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 유무에 따른 깨물근의 두께와 턱관절 가동범위의 비대칭성 비교
Comparison of Asymmetries on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Range of Motion in Subject With and With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6 no.1, 2019년, pp.28 - 36  

이지원 (아산충무병원 물리치료실) ,  양연주 (플러스병원 물리치료실) ,  원종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is characterized by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 jaw. TMD patients generally prefer to chew on the unaffected or less-affected side, and this tendency often results in asymmetries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range of mandibular motion. O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신뢰도가 높은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해 턱관절의 개구 범위 및 외측방움직임을 측정하여 턱관절 장애 증상의 유무 및 성별 간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깨물근 두께와 턱관절 가동범위의 비대칭 정도를 턱관절 장애군과 정상군을 비교하고, 성별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었다.
  • 턱관절 장애 환자의 통증은 스트레스, 이 악물기, 먹기와 같은 행동에 의해 증가되며, 휴식을 함으로써 감소한다(Fricton, 2007).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각 측정이 대상자들의 피로, 통증, 학습효과로 다음 측정에 영향을 미칠 것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측정 순서는 각각 제비뽑기를 통하여 무작위로 진행하였다.
  • 이와 같이 측정하는데, 한 대상자당 총 25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초음파 탐색자 위치 선정, 초음파 영상에서 깨물근 두께 측정, 턱관절가동범위 측정을 각각의 한 검사자가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턱관절 장애의 유무와 성별에 따른 깨물근 두께의 비대칭과 관절가동범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턱관절 장애군 19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깨물근 두께와 턱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턱관절장애의 유무에 따른 깨물근 두께의 비대칭과 턱관절 관절가동범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턱관절 장애군 19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깨물근 두께와 턱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턱관절 장애란 무엇인가? 턱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는 저작근, 턱관절, 인대 등의 저작계와 관련된 구조물의 통증과 기능부전을 일컫는 포괄적인 용어이다(Lobbezoo 등, 2004; Patil 등, 2016). 인구의 약 40~60%가 턱관절 장애를 나타내며, 턱관절 가동범위의 제한과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ae와 Park, 2013; Okeson, 2011).
본 연구에서 깨물근 두께와 턱관절의 관절가동범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깨물근 두께의 비대칭은 안정상태와 최대교 합상태에서 알아보았으며, 관절가동범위는 개구범위와 외측방움직임의 비대칭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턱관절의 외측방움직임의 비대칭은 턱관절 장애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턱관절장 애를 가진 환자의 운동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외측방움직임의 비대칭 정도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좌우 깨물근 두께의 비대칭 정도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p<.05).
턱관절 장애의 증상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턱관절 장애의 증상으로는 하악의 제한된 관절가동범위, 저작근과 턱관절의 통증, 관절의 소리(딸깍하는 소리, 펑하고 터지는 소리, 뼈 마찰음), 근막 통증, 기능적 제한 등이 있다(Jung 등, 2015). 이 중 턱관절 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은 턱관절과 근육의 통증으로 보고되었다(Vahedifar,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demir K, Ustuner E, Erdem E, et al. Ultrasound evaluation of masseter muscle changes in stabilization splint treatment of myofascial type painful temporomandibular dise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2013;116(3):377-383. https://doi.org/10.1016/j.oooo.2013.06.011 

  2. Ariji Y, Katsumata A, Hiraiwa Y, et al. Masseter muscle sonographic features as indices for evaluating efficacy of massage treatme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0;110(4):517-526. https://doi.org/10.1016/j.tripleo.2010.05.003 

  3. Ariji Y, Sakuma S, Izumi M, et al.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the masseter muscle in femal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ssociated with myofascial pai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4;98(3):337-341. 

  4. Bae Y, Park Y. The effect of relaxation exercises for the masticator muscles on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J Phys Ther Sci. 2013;25(5):583-586. https://doi.org/10.1589/jpts.25.583 

  5. Best N, Best S, Loudovici-Krug D, et al. Measurement of mandible movements using a vernier caliper--an evaluation of the intrasession-, intersession-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Cranio. 2013;31(3):176-180. 

  6. Bonjardim LR, Gaviao MB, Pereira LJ, et al. Bite force determination in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J Oral Rehabil. 2005;32(8):577-583. 

  7. Ciancaglini R, Gherlone EF, Redaelli S, et al.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contacts in the intercuspal positio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J Oral Rehabil. 2002;29(11):1082-1090. 

  8.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 Louis, Mosby, 2007:217. 

  9. De Felicio CM, Mapelli A, Sidequersky FV, et al. Mandibular kinematics and masticatory muscles EMG in patients with short lasting TMD of mild-moderate severity. J Electromyogr Kinesiol. 2013;23(3):627-633. https://doi.org/10.1016/j.jelekin.2013.01.016 

  10. De Kanter RJ, Truin GJ, Burgersdijk RC, et al. Prevalence in the Dutch adult population and a meta-analysis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J Dent Res. 1993;72(11):1509-1518. 

  11. Emshoff R, Bertram S, Strobl H. Ultrasonographic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muscles of the head and neck.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9;87(1):93-106. 

  12. Ferrario VF, Sforza C, Miani A Jr, et al. Open-close movements in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Does a pure rotation around the intercondylar hinge axis exist? J Oral Rehabil. 1996;23(6):401-408. 

  13. Fricton J. Myogenou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tic and management considerations. Dent Clin North Am. 2007;51(1):61-83. 

  14. Giro G, Policastro VB, Scavassin PM, et al. Mandibular kinesiographic pattern of women with chronic TMD after management with educational and self-care therapies: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J Prosthet Dent. 2016;116(5):749-755. https://doi.org/10.1016/j.prosdent.2016.03.021 

  15. Ishida H, Suehiro T, Ono K, et al. Correlation between deep cervical flexor muscle thickness at rest and sternocleidomastoid activity during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J Bodyw Mov Ther. 2016;20(1):208-213. https://doi.org/10.1016/j.jbmt.2015.06.005 

  16. Jung HD, Kim SY, Park HS, et al. Orthognathic surgery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15;37(1):14. https://doi.org/10.1186/s40902-015-0014-4 

  17. Kafas P, Leeson R. Assessment of pain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bio-psychosocial complexit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2):145-149. 

  18.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6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 2012:477. 

  19. Lauriti L, Motta LJ, de Godoy CH, et al. Influ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on temporal and masseter muscles and occlusal contacts in adolescents: An electromyographic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2014;15:123. https://doi.org/10.1186/1471-2474-15-123 

  20. Lewis RP, Buschang PH, Throckmorton GS. Sex differences in mandibular movements during opening and clos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1;120(3):294-303. 

  21. Lobbezoo F, Drangsholt M, Peck C, et al. Topical review: New insights into the pathology and diagnosis of disorder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Orofac Pain. 2004;18(3):181-191. 

  22. Manfredini D, Landi N, Romagnoli M, et al. Etiopathogenesis of parafunctional habits of the stomatognathic system. Minerva Stomatol. 2003;52(8):345-349. 

  23. Mohamed A, Nankivil D, Pesala V, et al. The precision of ophthalmic biometry using calipers. Can J Ophthalmol. 2013;48(6):506-511. https://doi.org/10.1016/j.jcjo.2013.07.007 

  24. Muller L, van Waes H, Langerweger C, et al. Maximal mouth opening capacity: Percentiles for healthy children 4-17 years of age. Pediatr Rheumatol Online J. 2013;11:17. https://doi.org/10.1186/1546-0096-11-17 

  25. Muto T, Kohara M, Kanazawa M, et al.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at maximal mouth opening in normal subjects. J Oral Maxillofac Surg. 1994;52(12):1269-1272. 

  26. Nilsson IM, List T, Drangsholt 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reported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in in adolescents. J Orofac Pain. 2006;20(2):138-144. 

  27.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St Louis, MO: Mosby/Elsevier, 2011:32-177. 

  28. Palinkas M, Nassar MS, Cecilio FA, et al. Age and gender influence on maximal bite force and masticatory muscles thickness. Arch Oral Biol. 2010;55(10):797-802. https://doi.org/10.1016/j.archoralbio.2010.06.016 

  29. Patil S, Iyengar AR, Kotni RM, et al. Evaluation of efficacy of ultrasonography in the assessmen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n subjects with myositis and myofascial pain. Korean J Pain. 2016;29(1):12-17. 

  30. Pereira LJ, Gaviao MB, Bonjardim LR. et al. Muscle thickness, bite force, and craniofacial dimensions in adolescents with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Eur J Orthod. 2007;29(1):72-78. 

  31. Pereira LJ, Gaviao MB, Bonjardim LR, et al. Ultrasonography and electromyography of masticatory muscles in a group of adolescents with signs and symptoms of TMD. J Clin Pediatr Dent. 2006;30(4):314-319. 

  32. Pond LH, Barghi N, Barnwell GM. Occlusion and chewing side preference. J Prosthet Dent. 1986; 55(4):498-500. 

  33. Rauhala K, Oikarinen KS, Raustia AM. Rol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facial pain: Occlusion, muscle and TMJ pain. Cranio. 1999;17(4):254-261. 

  34. Romero-Reyes M, Uyanik JM. Orofacial pain management: Current perspectives. J Pain Res. 2014;7:99-115. https://doi.org/10.2147/JPR.S37593 

  35. Sasaki J, Ariji Y, Sakuma S, et al. Ultrasonography as a potential tool for the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 in the masseter muscl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ssociated with myofascial pain. Oral Radiol. 2006;22:52-57. 

  36. Scott B, Butterworth C, Lowe D,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restricted mouth opening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ttending a maxillofacial oncology clinic. Oral Oncol. 2008;44(5):430-438. 

  37. Sohn BJ, Park MW, Park JW, et al.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J Oral Med Pain, 2008;33(4):323-338. 

  38. Strini PJ, Barbosa Tde S, Gaviao MB. Assessment of thickness and function of masticatory and cervical muscles in adults with and with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rch Oral Biol. 2013;58(9):1100-1108. https://doi.org/10.1016/j.archoralbio.2013.04.006 

  39. Vahedifar M. Temporomandibular Joint Clinical Considerations for Practice. Raleigh, NC, Lulu, 2015:236. 

  40. Von Korff M, Dworkin SF, Le Resche L, et al. An epidemiologic comparison of pain complaints. Pain. 1988;32(2):173-183. 

  41. Walker N, Bohanannon RW, Cameron D. Discriminant validity of temporomandibular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obtained with a ruler.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0;30(8):484-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