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유기 감귤 과수원의 두과피복작물 재배에 따른 지렁이 분포
Earthworm Fauna in Citrus Orchards by Legume Cover Crop Culture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7 no.1, 2019년, pp.77 - 86  

박종호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유경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용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한은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심창기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변영웅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민정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  김용욱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경지에서 두과피복작물 재배가 지렁이 생물상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제주도 유기농 감귤 과수원에 헤어리베치와 크림슨클로버 2종의 두과작물을 초생재배하여 자연초생재배구와 관행과수원을 대조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재배 시험구의 토양 특성을 분석하고 포장에서 발생한 지렁이를 채취하여 발생 밀도를 비교하였다. 토양분석에서 유기농과 관행농 과수원의 유기물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렁이의 생체중은 유기재배 과수원이 관행재배 과수원에 비해 3.8배~7.0배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수도 유기재배 과수원이 관행재배 과수원에 비해 2.3~18배 높게 나타났다. 지렁이의 생체중은 헤어리베치와 크림슨클로버 재배구에서 2016년에는 44.8 g, 47.2 g, 2017년에는 78.7 g, 31.8 g으로 자연초생재배구의 32.8 g, 9.5 g보다 각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두과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크림슨클로버 재배를 통해 유기농 감귤 과수원의 토양 내 지렁이 발생밀도를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gume cover crop culture on earthworm fauna in organic farmland. We compared sod culture with two kinds of legume crops of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on organic citrus orchard to natural sod culture and conventional orchards in Jeju Isl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경지에서 두과피복작물 재배가 지렁이 생물상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제주도 유기농 감귤 과수원에 헤어리베치와 크림슨클로버 2종의 두과작물을 초생재배하여 자연초생재배구와 관행과수원을 대조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재배 시험구의 토양 특성을 분석하고 포장에서 발생한 지렁이를 채취하여 발생 밀도를 비교하였다.
  • 이에 지렁이가 풍부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친환경재배 과수원(Kim et al., 2007; Na et al., 2017)에서 두과피복작물이 토양 내 지렁이 발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렁이의 특징은? 농업생태계 내 경작지에는 다양한 토양 소동물들이 군집을 형성하며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 중 지렁이는 토양의 생물적 및 화학 ․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생물군이라 할 수 있다. 지렁이는 환형동물문의 빈모류에 속하는 동물로써, 오래전부터 학자들이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지렁이는 토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들 중 지렁이는 토양의 생물적 및 화학 ․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생물군이라 할 수 있다. 지렁이는 환형동물문의 빈모류에 속하는 동물로써, 오래전부터 학자들이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지렁이는 대지의 장이다.
농업생태계 내 경작지에는 다양한 토양 소동물들이 군집을 형성하며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동물중 하나는? 농업생태계 내 경작지에는 다양한 토양 소동물들이 군집을 형성하며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 중 지렁이는 토양의 생물적 및 화학 ․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생물군이라 할 수 있다. 지렁이는 환형동물문의 빈모류에 속하는 동물로써, 오래전부터 학자들이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10.1111/j.1365-2664.2005.01005.x Bengtsson, J. , J. Ahnstrom, and A. C. WEIBULL. 2005. The effects of organic agriculture on biodiversity and abundance: a meta­analysis . J. Appl. Ecol.42: 261-269. 

  2. 10.1016/j.agee.2009.02.017 Carey, P. L. , J. R. Benge, and R. J. Haynes. 2009. Comparison of soil quality and nutrient budget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kiwifruit orchards . Agri. ecosys. environ.132: 7-15. 

  3. 10.5962/bhl.title.107559 Darwin, C. 1881. The formation of vegetable mould, through the action of worms, with observations on their habits. Murray, London. 

  4. Fragoso, C., P. Lavelle, E. Blanchart, B. K. Senapati, J. J. Jimenez, M. A. Martinez, T. Decans, and J. Tondoh J.1999a. Earthworm communities of tropical agroecosystems: origin, structure and influence of management practices. In: Lavelle, P. , Brussaard, L. , Hendrix, P. F. (eds)Earthworm management in tropical agroecosystems. CABI, Wallingford, pp. 27-55. 

  5. Hong, Y. 2000.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Lumbricidae (Oligochaeta) in Korea . Korean J. Syst. Zool.16: 1-13. 

  6. Hong, Y. and T. H. Kim. 2007. Occurrence of earthworm in agro-ecosystem . Korean J. Environ. Biol.25: 88-93. 

  7. Hong, Y. and T. H. Kim. 2009. The earthworm composition in agroecosystem of Sunyu Island, Korea . Korean J. Environ. Biol.27: 135-139. 

  8. Kim, T. H. , S. H. Jung, Y. Hong, and N. J. Choi. 2007. Earthworm, springtail, and mite fauna in environment-friendly citrus orchards in Jeju Isalnd . Korean J. Syst. Zool.12: 23-27. 

  9. KimT. H. , Y. Hong, and N. J. Choi. 2009. Earthworm fauna in environment-friendly managed vineyards with various levels of pesticide use . Korean J. Soil Zool.13: 1-5. 

  10. 10.1016/j.pedobi.2013.08.005 Kuntz, M. , A. Berner, A. Gattinger, J. M. Scholberg, P. Mader, and L. Pfiffner. 2013. Influence of reduced tillage on earthworm and microbial communities under organic arable farming . Pedobiologia.56: 251-260. 

  11. Lee, S. B. , C. O. Hong, K. K. Kim, Y. B. Lee, S. G. Hong, K. L. Park, C. R. Lee, and M. S. An. 2017. Microorganisms and Earthworms Density of Soil in Organic Vegetable and Fruit Cultivation Field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 174-175. 

  12. Na, Y. E. , S. B. Lee, M. S. Han, S. G. Kim, and D. R. Choi. 2000. Soil properties influencing on earthworm habitation in upland. Korean j. soil zool. 5: 165-168. 

  13. 10.1007/s00374-004-0732-8 Ortiz-Ceballos, A. I. and C. Fragoso. 2004. Earthworm populations under tropical maize cultivation: the effect of mulching with velvet bean .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39: 438-445. 

  14. 10.1016/S0929-1393(98)00036-5 Paoletti, M. G. , D. Sommaggio, M. R. Favretto, G. Petruzzelli, B. Pezzarossa, and M. Barbafieri. 1998. Earthworms as useful bioindicators of agroecosystem sustainability in orchards and vineyards with different inputs . Appl. Soil Ecol.10: 137-150. 

  15. Park, K. H. , Y. K. Park, J. B. Joo, K. S. Kyung, J. S. Shin, C. S. Kim, and J. Y. Uhm. 2003.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for Earthworms . Korean J. Pest. Sci.7: 280-287 

  16. Satchell, J. E. 1955. Some aspects of earthworm ecology, in Soil Zoology (ed. D.K. Mc. E. Kevan), Butterworths, London. pp. 180-2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