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사상의 지속기간별 분포 특성을 고려한 일강우 모의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daily rainfall simulation considering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s in each du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2, 2019년, pp.141 - 148  

정재원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수전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공학대학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Markov Chain 모형으로 일강우량 모의시에 강우의 발생여부를 모의하고 강우일의 강우량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강우 분포 특성에 맞는 분포형에서 랜덤으로 강우량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강우 지속기간에 따른 강도 및 강우의 시간별 분포 등의 강우 사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강우 사상을 1일 지속강우, 2일 지속강우, 3일 지속강우, 4일이상 지속강우로 구분하여 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라 강우량을 추정하였다. 즉 강우 사상의 강우 지속일별로 총강우량의 분포형을 비매개변수 추정이 가능한 핵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를 적용하여 각각 추정하였고, 강우가 지속될 경우에 지속일별로 해당하는 분포형에서 강우량을 구하였다. 각 강우사상에 대해 추정된 총 강우량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을 통해 관측 강우자료에서 가장 유사한 강우량을 가지는 강우사상의 강우량 일분포 형태에 따라 각 일강우량으로 분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강우량 추정 방법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미래 강우에 대한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수자원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simulating the daily rainfall amount by existing Markov Chain model, it is general to simulate the rainfall occurrence and to estimate the rainfall amount randomly from the distribution which is similar to the daily rainfal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At this tim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기존의 방법론을 개선하여 개발한 방법론의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먼저 기존에 전체 강우일의 강우량에 대해 하나의 강우 분포형을 도출하였던 것을 강우 사상의 지속기간별로 나누어 각각의 강우 분포형을 도출하여지속기간별 일강우량 분포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때에 비매개변수 추정이 가능한 핵밀도추정(KDE)를 적용하여 각각 분포형의 매개변수를 도출하지 않고 각 사상의 일강우량 분포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의 지속기간에 따라 강우량을 모의하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론을 개선한 새로운 일강우량 모의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관측 일강우량 자료에서 지속기간별 강우사상을 추출하여 핵밀도추정 방법을 통해 각각의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한다.
  • 기존의 Markov Chain 모형으로 일강우량 모의시에는이러한 지속기간에 강우 사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기간에 따라 강우사상을 구분하여 일강우량을 추정하였다. 강우사상의 지속일별로 총강우량의 분포형을 추정하였고, 지속일별로 해당하는 분포형에서 강우 사상이 총강우량을 구하였다.

가설 설정

  • , 2018).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론의 강우량 추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과거 강우자료에서 강우사상의 지속기간별로 구분하여 비매개변수적추정 방법을 통해 각각의 강우량 분포형을 가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강우량은 강우량의 크기에 따라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을 적용하여 가장 근접한 과거 강우사상의 강우 분포형태를 따라 각 일별로 분배하여 일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강우량 자료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일강우량 자료는 수자원 관리 또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하기 위한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때 강우자료의 관측기간이 짧거나 자료의 크기가 충분하여도 결측자료가 존재하여 충분한 관측자료를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는 강우량 자료를 생성해서 활용해야 한다(Semenov et al.
일강우량 모의 방법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일강우량 자료 모의 발생을 위해서는 Markov Chain 모형을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일강우량 모의 방법은 Markov Chain모형을 이용하여 무강우기간 및 강우기간의 강우 발생 여부를모의하고 강우량을 특정 확률분포로 가정하여 강우량을 추정하는 원리이다(Cha and Moon, 2003). 이 방법은 미국에서Richardson and Wright (1984)의 WGEN과 Larsen and Pense (1982)의 기상 생성 프로그램 등에서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Moon et al.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무엇을 고려하지 않고 강우량을 추정하고 있는가? 이와 같이 다수의 연구자를 통하여 Markov Chain 모형을이용한 일강우량 모의 발생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며방법론이 다양한 측면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MarkovChain 모형을 이용한 일강우량 모의 발생 연구에서는 강우의지속기간에 따른 강우강도 및 강우량 분포 특성을 고려하지않고 각 발생일에 대한 강우량을 추정하고 있다. 즉, 강우가몇 일간 지속되는 강우사상의 경우 강우량 및 일별 강우 분포특성이 변화되지만 기존의 방법으로는 모든 지속기간의 강우사상에 대해 강우량 추정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강우 발생 특성을 보면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최대 강우량이 더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 Y. I., and Moon, Y. I. (2003). "Multivariate Kernel density function and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institute, The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Seoul City University, Vol. 11, No. 0, pp. 1-6. 

  2. Choi, B. G. (2008). A study on hourly precipitation simulation & application by using the non-homogeneous Markov model,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3. Choi, H. G., Uranchimeg, S., Kim, Y. T., and Kwon, H. H. (2018). "A Bayesian approach to gumbel mixture distribution for the estimation of parameter and its use to th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2, pp. 249-259. 

  4. Choi, J. W., Hwang, S. H., Ham, D. H., and Oak, S. Y. (2018). "Review on application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using observed rainfal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2, pp. 247-260. 

  5. Jung, Y. H., Yi, C. S., Kim, H. S., and Shim, M. P. (2005). "Estimation of needed discharge considering frequency based low flow In Gabcheon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2B, pp. 97-105. 

  6. Kang, K. S. (2000). A simulation of daily streamfloes with stochastically multisite-grnerated daily rainfall series. Ph. 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7. Kwon, H. H. (2004) Dam risk analysis using nonparametric LHSMonte Carlo simula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8. Kim, T. J., So, B. J., Yoo, M. S., and Kwon, H. H. (2016). "Development of dam inflow simulation technique coupled with rainfall simulation and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4, pp. 315-325. 

  9. Moon, K. H., Song, E. Y., Son, I. C., Wi, S. H., Oh, S. J., and Hyun, H. N. (2017). "Estimation of Markov chain and gamma distribution parameters for generation of daily precipitation data from monthly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9, No. 1, pp. 27-35. 

  10. Moon, Y. I., and Cha, Y. I. (2004). "Simu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data using nonhomogeneous Markov model I -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5B, pp. 431-435. 

  11. Richardson, C. W., and Wright, D. A. (1984). "WGEN: a model for generating daily weather variable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 Dept. of Agriculture, p. 83. 

  12. Semenov, M. A., Brooks, R. J., Barrow, E. M., and Richardson, C. W. (1998) "Comparison of the WGEN and LARS-WG stochastic weather generators for diverse climates." Climate Research, Vol. 10, No. 2, pp. 95-107. 

  13. Wilks, D. S. (1992). "Adapting stochastic weather generation algorithms for climate change studies." Climate Change, Vol. 22, pp. 67-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