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선충 포식성곰팡이 분류검색표 및 Arthrobotrys flagrans 와 A. superba의 재기재
Key to the Korean Nematode-Trapping Fungi with Additional Descriptions of Arthrobotrys flagrans and A. superb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7 no.4, 2019년, pp.291 - 301  

서종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강헌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권기윤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  박남숙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선충연구센터) ,  배창환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 ,  최인수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충 포식성곰팡이는 선충 포획 기관을 만들어 선충 포획 후 양분을 섭취하는 곰팡이다. 이들 중 Arthrobotrys flagrans와A. superba에 대한 특성들 중 보고될 때 생략된 것이 있어 두 종을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고 순수배양하여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선충 종류별 포식력, 포식기관의 형태·크기, 분생포자의 형태·크기, 분생포자병의 형태, 후막포자 등을 조사하였으며, ITS rDNA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토대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1981년 처음으로 선충 포식성곰팡이가 국내에서 보고된 이래로 현재까지 총 21종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분류 체계와 주요 식별 형질이 없는 상황이었기에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국내 선충 포식성곰팡이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matophagous fungi can capture, kill, and digest nematodes using a specific capturing organ. Of the nematophagous fungi, while Arthrobotrys flagrans and A. superba have been described previously, certain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described.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wo nematophagous fu...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21종을 검토하여 불확실한 종은 제외하고, 전체 종에 대한 분류 key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이 분야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덧붙여 국내 미기록종 A. flagrans [11]와 A. superba [12]의 발표 시 생략된 포식기관 및 몇몇 주요 특성을 추가하여 기재하고자 한다.
  • 그러나 국내 포식성곰팡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이들 21종에 대한 분류 체계나 분류 key는 아직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21종을 검토하여 불확실한 종은 제외하고, 전체 종에 대한 분류 key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이 분야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덧붙여 국내 미기록종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충 포식성곰팡이란? 선충 포식성곰팡이는 선충 포획 기관을 만들어 선충 포획 후 양분을 섭취하는 곰팡이다. 이들 중 Arthrobotrys flagrans와A.
무척추동물 중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생물군 중 하나는? 지구상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는 선충은 토양 무척추동물 중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생물군 중의 하나이다. 선충의 밀도는 m2 당 70만-500만 마리이며[1] 포식자 및 피포식자의 역할로서 토양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3].
재정리된 포식성곰팡이 4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이들 포식성곰팡이들이 선충의 포식기관(trap)에 따라 명확하게 속이 구분되는 것이 밝혀지면서 15속의 포식성곰팡이가 4속으로 재정리되었다[8]. 즉, 3차원 끈끈이그물을 가진 Arthrobotrys, 수축성올가미를 가진 Drechslerella, 가지있는 끈끈이봉을 가진 Dactylellina, 가지 없는 끈끈이봉(혹은 2차원끈끈이그물)을 가진 Gamsylella 등 4개 속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Yeates GW. Soil nematodes in New Zealand pastures. Soil Sci 1977;123:415-22. 

  2. Ferris H. Contribution of nematodes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oil food web. J Nematol 2010;42:63-7. 

  3. Yeates GW. Nematodes in ecological webs. eLS 2010. 

  4. Whitehead AG. Plant nematode control. 8th ed. Oxon: CAB International; 1998. 

  5. Yeates GW, Bongers T, Goede RGM, Freckman DW, Georgieva SS. Feeding habits in soil nematode families and genera - an outline for soil ecologists. J Nematol 1993; 25:315-31. 

  6. Fresenius G. Beitrage zur Mykologie (Heft 1-2). 2th ed. Frankfurt: Heinrich Ludwig Bronner Verlag; 1852. 

  7. Zhang KQ, Hyde KD. Nematode-trapping fungi. Dordrecht: Springer; 2014. 

  8. Markus S, Gregor H, Annemarthe R. A reevaluation of predatory orbiliaceous fungi. II. A new generic concept. Sydowia 1999;51:89-113. 

  9. Lee JY. Mycology and cultivation of mushrooms. 3rd ed. Seoul: Daegwangmunhwasa: 1996. 

  10. Yoo KH, Choi YH, Lee HH. Isolation of nematode destroying fungi. Kor J Mycol 1981;9:193-7. 

  11. Adhikari M, Gurung SK, Bazie S, Lee HG, Kosol S, Lee HB, Lee YS. Seven unrecorded fungal species from field soils in Korea. Kor J Mycol 2018;46:9-21. 

  12. Yoo HS. Arthrobotrys arthrobotryoides and Arthrobotrys superba with new addition to the Korea nematode trapping fungi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1984. 

  13. Zhu H, Qu F, Zhu LH. Isolation of genomic DNAs from plants, fungi and bacteria using benzyl chloride. Nucleic Acids Res 1993;21:5279-80. 

  14.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15. Kumar S, Stecher G, Li M, Knyaz C, Tamura K. MEGA X: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cross computing platforms. Mol Biol Evol 2018;35:1547-9. 

  16. Jeong MJ. Isolation of nematophagous fungi and evaluation of their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gainst Meloidogyne hapla Chitwood in pepper [disserta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87. 

  17. De Hoog GS, Van Oorschot CAN. Taxonomy of the Dactylaria complex, V. A review of Arthrobotrys and allied genera. Stud Mycol 1985;26:61-96. 

  18. Species fungorum. CABI database [Internet]. Index Fungorum Partnership; 2019 [cited 2019 Nov 4]. Available from http://www.indexfungorum.org/. 

  19. Drechsler C. A species of Arthrobotrys that captures springtails. Mycologia 1944;36: 382-99. 

  20. Kim DG, Ryu YH, Hwang HG. First report of two nematode-trapping fungi, Monacrosporium ullum sp. nov. and Arthrobotrys amerospora, from Korea. Plant Pathol J 2006;22:174-8. 

  21. Kim DG, Lee JK, Lee YK, Choi YC, Kim YG. Description on five species of Arthrobotrys (Corda) Schenck, Kendrick & Pramer in Korea and their key. RDA J Crop Prot 1997;39:33-41. 

  22. Wu HY, Kim DG, Zhou XB. First report on the nematode-trapping fungus, Arthrobotrys javanica, from the soil of Ulleung Island, Korea. Afr J Microbiol Res 2012;6:7332-4. 

  23. Cho CW. A study on screening of the genetic resources of fungi trapping plant-parasitic nematode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7. 

  24. Park JS, Park Y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trapping of nematode by Arthrobotrys conoides. Korean J Microbiol 1984;22:19-28. 

  25. Wu HY, Kim DG, Ryu YH, Zhou XB. Arthrobotrys koreensis, a new nematode-trapping species from Korea. Sydowia 2012;64:129-36. 

  26. Kim DG, Lee JH, Kim HO. An unrecorded species of nematode-trapping fungus, Dactylella pseudoclavata in Korea. Plant Pathol J 2007;23:210-1. 

  27. Park SD, Choo YD, Jeong KC, Sim YG, Choi YY. Field application of egg and larval parasitic fungi and chemicals for controlling. Korean J Appl Entomol 1993;32:105-14. 

  28. Ha J, Kang H, Kang H, Kim D, Lee D, Kim Y, Choi I.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Arthrobotrys sinensis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2019;58:9-13. 

  29. Kim JI, Lee HW, Kim CH, Han SC.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egg-parasitic and trapping fungi of root-knot nematode. Research report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2;34:91-5. 

  30. Wu HY, Kim DG.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species Monacrosporium phymatopagum in Korea. Plant Pathol J 2010;26:264-6. 

  31. Wu HY, Kim DG, Zhou XB. First report of an unrecorded nematode-trapping fungus species Dactylellina candidum in Korea. Afr J Microbiol Res 2012;6:203-5. 

  32. Han SC, Lee HW, Kim JI.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natural microbial enemy for plant-parasitic nematode. In: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Applied Entomology; 1990; May 19; Jeonju, Korea: Korean Society Applied Entomology; 1990. p. 148. 

  33. Cho CW, Kang DS, Kim YJ, Whang KS.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a nematophagous fungus, Drechslerella brochopaga Kan -23. Korean J Microbiol 2008;44:6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