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or and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683 - 689  

채경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입국탈북자들 중, 청소년 탈북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북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탈북청소년들은 한국 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을 낯설어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탈북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06월 14일부터 24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 사회적지지 유형인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탈북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지지 4가지 유형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통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자기개발훈련 등의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at the ratio of adolesc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s increasing, it is the right time to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juvenile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adolescents tend to find themselves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s they experience unfamiliar lives in South Korea,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면서 가족, 친구, 사회복지사 등으로부터 제공받는 사회적지지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와 그들의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특히, 사회적 지지는 안정적인 인적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발달단계에 따른 과업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남한에서 생활하며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주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해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겠다.

가설 설정

  • H1.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2. 탈북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문제해결능력에 정 (+)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3.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와 문제해결능력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H4.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 마지막으로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유형인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에서 탈북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모든 사회적지지 유형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탈북청소년들에게 건강, 학업에 대한 정보, 금전적인 도움, 심리적인 지원 등의 사회적 지지원은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또한 탈북청소년들이 낯선 환경에서 일상의 문제를 회피하거나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자아존중감이 높다면, 남한사회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더욱더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으로 온 북한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그러나 해방 이후 정치, 경제, 사회체제가 다른 사회 속에서 생활해 오는 동안에 우리와 북한 사람들 사이에는 생활방식, 사고방식, 의식, 가치관 등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은 먹을 것과 자유를 찾기 위해 한국으로 건너왔지만 외국인 이상으로 한국에서 살아가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탈북자를 한국인과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로 여기지만 실은 타문화권에 가깝기 때문에 현실적인 문화적 차이에서 나타나는 그 괴리감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3].
자아존중감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이란 개인이 유능하고, 중요하고,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믿는 것으로‘자존감’으로 줄여서 많이 사용하며, 자존감은 다양한 특성에서 자신을 평가하여 나타난 자기가치에 대한 자신의 감정 또는 관념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신의 평가수준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존감은 한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를 표시하는 가치판단이며,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주관적인 경험인 것이다[17].
탈북청소년이 남한에서 접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제공되어야 하는가? 탈북청소년이 남한에서 일상의 문제를 접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문제행동을 보이는 것은 개인적인 기능이 낮아서라기보다 갑작스럽게 새로운 사회에 편입되어 나타나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탈북청소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한사회에서 안정적인 인적 자원을 제공해야 하며 안정적인 인적 자원으로부터의 긍정적인 지지가 제공되어야 한다[6]. 탈북청소년 역시 사회적 욕구를 가지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회화되고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되며, 다른 사람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 속에서 사회적 지지를 얻게 되는데, 이는 탈북청소년 개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능력을 스스로 높여 궁극적으로 남한사회적응에 기틀을 잡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http://www.unikorea.go.kr/(Search date: July 15, 2017) 

  2. Y. L. Jung, S. H. Yoo,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hinking Change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Youth Refugees during the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 7, no. 1 pp. 51-75, 2014. DOI: https://doi.org/10.14328/MES.2014.03.31.051 

  3. Y. S. Park,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Doctoral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06. 

  4. N. H. Oh, Case Study about Adjustment in South Korea of Youth Defector.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3. 

  5. C. H. Jang, "Social Work Approach for the Adjustment of children and Youth from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vol. 5 pp. 203-235, 2001. 

  6. Y. S. Park,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Doctoral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06. 

  7. J. S. Hhwang, S. Y. Jeon, "Adaptation Support Pla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 8, no. 3 pp. 223-249, 2004. 

  8. S. H. Jung,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2. 

  9. E. B. Gil, S. H. Mun, "The policy implications and problems on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youth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0, no. 4 pp. 163-186, 2003. 

  10. H. H. Jung, "North Korean Refugees' Emotionality and Its Social Implications : A Perspective from Cultural Psychology", Cross-Cultural Studies, vol. 11, no. 1 pp. 81-111, 2005. 

  11. J. G. Cheong, "An Investigation into the Ways of Thinking of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Unification and Multi Cultural Education, vol. 4, no. 1 pp. 79-97, 2011. 

  12. M. H. Han, A. J. Yoo,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17, no. 1 pp. 173-188, 1996. 

  13. M. Barrera,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14, no. 4 pp. 413-445, 1986. DOI: https://doi.org/10.1007/BF00922627 

  14. M. S. Kim,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ladjustment of childre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1994. 

  15. E. Wethington, R. C. Kessler,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pp. 78-89, 1986. DOI: https://doi.org/10.2307/2136504 

  16.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1981. 

  17.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 1967. 

  18. P. H. Mussen, J. J. Conger,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 1956. 

  19. Y. J. Hong, The effects of self-esteem, stress and parenting styl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1. 

  20.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DOI: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21. R. E. Mayer, M. C. Wittrock, "Problem solving",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 pp. 287-303, 2006. 

  22. H. H. Perlman, Social casework: A problem-solving proces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23. B. R. Compton, B. Galaway, Social work processes. Wadsworth Pub Co., 1999. 

  24. T. J. D'Zurilla, A. M. Nezu, "Social problem solving",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 1 pp. 201-274, 1982. DOI: https://doi.org/10.1016/B978-0-12-010601-1.50010-3 

  25. T. J. D'Zurilla, A. M. Nezu, "Problem-solving therapy", Handbook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vol. 3 pp. 197-225, 2010. 

  26. T. J. D'Zurilla, A. M. Nezu, "Social problem solving",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 1 pp. 201-274, 1982. DOI: https://doi.org/10.1016/B978-0-12-010601-1.50010-3 

  27.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 1173,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