens and park functions as recognized by two groups, Group A and Group B, in order to confirm the distinction between concepts and functions and then establish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unctions. The AHP was u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층화분석이 활용되는 분야는? 다기준 의사결정방법론(Multi-Criteria Analysis)인 계층화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은 1971년 개발되어, 지속적 검증과 이해도 제고 등의 과정을 거쳐 1977년부터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Wind and Saaty, 1980; Saaty, 1987). 계획과 자원배분, 예측이 요구되는 경영분야 등을 비롯하여 사회적 갈등이 수반되는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다루는 정책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체계적이며 계량적 절차를 통해 우선순위로서의 최적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의사결정 방법론이다.
한국적 정서가 담긴 전통정원의 구성요소는? 한국적 정서가 담긴 전통정원의 대표적 유형은 창덕궁 부용정 등의 궁궐정원, 담양 소쇄원 등의 별서정원, 민가주택정원, 사찰정원 등으로 분류된다. 구성요소로는 계류 등의 수 요소, 자연석 등의 석 요소, 화단 등의 공간 요소, 굴뚝 등의 점경물 등을 비롯하여 소나무 등의 조경식물이 있다(Jin et al., 2011). 여기에는 자연숭배사항, 음양오행사상, 신선사상, 풍수리지사상 등을 비롯하여, 차경, 허와 여백의 미, 삼재미, 내재율 등이 접목되며, 소유에 초점이 맞추어진다(PCAP, 2014).
한국적 정서가 담긴 전통정원의 대표적인 유형은? 한국적 정서가 담긴 전통정원의 대표적 유형은 창덕궁 부용정 등의 궁궐정원, 담양 소쇄원 등의 별서정원, 민가주택정원, 사찰정원 등으로 분류된다. 구성요소로는 계류 등의 수 요소, 자연석 등의 석 요소, 화단 등의 공간 요소, 굴뚝 등의 점경물 등을 비롯하여 소나무 등의 조경식물이 있다(J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arver, S.(2012) (Re)Creating Wilderness: Rewilding and habitat restoration. in Peter Howard, Ian H. Thompson, Emma Waterton (eds) The Routledge Companion to Landscape Studies. 

  2. Chang, E. A., C. Y. Park, Y. W. Lim and D. C. Shin(2001) A comparison of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s between group B and Group As.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16(2): 75-84. 

  3. Hunt, J. D.(1999)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Jenks, C.(2004) Nature talking with nature. Landscape Gardening. The Architectural Review. 

  5. Jin, H. Y., J. H. Song and J. H. Shin(2011) A study on the cognition of design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7(4): 51-60. 

  6. Jo, I. S. and J. M. Choi(2019)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 garden.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7(4): 91-107. 

  7. Ko, K. K. and H. Y. Ha(2008) Meta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policy studies in Korea.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17(1): 287-315. 

  8. Korean Association of Botanical Gardens & Arboreta(KABGA) (2013) Studies on Knowledge of Intellection for Garden,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and Historical Development. Report of Korea Forest Service. 

  9. Kim, C. S.(2018) A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group A group and general people group about geo-technologies in the futur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1(5): 455-461. 

  10. Kim, J. S.(2016)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ts history and significance. Namdo Munhwa Yongu 31(31): 457-474. 

  11. Kim, S. C. and H. J. Eo(1994) Priority aggregation for AHP based on group As opinion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19(3): 41-51. 

  12.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KITLA)( 2014) A Study on National Garden Promotion Plan for Spreading Garden Culture. Report of Korea Forest Service. 

  13. Kwon, J. W., E. Y. Park, K. P. Hong and M. H. Hwang(2013)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Journal of KTLA 31(3): 106-113. 

  14. Oh, H. S., E. M. Sung, J. H. Bae and M. J. Sung(2009) Comparative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op group as from general group as in company context.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4): 105-135. 

  15. Park, J. M., J. S. Sung and H. R. Cho(2017a) A study on the progress and implication of garden cit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8(2):21-35. 

  16. Park, M. O.(2015) A study on the functions of gardens as the ecosystem cultur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1(2): 115-123. 

  17. Park, M. O.(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garden functions between the Group As and Group Bs for day life gardening. 2017 Autumn Academ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 Park, M. O.(2018)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group As and group B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5):1-9. 

  19. Park, M. O. and J. H. Choi(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gardens. 2018 Spring Academ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20. Park, M. O., J. H. Choi and B. H. Koo(2017b) A basic study on the setting of the functions of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3(2): 96-102. 

  21.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PCAP)(2014) Suggestions on the Standard and Assistance Model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Report of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22. Ryu, Y. J. and D. G. Cho(2015) A study on comparing traditional garden and modern garden for developing garden culture of Korea.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10(5) : 113-124. 

  23. Saaty, T. L.(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5: 234-81. 

  24. Saaty, T. L.(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Mathematical Modelling 9(3): 161-176. 

  25. Saaty, T. L.(1988) What i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University of Pittsburgh. 

  26. Saaty, T. L.(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27. Saaty, T. L.(1997) That is no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at the AHP is and what it is not. Journal of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6(6): 320-339. 

  28. Saaty, T. L.(2008)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1(1): 83-98. 

  29. Son, S. R. and S. Y. Lee(2005) A study on urban residents' perception toward open space and its polity implications -A case study of Masan-Changwon metropolitan area-. Seoul Urban Study 6(4): 21-36. 

  30. Song, G. W. and Y. Lee(2013) Re-scaling for improving the consistency of the AHP method. Social Science Study 29(2): 271-288. 

  31. Wind, Y. and T. L. Saaty(1980)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26(7): 641-658. 

  32. Woo, K. S. and J. H. Suh(201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