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주박이끼(Funaria hygrometrica)에서 분리된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wo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Funaria hygrometric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7 no.4, 2019년, pp.313 - 318  

최현숙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혁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표주박이끼의 헛뿌리(rhizoid)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영역의 분자적 분석을 토대로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 Curvularia protuberata, Didymella anserina이다.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 분석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endophytic fungal strains from the rhizoids of the moss Funaria hygrometrica.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rDNA sequence regions. Consequent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태식물에 서식하는 내생균에 대한 연구는 균류와 육상식물 공생의 진화와 그들의 생태적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의미들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주박이끼의 헛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던 중 확인된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에 대한 형태적 특성과 계통분석의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생균은 어떤 균류인가? 내생균(endophytic fungi)은 건강한 식물 조직 내에 서식하며 숙주에게 어떠한 손상도 입히지 않는 균류로 모든 육상식물에서 발견된다[1]. 대부분의 작물을 포함하여 현존하는 육상식물 내에는 Mucoromycota, Ascomycota, Basidiomycota에 속하는 내생균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2,3].
위 실험에서 표주박이끼의 헛뿌리에서 분리된 균주의 외형은 어떠한가? 표주박이끼의 헛뿌리에서 분리된 균주이다. PDA 배지에서 7일간 배양된 균총의 크기는 35-38 mm 정도이고, 균총의 앞면은 전체적으로 연한 회색이나 부챗살처럼 군데군데 방사형으로 고랑이 나 있으며, 중앙부는 짙은 회색을 띤다. 뒷면은 전체적으로 붉은 갈색을 보이고, 앞면에서 관찰된 것처럼 방사형의 줄무늬가 있으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균총의 색이 옅어져 테두리가 흰색을 띤다. 균총의 고도는 배지에서 볼록 융기된 형태이고 균총의 가장자리는 잔물결 형태를 이룬다(Fig. 1A).
내생균이 식물에게 주는 이점은? 대부분의 작물을 포함하여 현존하는 육상식물 내에는 Mucoromycota, Ascomycota, Basidiomycota에 속하는 내생균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2,3]. 내생균은 식물체 내에서 2차 대사산물을 합성하여 포식자 또는 병원체로부터의 방어기작을 식물에게 제공하고[2], 식물의 영양획득과 생물적,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각종 질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도와준다[3]. 침엽수에 서식하는 내생균은 taxol 같은[4] 항생 혹은 항암 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을 분비하기도 하며[5], Xylariaceae에 속하는 균류에서는 고농도의 methyl ester가 합성된다는 것이 확인되어 바이오 연료로써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etrini L. Xylariaceous fungi as endophytes. Sydowia 1985;38:216-34. 

  2. Clay K. Fungal endophytes of grasses: a defensive mutualism between plants and fungi. Ecology 1988;69:10-6. 

  3. Partida-Martinez LPP, Heil M. The microbe-free plant: fact or artifact? Front Plant Sci 2011;2:100. 

  4. Strobel GA, Hess WM, Ford E, Sidhu R, Yang X. Taxol from fungal endophytes and the issue of biodiversity. J Ind Microbiol 1996;17:417-23. 

  5. Findlay JA, Buthelezi S, Lavoie R, Pena Rodriguez L, Miller JD. Bioactive isocoumarins and related metabolites from conifer endophytes. J Nat Prod 1995;58:1759-66. 

  6. Santos-Fo F, Fill TP, Nakamura J, Monteiro MR, Rodrigues-Fo E. Endophytic fungi as a source of biofuel precursors. J Microbiol Biotechnol 2011;21:728-33. 

  7. Park JH, Choi GJ, Lee HB, Kim KM, Jung HS, Lee SW, Jang KS, Cho KY, Kim JC. Griseofulvin from Xylaria sp. strain F0010, an endophytic fungus of Abies holophylla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J Microbiol Biotechnol 2005;15:112-7. 

  8. Sherameti I, Tripathi S, Varma A, Oelmuller R. The root-colonizing endophyte Pirifomospora indica confers drought tolerance in Arabidopsis by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drought stress-related genes in leaves. Mol Plant Microbe Interact 2008;21:799-807. 

  9. Schulz B, Boyle C, Draeger S, Rommert A-K, Krohn K. Endophytic fungi: a source of novel bi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Mycol Res 2002;106:996-1004. 

  10. Zhang T, Zhang YQ, Liu HY, Wei YZ, Li HL, Su J, Zhao LX, Yu LY. Diversity and cold adaptation of culturable endophytic fungi from bryophytes in the Fildes Region, King George Island, maritime Antarctica. FEMS Microbiol Lett 2013;341:52-61. 

  11. Kim JH, Kim DY, Park H, Cho JH, Eom AH. Neocosmospora rubicola , an unrecorded endophytic fungus Isolated from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in Korea. Kor J Mycol 2017;45:63-7. 

  12. Gardes M, Bruns TD. ITS primers with enhanced specificity for basidiomycetes-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and rusts. Mol Ecol 1993;2:113-8. 

  13. Moncalvo JM, Lutzoni FM, Rehner SA, Johnson J, Vilgalys R.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garic fungi based on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Syst Biol 2000;49:278-305. 

  14. Kumar S, Stecher G, Tamura K.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2016;33:1870-4. 

  15. Nelson R, Hodges CS. A new species of Curvularia with a protuberant conidial hilum. Mycologia 1965;57:822-5. 

  16. Isenor M, Kaminskyj SG, Rodriguez RJ, Redman RS, Gough KM. Characterization of mannitol in Curvularia protuberata hyphae by FTIR and Raman spectromicroscopy. Analyst 2010;135:3249-54. 

  17. Morsy MR, Oswald J, He J, Tang Y, Roossinck MJ. Teasing apart a three-way symbiosis: transcriptome analyses of Curvularia protuberata in response to viral infection and heat stres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0;401:225-30. 

  18. Chen Q, Jiang J, Zhang G, Cai L, Crous PW. Resolving the Phoma enigma. Stud Mycol 2015;82:137-217. 

  19. De Gruyter J, Noordeloos M. Contributions towards a monograph of Phoma (Coelomycetes)-I. 1. Section Phoma: Taxa with very small conidia in vitro. Persoonia 1992;15:71-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