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워드클라우드를 이용한 국내·외 BIM 연구 동향 분석
Recent Research Trends Analysi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ing WordCloud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9 no.1, 2019년, pp.95 - 103  

서민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이웅균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도입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 BIM 활용 수준은 해외 BIM 활용 수준에 비해 아직 미약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외 연구문헌 분석을 통해 BIM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건축의 관련된 국내 외 BIM논문을 수집 후 연도별과 분야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고, 빅데이터 기법 중 하나인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연구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전히 설계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와서는 시공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국내 BIM연구의 흐름은 2012년을 시작으로 협업, 친환경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국외 BIM연구의 흐름은 매 년마다 연구의 트렌드가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최근에는 IFC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진행할 연구 방향으로 IFC 분야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국내 BIM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and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in construction projects have increased steadily over the past few years. However, the level of domestic BIM utilization is still tenuou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scen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sible directions for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연구 문헌 분석을 통해 BIM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문헌 고찰을 통하여 건축분야에 BIM 활용하는 단계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분야별 연구 동향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 대상으로 한 BIM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을 적용시킬 수 있는 단계는 크게 기획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BIM활용, 특히 건축분야에 대한 연구 및 적용 방안을 분석하기 위해 각종 문헌과 자료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 워드클라우드는 통계프로그래밍 언어인 S언어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통계 계산과 빅데이터 분석을 목적으로 만든 R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BIM 연구방향과 국외 BIM 연구방향의 차이점에 대한 결론과 국내 BIM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도출하였다.
  • 이를 통해 국내·외 연구동향과 연구패턴 비교·분석을 하여 국내 BIM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는 무엇인가?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 반정형, 비정형으로 분류가 되는데 이중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워드클라우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 반정형, 비정형으로 분류가 되는데 이중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하지만 워드클라우드는 빈도에 따라 문자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텍스트에서의 해당 키워드의 빈도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키워드 분석에서 많이 활용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SNS의 키워드 분석이 있다.
건설프로젝트의 어떤 문제점때문에 대안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하고 있는가? 건설 프로젝트는 기획단계를 시작으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다양한 조직들이 참여하고 저마다의 계획을 세워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프로젝트 단계별 진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업 과정이 발생하며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정보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공 및 생산 과정에서의 설계 변경, 공기 지연, 공사비증가, 품질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초기 대응이 중요하며 이의 대안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활용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eong GH, Kim GC. A study on development of BIM guideline. Journal of KIBIM. 2011 Jun;1(2):1-5. 

  2. Yun SH. Priority analysis of BIM technologies development using cluster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6 Sep;32(9):35-42. 

  3. Lee G.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BIM.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 Jan;54(1):70-2. 

  4. Hwang JO, Hong YK, Kim YI, Park SH. Trends and prospects of BIM research based on sensor network,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2010 Jul;28(7):36-43. 

  5. Ilter D, Ergen E. BIM for building refurbishment and maintenanc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directions. Structural survey. 2015 Mar;33(3):228-56. 

  6. Mehmet Y, Vishal S. Patterns and trend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research: A Latent Semantic Analysi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5 Jul;59:68-80. 

  7. Xianbo Z. A scientometric review of global BIM research: Analysis and visualiz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7 Apr;80:37-47. 

  8. Jeong DO, Lee JS, Park SS. A technology trend analysis using wordclou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016 Apr;26(1):17-8. 

  9. Ju SU, Park MS.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5 Dec;27(4):37-50. 

  10. Park DJ. A study on decision support of participants in architectural planning phase using BI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01 Aug;17(8):67-74. 

  11. Choi SY, Choi JW, Kim JH, Kim J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im-based spatial planning simulation system for architectural planning stage support. Journal of KIBIM. 2011 Jun;1(2):19-23. 

  12. Lee SH, Woo CM, Lee BS, Jun HJ. A basic study on bim design knowledge schema and the framework for knowledge information based architectural design support system. Journal of Design Convergence Study 2014 Oct;13(5):271-88. 

  13. Kim BM, Jeon HJ, Jang SJ, Yun SH, Paek JH. A study on improving effectiveness of quantity estimation with BI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8 Oct:28(1);705-8. 

  14. An HK, Lee SK, Yu JH, Jang HS, Son BS. Information requirements analysis for bim-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2 Nov;28(11):133-42.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