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G 단말용 28 GHz 배열안테나의 안테나 타입별 성능 비교 연구
Performance Comparison of 28 GHz Array Antennas for 5G Mobile Devices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30 no.1, 2019년, pp.45 - 53  

김선률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  홍영택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  방지훈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  최재훈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다이폴, 슬롯, 패치 세 가지 기본타입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28 GHz 5G 단말용 배열안테나를 설계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테나 소자 간 격리도는 $S_{21}$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다이폴, 슬롯, 패치 타입이 각각 -13.76 dB, -16.88 dB, -11.47 dB로 슬롯 타입 안테나가 가장 높은 격리도 특성을 갖는다. 또한 빔 커버리지 성능 비교를 위하여 배열안테나의 빔 폭, 최대 빔 조향 각도 등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최대 빔 조향 각도는 슬롯 타입이 $63^{\circ}$로 가장 넓고, 패치 타입이 $36^{\circ}$로 가장 좁은 조향 특성을 가진다. 실제 단말기 사용 환경에서의 안테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단말기가 talk mode와 data mode에서 동작할 때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28 GHz 5G 단말용 배열안테나 소자로 슬롯 타입 배열안테나가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ree types of array antennas for 5G mobile devices operating at 28 GHz were designed, and their performances were compared. The isolation between antenna elements was compared based on $S_{21}$. The $S_{21}$ of dipole, slot, and patch type are -13.76 dB, -16.88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28 GHz 5G 단말용 1×8 배열안테나에 적용하기 위하여 세 가지 기본 타입(다이폴, 슬롯, 패치)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28 GHz에서 다이폴, 슬롯, 패치 세 가지 기본 타입 배열안테나의 성능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유공간에서 각 배열안테나의 빔 폭, 빔 조향 성능을 비교하였고,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인체 팬텀에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리미터파 대역 통신의 단점은? 밀리미터파 대역 통신에서는 기존의 마이크로파 대역에서와는 달리 송수신 간의 높은 경로손실이 발생한다. 5G 밀리미터파 단말에서는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하여 4G에서 사용하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안테나 대신 고이득의 배열안테나가 사용된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목표는? 최근 밀리미터파 5G 통신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5G 이동통신 기술은 초광대역을 통한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뿐만 아니라, 고신뢰/초저지연 통신, 대량연결 등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4G 이동통신과 차별화되는 기술 진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3].
5G 밀리미터파 단말용 배열안테나 설계에서 가장 도전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5G 밀리미터파 단말용 배열안테나 설계에서는 안테나의 이득, 대역폭뿐만 아니라, 안테나 소자 간 격리도, side-lobe level(SLL) 등의 안테나 성능이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가장 도전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넓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이다[4]. 넓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빔 커버리지를 최대로 가져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 Xia, T. Zhang, L. Li, and F. Zheng, "A low-cost dual-polarized 28 GHz phased array antenna for 5G communications," in 2018 International Workshop on Antenna Technology(iWAT), Nanjing, 2018, pp. 1-4. 

  2. N. Ojaroudiparchin, M. Shen, and G. F. Pedersen, "Design of Vivaldi antenna array with end-fire beam steering function for 5G mobile terminals," in 2015 23rd Telecommunications Forum Telfor(TELFOR), Belgrade, 2015, pp. 587-590. 

  3. Samsung Electronics, Who & How: Making 5G NR Standards, pp. 3-7, 2018. 

  4. K. Zhao, J. Helander, D. Sjoberg, S. He, T. Bolin, and Z. Ying, "User body effect on phased array in user equipment for the 5G mmWave communication system,"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vol. 16, pp. 864-867, 2017. 

  5. W. Hong, K. Baek, Y. Lee, Y. Kim, and S. Ko, "Study and prototyping of practically large-scale mmWave antenna systems for 5G cellular device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2, no. 9, pp. 63-69, Sep. 2014. 

  6. ANSYS. ANSYS HFSS, V18. Available: https://www.ansys.com/products/electronics/ansys-hfss. 

  7. Computer Simulation Technology. CST Microwave Studio, ver. 2017. Available: https://www.cst.com/2017. 

  8. N. O. Parchin, M. Shen, and G. F. Pedersen, "UWB MMWave antenna array with quasi omnidirectional beams for 5G handheld devices," in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Wireless Broadband (ICUWB), Nanjing, 2016, pp. 1-4. 

  9. J. Bang, J. Choi, "A SAR reduced mm-wave beam-steerable array antenna with dual-mode operation for fully metal-covered 5G cellular handsets,"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vol. 17, no. 6, pp. 1118-1122, Jun. 2018. 

  10. N. O. Parchin, M. Shen, and G. F. Pedersen, "End-fire phased array 5G antenna design using leaf-shaped bowtie elements for 28/38 GHz MIMO applications," in 201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Wireless Broadband(ICUWB), Nanjing, 2016, pp. 1-4. 

  11. M. Stanley, Y. Huang, H. Wang, H. Zhou, A. Alieldin, and S. Joseph, "A capacitive coupled patch antenna array with high gain and wide coverage for 5G smartphone applications," IEEE Access, vol. 6, pp. 41942-41954, 2018. 

  12. M. Khalily, R. Tafazolli, T. A. Rahman, and M. R. Kamarudin, "Design of phased arrays of series-fed patch antennas with reduced number of the controllers for 28-GHz mm-Wave applications,"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vol. 15, pp. 1305-130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