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딥러닝에 의한 수치표면모델의 객체분류
Semantic Classification of DSM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Deep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7 no.6, 2019년, pp.435 - 444  

이대건 (Geo& Lab, Geo& Co., Ltd.) ,  조은지 (Dept. of Environment, Energy & Geoinformatics, Sejong University) ,  이동천 (Dept. of Environment, Energy & Geoinformatics, Sej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딥러닝(DL)은 여러 분야에서 급속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여 분류하고 인식하기 위한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상분야에서는 주로 합성곱 신경망(CNN)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합성곱 신경망은 영상을 학습시켜 영상분류 및 객체인식에 활용하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독일 사진측량, 원격탐사 및 공간정보학회(DGPF)가 구축하고 국제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학회(ISPRS)가 제공하는 데이터 셋 중에서 수치표면모델(DSM)과 이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경사 및 주향 정보를 효율성과 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합성곱 신경망기반의 SegNet 모델에 적용하여 객체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딥러닝은 고사양의 컴퓨터 시스템과 다량의 학습 데이터와 라벨 데이터가 필요하고, 다수의 시행착오에 의한 풍부한 경험이 요구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수량의 데이터로부터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표면모델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수치표면모델 데이터와 이로부터 도출한 부가적인 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에 적용해도 객체를 타당한 정확도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L (Deep Learning) has been rapidly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classification and object recognition from images are major tasks in computer vision. Most of the DL utilizing imagery is primarily based on th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the...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이외에 정량적이고 기하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인 수치표면모델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와 유사성은 있지만, 다른 지역의 데이터인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결과의 정확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Fig.
  • SalGAN 등)을 이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건물과 같은 중요한 객체의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은 공간정보 분 야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한 가지 종류의 데이터뿐 아니라 여러 데이터들과 이 데이터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특성정보를 복합적으로학습에이용할수있는딥러닝모델연구를수행하여딥러닝의 궁극적인 목적인 범용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 합성곱 신경망은 주로 영상을 학습시키지만, 본 논문은 영상대신 공간정보의 중요한 수치표면모델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다. 3차원 좌표로 이루어진 수치표면모델 뿐 아니라 경사와 최대경사방향인 주향을 부가적인 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여 SegNet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신경망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실현하기 위한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은 인간의 신경세포인 뉴런의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서 딥러닝의 기반이 되고 있다. 인공신경망 연구는 1940년대에 인간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기능과 메커니즘을 수학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로부터 시작되었다(McCulloch and Pitts, 1943).
1980년대 후반 인공신경망이 부활하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1980년대 후반에 다층 구조의 인공신경망과 학습의 핵심이 되는 오류 역전파(error backpropagation) 이론이 제안되면서 인공신경망은 부활하기 시작하였다(Rumelhart et al., 1986).
합성곱 신경망은 최종적으로 분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합성곱 신경망의 주요 계층(layer)은 일반적인 인공신경망의 은닉층에 해당하는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는 합성곱 층(convolution layer), 합성곱 결과인 특징맵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강조하기 위해 특징맵의 크기를 줄이는 pooling 층, 정규화하여 다음 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이다(Goki, 2016). 최종적으로 분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완전연결 층(fully connected layer)과 softmax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udebert, N., Le Saux, B., and Lefevre, S. (2018), Beyond RGB: Very high resolution urban remote sensing with multimodal deep network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140, pp. 20-32. 

  2. Badrinarayanan, V., Kendall, A., and Cipolla, R. (2016), SegNet: A deep convolutional encoder-decoder architecture for image segmentation. IEEE Transaction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39, No. 12, pp. 2481-2495. 

  3. Bronshtein, A. (2017), Train/test split and cross validation in Python, https://towardsdatascience.com/train-test-split-andcross-validation-in-python-80b61beca4b6 (last date accessed: 17 November 2019). 

  4. Cramer, M. (2010), The DGPF test on digital aerial camera evaluation - Overview and test design. Photogrammetrie, Fernerkundung, Geoinformation, Vol. 2, pp. 73-82. 

  5. de Brebisson, A. and Montana, G. (2015), Deep neural networks for anatomical brain segmentation, arXiv:1502.02445v2 [cs.CV], 25 Jun 2015. 

  6. Garcia-Garcia, A., Orts-Escolano, S., Oprea, S., Villena-Martinez, V., and Garcia-Rodriguez, J. (2017), A review on deep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semantic segmentation, arXiv:1704.06857v1 [cs.CV], 22 Apr 2017. 

  7. Goki, S. (2016), Deep Learning from Scratch, O'Reilly, Japan, 312p. 

  8. Gulli, A. and Pal, S. (2017), Deep Learning with Keras, Packt Publishing Ltd., Birmingham, UK, 490p. 

  9. Gupta, D. (2017), Fundamentals of deep learning - Activation functions and when to use them?, https://www.analyticsvidhya.com/blog/ 2017/10/fundamentals-deep-learning-activationfunctions-when-to-use-them/ (last date accessed: 15 August 2019). 

  10. Kim, J., Lee, D.C., Yom, J.H., and Pack, J.K., (2004), Telecommunication modeling by integration of geophysical and geospatial information, IGARSS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27 December 2004, Anchorage, USA, pp. 4105-4108. 

  11. Kumar, S. (2017), Summary of SegNet: A deep convolutional encoder-decoder architecture for image segmentation, https://saytosid.github.io/segnet/ (last date accessed: 15 August 2018). 

  12. LeCun, Y., Boser, B., Denker, J., Henderson, D., Howard, R. Hubbard, W., and Jackel, L. (1989), Backpropagation applied to handwritten zip code recognition. Neural Computation, No. 1, Vol. 4, pp. 541-551. 

  13. Lee, D. and Lee, D.C. (2019a), Training deep learning model with spatial information data for semantic segmentation: case of SegNet,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11-12 April 2019, Gwangju, Korea, pp. 78-83. (in Korean) 

  14. Lee, D. and Lee, D.C. (2019b), Role of NGII digital map ver. 2.0 as label data for deep learn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11-12 April 2019, Gwangju, Korea, pp. 160-163. (in Korean) 

  15. Long, J., Shelhamer, E., and Darrell, T. (2015),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Proceedings of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on Recognition, 7-12 June 2015, Boston, MA, pp. 3431-3440. 

  16. Maltezos, E., Doulamis, A, Doulamis, N., and Ioannidis, C. (2019), Building extraction from LiDAR data apply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Vol. 16, No. 1, pp. 155-159. 

  17. Maturana, D. and Scherer, S. (2015), 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landing zone detection from LiDA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Seattle, Washington, 26-30 May 2015, pp. 3471-3478. 

  18. McCulloch, W. and Pitts, W. (1943), A Logical Calculus of the Ideas Immanent in Nervous Activity, Bulletin of Mathematical Biophysics, Vol. 7, pp. 115-133. 

  19. Pang, Y., Sun, M., Jiang, X., and Li, X. (2018), Convolution in convolution for network in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and Learning Systems, Vol. 29, No. 5, pp. 1587-1597. 

  20. Rosenblatt, F. (1958), The perceptron: A probabilistic model for information storage and organization in the brain, Psychological Review, Vol. 65, No. 6, pp. 386-408. 

  21. Rottensteiner, F., Sohn, G., Gerke, M., and Wegner, J. (2013), ISPRS test project on urban classification and 3D building reconstruction, http://www2.isprs.org/tl_files/isprs/wg34/docs/ComplexScenes_revision_v4.pdf (last date accessed: 6 April 2018). 

  22. Rumelhart, D., Hinton, G., and Williams, R. (1986), Learning internal representations by back-propagating errors. Nature, Vol. 323, No. 9, pp. 533-536. 

  23. Russakovsky, O., Deng, J., Su, H., Krause, J., Satheesh, S., Ma, S., Huang Z., Karpathy, A., Khosla, A., Bernstein, M., and Berg, A. (2015),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115, No. 3, pp. 211-252. 

  24. Sharada, P., Mohanty, S., Hughes, D., and Salathe, M. (2016), Using deep learning for image-based plant disease detection, Frontiers in Plant Science, doi: 10.3389/fpls.2016.01419, pp. 1-10. 

  25. Sherrah, J. (2016),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dense semantic labelling of high-resolution aerial imagery, arXiv:1606.02585v1[cs.CV], 8 Jun 2016. 

  26. Simard, P., Steinkraus, D., and Platt, J. (2003), Best practices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pplied to visual document analysi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3-6 August 2003, Edinburgh, Scotland, pp. 958-9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