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른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수학흥미도 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Interest and Mathematical Grade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th Socializ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3 no.1, 2019년, pp.21 - 34  

황선욱 (숭실대학교) ,  유경훈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 진학의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뒤 수학사회화 경험이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며,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와 수학불안 및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고등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 수학불안, 흥미도 검사와 수학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학사회화 경험과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으며 둘째, 수학사회화 경험은 수학점수, 수학불안과 흥미도를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학사회화 경험 수준에 따라 수학점수 및 수학불안과 흥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th socialization, and to find out which mathematics anxiety causes have more influence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how much it is. For this p...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사회화 경험이 수학불안 및 흥미도와 수학점수와 어떠한 상관이 있으며 수학사회화 경험이 이러한 변인들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변인들이 수학사회화 경험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불안이란 무엇인가? Richardson과 Woolfolk(1980)는 수학불안을 일상생활에서 수식을 활용하는 상황과 학습하는 장소에서 수의 조작과 문제 해결을 원활히 하지 못하게 하는 긴장과 불안한 감정이라고 정의하였고, Tobias와 Weissbrod(1980) 는 수학불안이란 수학적 문제를 풀도록 요구될 때 몇몇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공포, 무기력, 마비, 정신적 혼란 같은 상황 자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고 하였다(허혜자, 1996 재인용). Malmivuori(2004), Hannula(2006) 는 수학을 하고자 하는 동기요인을 수학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학습동기는 수학성취와 상관 있는 변인이라고 하였으며 윤락경, 전인호(2010)는 수학에 대한 두려움이 수학에 대한 혐오감이나 부정적 느낌 을 가지게 되며 학습에 대한 기피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은 시간과 노력의 투자에 대한 성과가 하위권인 이유는? 현재 한국의 고등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만 수학문제에 접하면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고 포기하려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많은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하면서도 수학을 왜 배워야 하고, 어디에 쓰 이는지 알지 못한 채, 대학을 가기 위해 기계적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 취도는 PISA 결과 최상위권이지만, 시간과 노력의 투자에 대한 성과를 비교해 볼 때는 하위권으로 나타난다(최 승현, 박상욱, 황혜정, 2014).
위축감이나 열등감 등의 정서적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부모나 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생각이나 태도는 학생들이 새로운 내용들을 학습하고 흥미와 관심, 호기심이 일어나도록 하며 수학학습에서 크고 작은 성공 경험들로 성취감을 느끼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갖고 진로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또래들의 관계가 중요한 이 시기의 학생들은 실패의 경험에서도 이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성인들과 함께 주변의 또래들 간의 관계에서도 활발히 일어나며 이때 발생하는 위축감이나 열등감 등의 정서적 경험은 다른 학습에도 영향을 주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데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황선욱 외,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searcher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3rd Workshop book, Ministry of Education. 

  2. Kim, Bo Kyung & Jung, Hee Sun (2016). The Influenc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9(3), 217-238. 

  3. Soo Jin Kim & Bu Mi Kim (2010). Instrument Development for Mathematical Achievement Attribution. The Mathematicl Eduction, 49(4), 501-522. 

  4. Park, H. S. & Cho, W. Y. (2016). Healing Case Study Apply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Mathematics Anxiet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791-818. 

  5. Lew, K. H. (2017). The effect of Mathematics Anxiety of Upper-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Grades and Gende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ulty and Environment, 15(2), 111-119. 

  6. Yoon, R. K. & Jeon, I. H. (2012). The Development of a Math-Friendly Activity Program for the Alleviation of Mathematics Anxiet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4(3), 583-613. 

  7. Yoon, M. S. & Kim, S.I . (2004). A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inking Styles,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dogy, 18(2), 161-180. 

  8. Lee, D. W., Gho, H. K. & Yoo. M. H. (2012). Math Teaching Method and Classroom Environment Preferred b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1), 23-37. 

  9. Lee, S. H. & An, S. H. (2016). The influenc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ttitude on mathematics-related career choice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6), 1-26. 

  10. Hyun Sook Yi & Chang mook Lee (2015) Analysis of Longitudinal Change of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Among Countries with High Performance on TIMSS Mathematics, 교육평가연구, 28(2), 313-337 

  11. Jung, K. A. (2002) A study on the predictive and mediational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a mod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Ph. D.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2. Choi, Sang-Ho, Ha, Jeong-Mi & Kim, Dong-Joong (2016). An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9(2), 153-176. 

  13. Choe, Seung-Hyun, Park, Sangwook & Hwang, Hye Jeang. (2014).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1), 23-43. 

  14. Han, C. & Park, M. (2015). A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s -Focusing on NAEP 2015, TIMSS 2015 and PISA 2015-, The Mathematics Education, 54(3), 261-282. 

  15. Huh, H. J. (1996). A Study on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6. Hwang Sunwook, Kim Namjun, Son Jeongsuk, Song Wonhee, Lee Kapjung, Choi Seongja & Lew Kyounghoon. (2017).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TEAM Outreach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4), 389-407. 

  17. Hwang Sunwook & Lew Kyounghoo. (2018).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2(2), 175-189. 

  18. Woo Hyung Whang & Yu Na Lee.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1), 1-38. 

  19. Buckley, S., Reid, K., Goos, M., Lipp, O. V., & Thomson, S. (2016).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mathematics anxiety using perspectives from education, psychology and neuroscienc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60(2), 157-170. 

  20. Goldin, G. A. (2003).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A unifying research perspective.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275-285). Reston, VA: NCTM. 

  21. Hannula, M. S. (2004). Regulating motivation in mathematics. A paper presented at the Topic Study Group 24 of ICME-10. Retrieved September 15th 2005 from http://www.icme-organisers.dk/tsg24/Documents/Hannula.doc. 

  22. Lazarus, R. S. (1974). Psychological stress and coping in adaptation and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5, 321-333. 

  23. Malmivuori, M.-L. (2004). A Dynamic Viewpiont: Affect in the Functioning of Self System Processes. In M. Johnsen Hoines & A. B. Fuglestad (Eds.): Proceedings of the PME 28, Vol. 1(114-118) Bergen: Bergen University College. 

  24.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the first result from PISA 2003. Paris, OECD Publication. 

  25. Richardson, F. C. & Woolfolk, R. L. (1980). Mathematics Anxiety. In Sarason, I. G. (Ed.), Test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Hillsdale, NJ: Erlbaum. 

  26. Tobias, S. & Weissbrod, C. (1998). Anxiety and Mathematic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0(1), 63-70. 

  27. Wigfield, A. & Meece, J. (1988). Math anxiety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10-216. 

  28. Zimmerman, B., Bandura, A. & Martinez-Pons, M. (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 663-6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