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주-CM 방식의 소규모 건축공사에서 공정관리 성공 요인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in Small-Scale Building Construction with Owner-CM Delivery Method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1, 2019년, pp.96 - 104  

김선규 () ,  김준영 ((주)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도시 주변 중심으로 새로운 택지지구를 개발하거나, 오래전에 개발된 주거지를 새로운 택지로 재개발하는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택지지구의 대지에는 건축주가 직접 건물을 지을 수 있는데, 건축주가 직접 집을 짓는 방식을 건축주 직영공사라고 한다. 건축주 직영공사에서 건축주가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직영공사를 CM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사수행방식을 건축주(Owner)-CM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수행방식이 건축주-CM방식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는 건축주가 CM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인근에 개발된 단독주택단지내에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직영공사로 지어진 유사한 규모의 상가주택들을 대상으로 공정관리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건축주-CM방식으로 수행된 소규모 건축공사의 공정관리 사례로부터 소규모 건축공사에서의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은 향후 자신의 집을 직접 짓고자 하는 건축주들에게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rojects are being actively promoted to develop a new residential district center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or to redevelop the residential area that was established long ago as unplanned land development. In this residential area, the owner can directly construct the building, and 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축주-CM방식으로 수행된 소규모 건축공사의 공정관리 사례로부터 소규모 건축공사에서의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은 향후 자신의 집을 직접 짓고자 하는 건축주들에게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법 개정이전에 경기도 G시와 P시에 조성된 단독주택단지에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직영공사로 지어진 상가주택의 공정관리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건축주-CM방식으로 수행된 사례가 종합건설업체 위탁 방식이나 현장관리자 위임방식보다 공정관리를 체계적으로 실행하였으며, 공정관리가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데 크게 일조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인근에 개발된 단독주택단지 내에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직영공사로 지어진 유사한 규모의 상가 주택들을 대상으로 공정관리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건축주-CM방식에서만 체계적인 공정관리가 수행되었으며, 공정관리는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넷째, 정확한 건축공사 관련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조사 대상 건축주와 의사소통이 원활할 것
  • 둘째, 조사대상 건축공사의 규모가 비슷할 것
  • 셋째, 조사대상 건축공사의 착공시점이 비슷할 것
  • 첫째, 법령에서 허용하는 건축주 직영공사 규모일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주(Owner)-CM방식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택지지구의 대지에는 건축주가 직접 건물을 지을 수 있는데, 건축주가 직접 집을 짓는 방식을 건축주 직영공사라고 한다. 건축주 직영공사에서 건축주가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직영공사를 CM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사수행방식을 건축주(Owner)-CM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수행방식이 건축주-CM방식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Owner-Builder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Owner-Builder에는 여러 형태가 있지만, Owner-Builder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집을 짓기 위한 노무자들을 건축주가 직접 고용하고 법적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건축주가 법적 책임을 지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국내에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수행방식이 건축주-CM방식인 경우가 드문 이유는? 그러나 국내에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수행방식이 건축주-CM방식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는 건축주가 CM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인근에 개발된 단독주택단지내에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직영공사로 지어진 유사한 규모의 상가주택들을 대상으로 공정관리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illows, Dick (2015). "Small Project Planning Technique." Project Management Certification, USA. 

  2. Buehring, Simon (2017). "Managing Small Projects." ProjectSmart Co. Ltd., UK. 

  3. Cartwright, Steve (2017). "Project Management Tips for Managing Small Projects." Volpei Ltd. Ireland. 

  4. CMAA. (2011). "An Owner's Guide to Construction and Program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merica, USA. 

  5. Kissinger, Dohn (2017). "A Step-by-Step Approach for Planning Your Small Project." Profit Solution, USA. 

  6. Larson, Elizabeth, and Richard (2016). "Managing Small Projects; The Critical Steps." PMtimes. Canada. 

  7. Rawlins, Daniel D. (2015). "Choosing a Project Delivery Method." Design-Build Institute of Amenrica, USA. 

  8. Kim, S. G. (2015). "BDM Scheduling." Munwoon-Dang, Korea. 

  9. Kim, S. G. (2018). "Advanced Scheduling Theory", Goomibook, Korea 

  10. Kwon, O. K. (2013). "Construction Management Strategy for Civil/SOC Fields." Construction Management of Association of Korea Forum, Korea. 

  11. Kim, T. H. (2017). "Reduce the Construction Size by Owner-Build to $85m^2$ ." Construction Economy News, Korea. 

  12. Wikipedia (2016). "Owner build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