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비표면적 지르코니움 산화물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H 영향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Surface Area of Zirconia: Effect of pH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7 no.1, 2019년, pp.133 - 141  

정예슬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신채호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침전법으로 환류방법 또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산 염기점을 갖는 고비표면적 지르코니아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지르코니아는 침전제로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Zr 용액의 pH를 2에서 10 범위 내에서 조절하였으며 질소흡착분석, X-선 회절분석(XRD), 이소프로판올 승온탈착법(IPA-TPD),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X-선 광전자분광분석, 산-염기점 분석을 통해 IPA 분해반응의 촉매활성과 연관하여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환류방법을 사용할 시, tetragonal 상이 높은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Zr 용액의 pH가 높아야 하며, pH 9 이상에서는 순수한 tetragonal 상의 지르코니아 합성이 가능하였다. 또한, 비표면적이 큰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pH가 요구되었으며, pH 10에서 합성한 경우에는 $600^{\circ}C$에서 소성 후에도 $260m^2g^{-1}$의 높은 비표면적이 얻어졌다. 하지만 같은 조건 하에서 고압이 수반되는 수열합성에는 $40m^2g^{-1}$ 이하의 매우 낮은 비표면적을 보였으며, monoclinic 상의 지르코니아가 합성되었다. 고 비표면적 tetragonal 상의 지르코니아를 얻기 위해서는 용액의 pH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용액의 pH와 무관하게 높은 압력이 필요한 수열합성에서는 monoclinic 지르코니아가 생성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비표면적이 낮게 나타났다. 높은 비표면적과 tetragonal 상을 갖는 지르코니아는 염기점에 비해 산점이 우세하여 IPA 분해반응에서 선택적 탈수반응만 진행되는 프로필렌만 생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specific surface area zirconia with acid-basic property was synthesized by precipitation using reflux method or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using ammonium hydroxide solution as precipitant in the range of pH of Zr solution from 2 to 10. The prepared zirconia was characterized by the nitrogen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르코니아의 물성 변화를 위해 제조 시 조절할 수 있는 변수로는 지르코니움염 또는 알콕사이드의 종류, 용액 농도[21], 염기성 침전제의 종류[17], 용액 pH, 계면활성제 사용 유무, 제조 후 소성온도, 합성 시 환류 온도 및 시간 등 다양한 실험 변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움 질산화물의 수용액으로부터 수산화암모늄 용액을 침전제로하여 pH를 변화시켜 환류방법과 수열합성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된 수화 지르코니아와 소성 후 지르코니아의 특성 분석 및 촉매활성을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분해 반응에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르코니움 산화물(ZrO2)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가? 지르코니움 산화물(ZrO2)은 높은 열저항성, 이온전도성 등의 성질을 함유하고 있어 고온 요업재료, 페인트, 첨가제, 연료전지에서의 고체 electrolyte, 촉매 담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지르코니아는 합성조건 및 처리조건에 따라 알루미나, 실리카와 유사하게 입방정계(cubic), 정방정계(tetragonal), 단사정계(monoclinic), 사방정계(orthorhombic) 상태로 다양한 결정상을 간직할 수 있다[4].
지르코니움 산화물(ZrO2)가 가질 수 있는 결정상으로 무엇이 있는가? 지르코니움 산화물(ZrO2)은 높은 열저항성, 이온전도성 등의 성질을 함유하고 있어 고온 요업재료, 페인트, 첨가제, 연료전지에서의 고체 electrolyte, 촉매 담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지르코니아는 합성조건 및 처리조건에 따라 알루미나, 실리카와 유사하게 입방정계(cubic), 정방정계(tetragonal), 단사정계(monoclinic), 사방정계(orthorhombic) 상태로 다양한 결정상을 간직할 수 있다[4]. 촉매 담체 또는 촉매로서의 널리 사용되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실리카-알루미나와는 달리 지르코니아는 산·염기 성질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으며, 산화성, 염기성 등의 독특한 성질 로 인해 다양한 화학반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3-7].
지르코니아 합성에 있어서의 침전법은 무엇인가? 지르코니아 합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분말 제조 방법으로는 지르코니움 질산염, 염화물 등의 전구체를 수용액으로 NH4OH, NaOH, KOH, NaHCO3, Na2CO3 등의 염기성 수용액 물질을 침전제로 사용하여 수화물로 침전시켜 제조하는 침전법[15-17]과 지르코니움 부톡사이드 또는 프로폭사이드의 수화분해반응을 이용하는 솔-젤방법 등이 있다[12,18]. 이러한 합성 방법에 따라 지르코니아의 특성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ura, N., Sato, T., Anggraini, S. A., Ikeda, H. and Zhuiykov, S., "A Review of Mixed-Potential Type Zirconia-Based Gas Sensors," Ionics, 20, 901-925(2014). 

  2. Kouva, S., Honkala, K., Lefferts, L. and Kanervo, J., "Monoclinic Zirconia, Its Surface Sit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Carbon Monoxide," Catal. Sci. Technol., 5, 3473-3490(2015). 

  3. Yamaguchi, T., "Application of $ZrO_2$ as a Catalyst and a Catalyst Support," Catal. Today, 20, 199-217(1994). 

  4. Kisi, E. H. and Howard, C., "Crystal Structures of Zirconia Phases and Their Inter-Relation," Key Eng. Mater., 153-154, 1-36(1998). 

  5. Guisnet, M. R., "Model Reactions for Characterizing the Acidity of Solid Catalysts," Acc. Chem. Res., 23, 392-398(1990). 

  6. Aramendiia, M. A., Borau, V., Jimenez, C., Marinas, J. M., Marinas, A., Porras, A. and Urbano, F. J.,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rO_2$ as Acid-Basic Catalysts: Reactivity of 2-Methyl-3-Butyn-2-Ol," J. Catal., 183, 240-250(1999). 

  7. Kijenski, J. and Baiker, A., "Acidic Sites on Catalyst Surfaces and Their Determination," Catal. Today, 5, 1-120(1989). 

  8. Li, Y., He, D., Zhu, Q., Zhang, X. and Xu, B., "Effects of Redox Properties and Acid-Base Properties on Isosynthesis over $ZrO_2$ -Based Catalysts," J. Catal., 221, 584-593(2004). 

  9. Zhang, H., Ng, C. F. and Lai, S. Y., "Catalytic Decomposition of Chlorodifluoromethane (HCFC-22) over Platinum Supported on $TiO_2$ - $ZrO_2$ Mixed Oxides," Appl. Catal. B: Environ., 55, 301-307 (2005). 

  10. Hong, E., Kim, C., Lim, D.-H., Cho, H.-J. and Shin, C.-H., "Catalytic Methane Combustion over $Pd/ZrO_2$ Catalysts: Effects of Crystalline 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ies," Appl. Catal. B: Environ., 232, 544-552(2018). 

  11. Park, J.-H., Cho, J. H., Kim, Y. J., Kim, E. S., Han, H. S. and Shin, C.-H., "Hydrothermal Stability of $Pd/ZrO_2$ Catalysts for High Temperature Methane Combustion," Appl. Catal. B: Environ., 160, 135-143(2014). 

  12. Pecchi, G., Reyes, P., Gomez, R., Lopez, T. and Fierro, J., "Methane Combustion on $Rh/ZrO_2$ Catalysts," Appl. Catal. B: Environ., 17, L7-L13(1998). 

  13. Guerrero, S., Araya, P. and Wolf, E. E., "Methane Oxidation on Pd Supported on High Area Zirconia Catalysts," Appl. Catal. A: Gen., 298, 243-253(2006). 

  14. Yue, Y., Zhao, X., Hua, W. and Gao, Z., "Nanosized Titania and Zirconia as Catalysts for Hydrolysis of Carbon Disulfide," Appl. Catal. B: Environ., 46, 561-572(2003). 

  15. Afanasiev, P., Thiollier, A., Breysse, M. and Dubois, J., "Control of the Textural Properties of Zirconium Oxide," Top. Catal., 8, 147-160(1999). 

  16. Chuah, G., Jaenicke, S. and Pong, B., "The Preparation of High-Surface-Area Zirconia: II. Influence of Precipitating Agent and Digestion on the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of Hydrous Zirconia," J. Catal., 175, 80-92(1998). 

  17. Chuah, G. and Jaenicke, S., "The Preparation of High Surface Area Zirconia-Influence of Precipitating Agent and Digestion," Appl. Catal.: A Gen., 163, 261-273(1997). 

  18. Stocker, C. and Baiker, A., "Zirconia Aerogels: Effect of Acid-to-Alkoxide Ratio, Alcoholic Solvent and Supercritical Drying Method on Structural Properties," J. Non-Cryst. Solids, 223, 165-178(1998). 

  19. Ren, T.-Z., Yuan, Z.-Y. and Su, B.-L., "Hierarchical Microtubular Nanoporous Zirconia with an Extremely High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Chem. Phys. Lett., 388, 46-49(2004). 

  20. Sim, H.-I., Park, J.-H., Cho, J. H., Ahn, J.-H., Choi, M.-S. and Shin, C.-H., "The Effect of the Crystalline Phase of Zirconia for the Dehydration of Iso-Propanol," Korean Chem. Eng. Res., 51, 208-213(2013). 

  21. Stichert, W. and Schuth, F., "Influence of Crystallite Size on the Properties of Zirconia," Chem. Mater., 10, 2020-2026(1998). 

  22. Hong, E., Baek, S. W., Shin, M., Suh, Y.-W. and Shin, C.-H., "Effect of Aging Temperature During Refluxing on the Textural and Surface Acidic Properties of Zirconia Catalysts," J. Ind. Eng. Chem., 54, 137-145(2017). 

  23. Liu, S., Wu, X., Tang, J., Cui, P., Jiang, X., Chang, C., Liu, W., Gao, Y., Li, M. and Weng, D., "An Exploration of Soot Oxidation over $CeO_2$ - $ZrO_2$ Nanocubes: Do More Surface Oxygen Vacancies Benefit the Reaction?," Catal. Today, 281, 454-459(2017). 

  24. Shuang, L., Xiaodong, W., Duan, W. and Rui, R., "Ceria-Based Catalysts for Soot Oxidation: A Review," J. Rare Earths, 33, 567-590(2015). 

  25. Fino, D., Bensaid, S., Piumetti, M. and Russo, N., "A Review on the Catalytic Combustion of Soot in Diesel Particulate Filter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From Powder Catalysts to Structured Reactors," Appl. Catal. A: Gen., 509, 75-96(2016). 

  26. Asadikiya, M. and Zhong, Y., "Oxygen Ion Mobility and Conductivity Prediction in Cubic Yttria-Stabilized Zirconia Single Crystals," J. Mater. Sci., 53, 1699-1709(2018). 

  27. Duwez, P., Odell, F. and Brown Jr, F. H., "Stabilization of Zirconia with Calcia and Magnesia," J. Am. Ceram. Soc., 35, 107-113 (1952). 

  28. Liu, A., Nyavor, K., Li, Z. and Egiebor, N. O., "Effects of Composition and Calcination Temperature on Morphology and Structure of Barium Modified Zirconia Nanoparticles," Mater. Sci. Eng. A, 366, 66-73(2004). 

  29. Ma, H., Kong, Y., Hou, W. and Yan, Q., "Synthesis of Ordered Hexagonal Porous Tin-Doped Zirconium Oxides with a High Surface Area," Microp. Mesop. Mater., 7, 241-243(2005). 

  30. Li, P., Chen, I. W. and Penner-Hahn, J. E., "Effect of Dopants on Zirconia Stabilization-an X-Ray Absorption Study: I, Trivalent Dopants", J. Am. Ceram. Soc., 77, 118-128(1994). 

  31. Li, P., Chen, I. W. and Penner-Hahn, J. E., "Effect of Dopants on Zirconia Stabilization-an X-Ray Absorption Study: II, Tetravalent Dopants," J. Am. Ceram. Soc., 77, 1281-1288(1994). 

  32. del Monte, F., Larsen, W. and Mackenzie, J. D., "Stabilization of Tetragonal $ZrO_2$ in $ZrO_2$ - $SiO_2$ Binary Oxides," J. Am. Ceram. Soc., 83, 628-634(2000). 

  33. Pyen, S., Hong, E., Shin, M., Suh, Y.-W. and Shin, C.-H., "Acidity of Co-Precipitated $SiO_2$ - $ZrO_2$ Mixed Oxides in the Acid-Catalyzed Dehydrations of Iso-Propanol and Formic Acid," Mol. Catal., 448, 71-77(2018). 

  34. Jung, K. T. and Bell, A. T., "The Effects of Synthesis and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Bulk Structure and Surface Properties of Zirconia," J. Mol. Catal. A: Chem., 163, 27-42(2000). 

  35. Kim, T. W., Park, S., Oh, J., Shin, C.-H. and Suh, Y. W., "Hydrogenation of the LOHC Compound Monobenzyl Toluene over $ZrO_2$ -Supported Ru Nanoparticles: A Consequence of Zirconium Hydroxide's Surface Hydroxyl Group and Surface Area," ChemCatChem, 10, 3406-3410(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