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장마당세대의 의식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angmadang Generation's Consciousness in North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 2019년, pp.313 - 322  

채경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 장마당세대가 많은 사회학적 범주들인 계급, 학생, 민족, 젠더 등을 넘어서 실제세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교육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11월부터 12월 말까지 국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5년 이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고,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상에서 장마당세대의 주요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낮으며, 경제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장마당세대의 교육의식과 준법의식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장마당세대는 객관적 세대위치로서 청소년기에 '고난의 행군'과 '공교육의 붕괴'를 경험하였다. 기성세대와 다른 장마당세대의 세대위치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세대의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공교육을 제대로 받은' 기성세대에 비해 '공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장마당세대는 전반적으로 기성세대에 비해 의식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이렇듯 장마당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세대의식을 갖는 집단으로 하나의 세대로 구성될 가능성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oses a question on whether the Jangmadang Generation, which has been the focus of the sociological interest, can form an actual generation by transcending the social classes, status of students, ethnicity, and gender, etc.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consciousness 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청소년시기에 북한의 ‘고난의 행군’이라는 공통의 운명에 참여한 것으로 하여 동일한 세대위치에 놓인 새로운 세대에게 ‘장마당세대’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에서 ‘장마당세대’의 명칭을 차용하고자 한다[5].
  • 북한 정권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청년세대는 본 연구의 ‘장마당세대’와 연령코호트가 일치하는 것으로 장마당세대 의식의 특성을 규명하여 김정은 정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장마당세대의 세대의식을 좀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장마당세 대’의 세대의식으로 정치·경제·사회·준법·교육 의식 등을 다각도로 살펴볼 것이다.
  • 북한의 장마당세대를 규정하고 연구하려는 시도들이 다양한 세대론 속에서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 장마당세 대가 많은 사회학적 범주들인 계급, 학생, 민족, 젠더 등을 넘어서 실제세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장마당 세대가 실제세대를 구성하기 위해 성립해야 할 조건인 객관적 세대위치와 느슨한 동류 의식의 차원에서 세대의식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주장한 장마당세대가 실제세대로 형성되었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세대위치와 세대의식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고찰하였다. 세대위치는 보다 정밀하게 규정하고 세대의식은 광범위하고 세부적으로 조사하여 새로운 세대의 의식 특성을 규명하고 그로 인해 장마당세대가 갖는 의미를 조명한 것이 본 논문이 기존 연구들과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기존 연구들이 장마당세대가 청소년기에 ‘고난의 행군’이라는 커다란 역사적 사건을 공통으로 경험했다는 객관적 세대위치[7]에 주목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고난의 행군’과 그로 인한 ‘장마당경험’ 외에 ‘공교육의 붕괴’라는 사회역사적인 사건에 장마당세대가 직접적으로 참여했다는 세대위치에 주목하였다. 이와 함께 역사적 사건을 공통으로 경험하는 것 이상의 세대의식[8]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장마당세대가 기성세대와 얼마나 세대 간 의식 차이를 가지는지와 세대 내 하위집단 간 의식이 얼마나 동일한지를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 장마당세 대가 많은 사회학적 범주들인 계급, 학생, 민족, 젠더 등을 넘어서 실제세대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장마당 세대가 실제세대를 구성하기 위해 성립해야 할 조건인 객관적 세대위치와 느슨한 동류 의식의 차원에서 세대의식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장마당세대는 ‘고난의 행군’과 미배급사태를 공통으로 경험했을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는 ‘공교육의 붕괴’를 경험했다는 점에서 기성세대와 세대위치가 다르다고 규정하였다.
  • H4.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준법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2.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경제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5.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교육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3.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사회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1.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정치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4.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준법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3. 북한 장마당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사회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장마당세 대’의 세대의식으로 정치·경제·사회·준법·교육 의식 등을 다각도로 살펴볼 것이다. 한 세대의 세대의식은 다른 세대의 의식과 구별되어야 하지만 세대 내에서는 동일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우선 장마당세대의 주요 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마당세대는 무엇을 말하는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서 북한의 새로운 세대가 기성 세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를 것이라는 주장들이 제기되었으며 배급제를 경험하지 못하고 장마당으로 내몰린 세대 에게 ‘장마당세대’라는 명칭을 붙였다[5]. 또한 북한의 정치적 자유화와 시장경제 도입을 가져올 수 있는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변혁의 세대’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였다[6].
기성세대와 달리 '새 세대'가 북한에게 특별한 이유가 무엇인가? 북한당국의 주장대로 혁명의 3․4세 대는 청소년기에 역사적으로 커다란 사건이나 변혁을 경험한 적이 없는 세대로서 기성세대가 되어 40대와 50대 를 형성하고 있다[2]. 그러나 새로운 세대는 기성세대와는 달리 사회주의 시스템의 붕괴로 청소년기에 김정은 정권도 인정한 유례없이 엄혹한 ‘고난의 행군’과 ‘강행군’을 경험하였으며[1], 특히 북한당국이 수십 년 동안 자랑해온 무료교육의 실질적인 붕괴를 직접적으로 경험 한 세대라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주요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장마당세대의 주요의식들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장마당세대의 정치의식, 사회의식, 준법의식, 교육의식은 기성세대에 비해 낮으며, 경제의식은 기성세 대에 비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장마당세대 의 교육의식과 준법의식은 기성세대와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E. Kim, "Letter from the youth alliance to the participants of the 4th elementary day", Labor Newspaper, 2014. 9. 18. 

  2. I. J. Lee, Value-oriented change in North Korea's 'New Generation'. Paju: Academic Information of Korea, 2007. 

  3. J. K. Kim,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society.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sia Pacific Institute, 1990. 

  4. D. W. Kang, J. R. Park, "The current state of changes to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Kim Jung-eun regime: With a focus on an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North Korean people", Journal of North Korean Studies, Vol.39, No.2 pp.110-151, 2014. 

  5. I. H. Park, "'Jangmadang' The future of the new generation and North Korean regim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yungnam University Far East Research Institute, 2015. 6. 23. 

  6. S. H. Lim, Changes and prospects of values in the new generation of North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06. 

  7. M. Karl, The problem of generation. N. S. Lee ed., Seoul: Book world, 2013. 

  8. J. H. Park, "A study on the concept of gener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37, No.3 pp.1-23, 2003. 

  9. M. C. Lee, "A study on the North Korean view of the economy & understanding on the economic reform and openness", North Korean Studies Review, Vol.10, No.2 pp.187-213, 2006. 

  10. Chosun Labor Party Central Committee, "Kim Il Sung socialist youth alliance ninth conference decision", Labor Newspaper, 2016. 8. 28. 

  11. Chosun Labor Party Central Committee, "Kim Il Sung socialist youth alliance organizations, workers, young people", Labor Newspaper, 2016. 1. 17. 

  12. S. K. Kim, The cultural politics of discursive construction of 'younger generation' :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 of 'younger generation' since.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of Korea, 2015. 

  13. J. S. Kim, "A study on the Kim Il-Sung socialist youth league in the Kim Jong-Un Era", Unification Policy Studies, Vol.22, No.2 pp.51-78, 2013. 

  14. A. R. Park, A study on the new generation(sae-sedae) deviation of North Korea.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of Korea, 2009. 

  15. J. A. Jo, Y. J. Jo, E. H. Jo, E. Y. Choi, M. Hung, The birth of a new generation: Generation experience and analysis of North Korean youth.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3. 

  16. W. C. Ka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of Jangmadang Generation's Consciousness in North Kore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Korea, 2016. 

  17. G. D. Lee, "The consciousness of 'March of Suffering' generation and regime change", Journal of North Korean Studies, Vol.36, No.2 pp.8-39, 2011. 

  18. S. K. Kim, North Korea's youth and generation problems: Issues and design of this study. Seoul: Kyungnam University Far East Research Institute, 2015. 

  19. W. S. Kim, Y. J. Park, I. A. Hyun, Power of empowerment of North Korean residents. Seoul: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5. 

  20. B. D. Choi, North Korean youth and political generation problem. Seoul: Kyungnam University Far East Research Institute, 2015. 

  21. C. S. Park, "A study on so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Unification Strategy, Vol.11, No.1 pp.153-187, 2011. 

  22. Y. J. Choi, S. B. Choi, "Generational bound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attitudes: Preliminary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generations",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29, No.2 pp.159-201, 2013. DOI: https://doi.org/10.16935/ejss.2013.2.29.005 [24-23] 

  23. Support Found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legal system for improving legal opin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Seoul: Nelpumplus, 2013. 

  24. E. S. Choi, Y. T. Kwon, Legal issues on family relations and inherita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Seoul: Support Found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2010. 

  25. J. Y. Yoon, A study on the law-related education for the legal consciousness improve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of Korea, 2014. 

  26. H. S. Shin,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orth Korean education: From socialist education tosubject education", North Korean Studies Review, Vol.5, No.1 pp.57-81, 2009. 

  27. M. H. Choi,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Jangmadang on the economy and system of North Korea.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Korea,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