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까시재목버섯이 옻나무 껍질의 urushiol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enniporia fraxinea on Eliminating Urushiol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7 no.4, 2019년, pp.347 - 357  

이지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정석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강지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최한석 (한국농수산대학 농수산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urushiol 제거에 적합한 장수버섯 종균용 원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세 가지 곡물조, 현미, 통밀에서의 장수버섯 균사체 증식속도는 각각 4.92±0.05, 2.20±0.03, 1.93±0.03 mm/day 이었다. 장수버섯이 배양된 곡물종균의 laccase의 활성은 각각 0.86±0.02, 0.04±0.01, 0.01±0.00 U/mL 이었다. 증식속도와 효소활성 측면에서 장수버섯 종균용 곡물로는 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조에 배양된 장수버섯 종균을 옻나무에 배양하였더니 3일차에 urushiol이 최대 86.6% 감소하였고 7일차에 98.5%까지 감소하였다. Urushiol 제거를 위한 적정 배양기간은 3일이었으며 이때 flavonoid 잔존량은 68%, phenolic 성분의 잔존량은 42% 이었다. 액체종균을 사용하여 배양한 것과 비교했을 때 urushiol을 제거하기 위한 증식기간이 10일에서 3일로 단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raw materials for spawning Perenniporia fraxinea, to eliminate urushiol. The growth rates of spawns on grains of millet, brown rice, and wheat were 4.92±0.05, 2.20±0.03, and 1.93±0.03 mm/day, respectively, and the laccase activity was 0.86±0.02, 0...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옻나무에 질소원을 공급할 경우 배양기간이 단축될 수 있음이 시사 되었는바[5] 옻에 별도의 질소원을 첨가하는 대신 접종원을 곡물종균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섯 종균제조에 사용되는 곡물과 곡물의 크기가 작은 것을 선택하여 장수버섯균 종균제조 특성을 살펴보았고 곡물 종균사용에 따른 옻의 성분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urushiol 제거에 적합한 장수버섯 종균용 원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세 가지 곡물 조, 현미, 통밀에서의 장수버섯 균사체 증식속도는 각각 4.
  • 본 연구에서는 옻나무에서 장수버섯균의 배양기간을 단축하면서 옻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성분의 소실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옻나무에 질소원을 공급할 경우 배양기간이 단축될 수 있음이 시사 되었는바[5] 옻에 별도의 질소원을 첨가하는 대신 접종원을 곡물종균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옻나무에서 장수버섯균의 배양기간을 단축하면서 옻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 성분의 소실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옻나무에 질소원을 공급할 경우 배양기간이 단축될 수 있음이 시사 되었는바[5] 옻에 별도의 질소원을 첨가하는 대신 접종원을 곡물종균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버섯 종균제조에 사용되는 곡물과 곡물의 크기가 작은 것을 선택하여 장수버섯균 종균제조 특성을 살펴보았고 곡물 종균사용에 따른 옻의 성분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옻나무의 urushiol 제거를 위한 상업적인 배양기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장수버섯이 배양되지 않은 옻나무 껍질에 25배의 물을 넣고 100℃에서 8시간 물추출하면 3.
  •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기능성 장수버섯 품종으로 "장생"을 개발하고 그 재배법도 확립[4]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자 시도하고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까시재목버섯이란? 아까시재목버섯(Perenniporia fraxinea)은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보통명칭으로 '장수버섯'이라 불리워지고 있다[1]. 장수버섯의 자실체에는 면역활성 다당류[2] 및 lectin[3] 등이 포함되어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장수버섯균이 옻에 미치는 영향은? 반면, 장수버섯의 배양적 특징을 이용한 산업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장수버섯균은 옻의 알레르기 유발성분인 urushiol을 저감화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5]. 즉, 옻에 장수버섯균을 배양시키면 장수버섯이 분비하는 laccase에 의해 urushiol이 중합되는 원리[5]를 사용하였다.
장수버섯이 배양된 옻의 식품산업화가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이렇게 장수버섯이 배양된 옻을 열수추출하면 urushiol이 완전히 제거된 추출물[6]을 얻을 수 있어 옻의 식품사용이 일부 가능해 졌다[7]. 그러나 장수버섯균의 배양기간이 28일[5]로 비교적 길며, 배양 중 옻의 기능성 성분이 일부 소실[8]되고 있어 산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eok SJ, Lim YW, Kim CM, Ka KH, Lee JS, Han SK, Kim SO, Hur JS, Hyun IH, Hong SG, et al. List of mushrooms in Korea. 1st ed. Seoul: Korea Society of Mycology; 2013. 

  2. Cho SM, Yun BS, Koshino H. Structure of fomitellan A. a mannofucogalactan from the fruiting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Bioorg Med Chem Lett 2011;21:204-6. 

  3. Kim HJ, Cho KM, Gerelchuluun T, Lee JS, Chung SK, Lee CK. Lectins isolated from mushroom Fomitella fraxinea enhance MHC-restricted exogenous antigen presentation. Immune Netw 2007;7:197-202. 

  4. Kong WS, Yoo YB, Jhune CS, You CH, Cho YH, Kim KH. A new functional mushroom cultivated variety Jangsaeng of Fomitella fraxinea. J Mushroom Sci Prod 2005;3:129-32. 

  5. Choi HS, Kim MK, Park HS, Yun SE, Mun SP, Kim JS, Sapkota K, Kim S, Kim TY, Kim SJ. Biological detoxification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by mushroom species. Food Sci Biotechnol 2007;16:935-42. 

  6. Choi HS, Yeo SH, Jeong ST, Choi JH, Park HS, Kim M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fre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B)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2;44:173-8.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ce. Notice No. 2012-128. 2012. 

  8. Kim DH, Kim MJ, Kim DW, Kim GY, Kim JK, Gebru YA, Choi HS, Kim YH, Kim MK. Changes of phytochemical components (urushiols, polyphenols, gallotannins) and antioxidant capacity during Fomitella fraxinea-mediated fermentation of Toxicodendron vernicifluum bark. Molecules 2019;24:683-700. 

  9. KFDA. Korean Food Standard Codex; General test methods. Seoul: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2010. 

  10. Petroski RJ, Peczynska-Czoch W, Rosazza JP. Analysis, production and isolation of an extracellular laccase from Polyporus anceps. Appl Environ Microbiol 1980;40:1003-6. 

  11. Chang HY, Cha DY, Kang AS, Hong IP, Kim KP, Seok SJ, Ryu YJ, Sung JM.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mitella fraxinea (Fr.) Imaz. Kor J Mycol 1995;23:238-45. 

  12. Ryan D, Leukes WD, Burton SG. Fungal bioemediation of phenolic waste waters in an airlift reactor. Biotechnol Prog 2005;21:1068-74. 

  13. Minussi RC, Pastore GM, Duran N. Laccase induction in fungi and laccase/N-OH mediator systems applied in paper mill effluent. Bioresour Technol 2007;98:158-64. 

  14. Thiribhuvanamala G, Kalaiselvi G, Parthasarathy S, Anusha B. Induction of lignolytic enzyme activities in different agro residues by the white rot fungi, Pleurotus sajar-caju. Int J Chem Stud 2017;5:89-94. 

  15. Park BC, Lee YS, Park HJ, Kwak MK, Yoo BK, Kim JY, Kim JA. Protective effects of fustin, a flavonoi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on 6-hydroxdopamine-induced neuronal cell death. Exp Mol Med 2007;39:316-26. 

  16. Samoszuk M, Tan J, Chorn G. The chalcone butein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inhibits clonogenic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co-cultured with fibroblasts. BMC Complem Altern M 2005;5:5. 

  17. Wang Y, Chan FL, Chen S, Leung LK. The plant polyphenol butein inhibits testosterone-induced proliferation in breast cancer cells expressing aromatase. Life Sci 2005;77:39-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