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 인왕산의 침입외래식물 특성 및 관리방안
Invasive alien plan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asures in Mt. Inwang, Seoul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6, 2019년, pp.89 - 96  

차두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반수홍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management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in Mt. Inwang located in central Seoul. The invasive alien plants are 11 families, 34 genera, 30 taxa, and they are 10.8% of the total vascular plants(314 taxa). The ecosystem disturb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인왕산 에서 자라는 침입외래식물을 조사한 후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인왕산 산림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대상지인 인왕산은 서울시 종로구 무악동, 사직동, 효자동, 부암동 등과 서대문구 홍제동의 경계에 위치하며, 낙산, 남산(목멱), 북악산(백악)과 더불어 서울의 내사산 중의 하나이다. 인왕산 정상부와 범바위 일대의 소나무림은 화강암과 소나무가 어우러진 토지극상림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에 서는「자연환경보전법」 및 「서울시 자연환경보전조례」따라 이곳을 2007년 서울시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입 외래식물이 빠르게 확산되는 이유는? 또한 안정적인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산림 내부로 그 분포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침입 외래식물은 이상기후, 기후온난화 등으로 인해 이입된 지역의 새로운 서식 환경에 쉽게 적응하여 빠르게 확산하는 경우가 많다.
침입외래식물은?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은 어떤 경로를 통해 국내에 들어온 외래식물로서 인간이 의도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이 아니라 자연으로 침입하여 자라는 식물이다. 대부분 침입외래식물의 유입경로는 의도적인 도입(관상용, 약용, 식용, 목초용, 사방용 등)보다는 비의도적인 도입에 의한 결과로 국내에 확산된 경우가 많다.
인왕산의 식생현황은 어떠한가? 9㎡이다. 식생현황은 정상부 능선부를 중심으로 사면지역 에는 소나무림이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으나 시가지와 인접한 저지대 주변에는 대부분 아까시나무 조림지, 상수리나무림 등 낙엽활엽수림이 분포한다(Cho, 2009). 인왕산은 해발고도 100~ 200m인 저지대 산림지역이 6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 D.W. and C.H. Oh(201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by Land-Use Type-Focused on Siksa Area lisan, Gyeonggi-do. Proc. Korean Soc. Env. Eco. Con. 29(1): 127-1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ho, J.S(2009)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 Seoul. Ph. D. Univ. of Seoul, 8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Y.H., J.H. Kim, and S.H. Park(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40-497pp. (In Korean) 

  4. Chung, J.M., S.H. Cho, and C.H. Lee(2018)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Gyeongsangbuk-do. Proc. Korean Soc. Env. Con. 28(2): 16-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Jongno-Gu and Seodaemun-Gu(2017) Statistical Yearbook. (In Korean) 

  6. Jung, S.Y(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Ph. D. Univ. of Andong National, 41-42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im. J.S., J.H. Kim, J.H. Kim(2018) Korean Flower. Dolbegae. pp.415.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pp. 8-20. (In Korean) 

  9.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Vo1. 41 No. 1, pp.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Lee, Y.K., K.H. Moon, H.W. Lim and K.R. Choi(201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Ulsan City, South Korea. KJEE 52(2): 161-17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J.W., T.I. Heo, J.B. An, S.J. Kim, H.T. Shin, H.C. Kim and S.Y. Jung(2017) Invasive Alien Plant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pp. 17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ee, C.B(2003) Coloured Flora of Korea(Vols I & B). Hyangmunsa. (In Korean) 

  13. Lee, H.J(2017)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Gyeongbuk. Ph. D. Univ. Of Daegu Hanny , 57-58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im. J.H(2006) Naturalized Plants Status and Management Measures in Korea. Tree Health, 11, pp. 54-67 . (In Korean) 

  15.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mtraeger. pp. 666 

  16.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2007) Korean Plant Name Index (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