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산화물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비소의 흡착제거
Synthesis of Iron Oxide and Adsorption of Arsenic on Iron Oxid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8 no.1, 2019년, pp.99 - 106  

김연정 (안동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최식영 (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  김영훈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senic is among the heavy metals commonly found in aqueous environments. Iron oxide is known as an efficient adsorbent for the arsenic. A new synthetic method was applied to provide iron oxide gi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The mixing method affects the formation of iron oxide. Ultrasonic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화철은 그 구조에 따라 흡착에 활용될 비표면적과 흡착자리의 밀도도 다르며 각 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높은 비표면적과 높은 비소흡착능을 가진 산화철을 합성하고자 하였으며 합성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교반을 통한 혼합과 초음파를 이용한 합성을 동시에 수행하여 합성 산화철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흡착능을 비교하였다. Fig.
  • 따라서 경제성 및 제거효율을 감안할 때 산화철의 흡착능은 중요하며 가능한 큰 비표면적을 가진 산화철의 제조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합성방법을 변형하여 비교적 큰 비표면적의 산화철을 합성하고자 하였으며 합성된 산화철의 분석 및 이를 이용한 비소의 제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 비소의 흡착실험은 산화철합성방법에 따른 산화철의 흡착능 테스트를 위한 실험과 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흡착성능 및 공존 음이온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용액의 pH에 따라 흡착제의 표면전하도 변화하고 비소의 화학종도 변화하므로 용액의 pH조건을 4와 10으로 변화시키면서 흡착제의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실제 자연수 및 먹는물에는 비소이온 외 다양한 음이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음이온의 존재하에 흡착실험을 하여 경쟁음이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진한비소 용액을 이용하여 5 ~ 300 mg/L의 비소용액을 제조하였으며 비소용액 50 ml 당 각각의 산화철 0.
  • 엑스선 회절시험을 통해 합성된 산화철의 결정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소란 무엇인가? 비소는 지각에서 20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며 인간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중금속의 일종이다. 비소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간, 신장, 피부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Fowler et al.
비소를 물에서 제거하기 위한 이온교환, 흡착, 응집침전, 공침, 막분리, 역삼투, 전기투석 등과 같은 방법들의 단점은? 비소를 물에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이온교환, 흡착, 응집침전, 공침, 막분리, 역삼투, 전기투석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방법은 큰 장치가 필요하거나, 운전이 어렵거나, 비용이 높거나, 슬러지 발생이 있거나, 비소제거 효율이 낮은 등의 단점을 있으며 흡착제거의 경우 비교적 높은 효율성과 적용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소의 흡착제거에는 산화철(iron oxide)이 흡착능, 경제성 등의 면에서 타흡착제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Sigdel et al.
비소제거를 위한 방법 중, 흡착 제거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비소를 물에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이온교환, 흡착, 응집침전, 공침, 막분리, 역삼투, 전기투석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방법은 큰 장치가 필요하거나, 운전이 어렵거나, 비용이 높거나, 슬러지 발생이 있거나, 비소제거 효율이 낮은 등의 단점을 있으며 흡착제거의 경우 비교적 높은 효율성과 적용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소의 흡착제거에는 산화철(iron oxide)이 흡착능, 경제성 등의 면에서 타흡착제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Sigd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Y., San, P., Kashif, M., 2018, Development of a column reactor for adsorptive removal of arsenic from the aqueous phase, Proceeding of the Joint Conference of KSWE and KSWW, Ilsan, 28. 

  2. Fowler, B. A., Weissburg, J. B., 1974, Arsine poisoning, N. Engl. J. Med., 291, 1171-1174. 

  3. Guo, X., Shi, J., Yi, Y., Tian, Q, Li, D., 2015, Separation and recovery of arsenic from arsenic-bearing dust, J. Environ. Chem. Eng., 3, 2236-2242. 

  4. Jung, Y. I., Lee, W. C., Cho, H. G., Yun, S. T., Kim, S. O., 2008, Adsorption of arsenic onto two-line ferrihydrite, J. Miner. Soc. Korea, 21, 227-237. 

  5. Kim, S. H., Lee, W. C., Cho, H. G., Kim, S. O., 2012, Characterization of arsenic adsorption onto hematite, J. Miner. Soc. Korea, 25, 197-210. 

  6. Kim, S. O., Lee, W. C., Jeong, H. S., Cho, H. G., 2009, Adsorption of arsenic on goethite, J. Miner. Soc. Korea, 22, 177-189. 

  7. Kim, W. I., Lee, J. H., Kunhikrishnan, A., Lee, W. R., Lee, J. M., Paik, M. K., Yoo, J. H., Kim, J. Y., 2012, Current research for arsenic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agro-food, Proceeding of the Korean J. of Environ. Agric., Muju, 26-35. 

  8. Kwon, H., Shin, T., Kim, J., Ha, D., Kim, M., Kim, Y., 2018, Removal of arsenic from aqueous phase using magnetized activated carbon and magnetic separation, Prog. Supercond. Cryog., 20, 1-5. 

  9. Lee, S. C., Jeong, Y., Kim, Y. J., Kim, H., Lee, H. Y., Lee, Y. C., Lee, S. M., Kim, H. J., An, H. R., Ha, M. G., Lee, G. W., Lee, Y. W., Lee, G., 2018, Hierarchically three-dimensional (3D) nanotubular sea urchin-shaped iron oxide and its application in heavy metal removal and solar-indu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J. Hazard. Mater., 354, 283-292. 

  10. Luong, V. T., Canas Kurz, E. E., Hellriegel, U., Luu, T. L., Hoinkis, J., Bundschuh, J., 2018, Iron-based subsurface arsenic removal technologies by aeration: A re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Water Res., 133, 110-122. 

  11. Nazari, A. M., Radzinski, R., Ghahreman, A., 2017, Review of arsenic metallurgy: Treatment of arsenical minerals and the immobilization of arsenic, Hydromettallurgy, 174, 258-281. 

  12. Schwertmann, U., Cornell, R. M., 2000, Iron oxides in the laboratory: preparation and characerization, Wiley-VCH Publishers, New York, USA. 106-110. 

  13. Sigdel, A., Park, J., Kwak, H., Park, P. K., 2016, Arsenic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to hydrous iron oxide-impregnated alginate beads, J. Ind. Eng. Chem., 35, 277-286. 

  14. Yun, S., Kim, K. W., Kim, K. J., In, H. J., Choi, W. S., Yu, C., 2014, Arsenic and heavy metal adsorption properties of steelmaking slag by magnetic separ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Byeonsan, 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