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지역 추정
Applic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 for Predicting Areas at Risk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6 no.1, 2019년, pp.23 - 29  

김으뜸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및 동물의학종합연구소) ,  박선일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및 동물의학종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s the leading cause of economic loss in Korean poultry industry with an estimated cumulative impact of $909 million since 2003, identifying the environmental and anthropogenic risk factors involved remains a challen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내 HPAI 발생사례는 모두 해외에서 유입된 철새(migratory bird)가 최초 유입원으로 작용하였으며, 야생조류에서 항원검출은 인근 농장으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감염원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 가금농장에서 HPAI 발생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야생조류의 역할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 분포 모형으로 놀리 사용되고 있는 MaxEnt 모형을 사용하여 국내 야생조류에서 HPAI 항원검출에 기여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HPAI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종 분포 모형(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axent 모형을 사용하여 2003-2018년 기간 동안 야생조류에서 HPAI 항원이 검출된 168건의 자료를 종속변수로 하여 국내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항원검출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12개 독립변수를 대상으로 각 위험요인의 기여도를 탐색하고, HPAI목적예찰이 필요한 발생 고위험 지역을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야생조류에서 HPAI 항원검출과 관련한 변수로는 경사도(4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무엇인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AI)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으로 HPAI virus(HPAIV)에 감염된 닭이나 칠면조는 호흡기, 위장관 및 신경계통의 증상으로 폐사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HPAIV는 혈청아형(subtype)이 매우 많고 변이가 쉬우며(7), 자연생태계의 야생조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분포되어있으면서도 이들 종에서는 감염되어도 무증상으로 경과될 수 있으며, 특히 오리류에서는 임상증상을 발현하지 않을 수 있어 질병 전파의 감염원이 되는 보독동물로 국가방역 측면에서 주의해야 할 가축전염병의 하나다(4,13,27).
질병 발생 패턴을 시공간 단위에서 분석하는 확률모형 중 최근에 사용되는 모형과 활용범위는 무엇인가? 질병 발생패턴을 시공간 단위에서 분석하는 다양한 많은 확률모형이 제시되어 있다(6). 최근에는 생물 종의 생태적 지위와 잠재적 서식지 분포를 예측하는 종 분포 모형(species distribution model, SDM)을 이용하여 전염병 발생 위험지역예측, 생물 종 보호를 위한 생태학적 연구, 야생동물 보호 등에 활용되고 있다(8,19,24,28). SDM에는 Maxent(Maximum Entropy Modeling), GLM(Generalized Linear Model), GAM(Generalized Addictive Model),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Maxent 모형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과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확률모형으로 전염병 발생 자료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1-3,16,18,21,23,26).
HPAI를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보고성 질병으로 지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HPAI는 오염된 냉동 닭고기나 오리고기, 생계란 등 축산물을 통하여 국가 간 전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보고성 질병으로 지정하여 국제교역에서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며(25,27), 우리나라에서도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이후 2018년 2월까지 야생철새가 원발적 유입원으로 작용하여 총 7회(2003-2004, 2006-2007, 2008,2010-2011, 2014-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drakhmanov SK, Mukhanbetkaliyev YY, Korennoy FI, Sultanov AA, Kadyrov AS, Kushubaev DB, Bakishev TG. Maximum entropy modeling risk of anthrax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Prev Vet Med 2017; 144: 149-157. 

  2. Belkhiria J, Alkhamis MA, Martinez-Lopez B. Applic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for avian influenza surveillance in the United States considering the north America migratory flyways. Sci Rep 2016; 6: 33161. 

  3. Belkhiria J, Hijmans RJ, Boyce W, Crossley BM, Martinez-Lopez B. Identification of high risk areas for avian influenza outbreaks in California using disease distribution models. PLoS One 2018; 13: e0190824. 

  4. Boyce WM, Sandrock C, Kreuder-Johnson C, Kelly T, Cardona C. Avian influenza viruses in wild birds: a moving target.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2009; 32: 275-286. 

  5. Caron A, Gaidet N, de Garine-Wichatitsky M, Morand S, Cameron EZ. Evolutionary biology, community ecology and avian influenza research. Infect Genet Evol 2009; 9: 298-303. 

  6. Carpenter TE. Stochastic, spatially-explicit epidemic models. Rev Sci Tech 2011; 30: 417-424. 

  7. de Jong MD, Bach VC, Phan TQ, Vo MH, Tran TT, Nguyen BH, Beld M, Le TP, Truong HK, Nguyen VV, Tran TH, Do QH, Farrar J. Fatal avian influenza A (H5N1) in a child presenting with diarrhea followed by coma. N Engl J Med 2005; 352: 686-691. 

  8. Elith J, Phillips SJ, Hastie T, Dudik M, Chee YE, Yates CJ.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 Distrib 2011; 17: 43-57. 

  9. Gilbert M, Prosser DJ, Zhang G, Artois J, Dhingra MS, Tildesley M, Newman SH, Guo F, Black P, Claes F, Kalpradvidh W, Shin Y, Jeong W, Takekawa JY, Lee H, Xiao X. Could Changes in the Agricultural Landscape of Northeastern China Have Influenced the Long-Distance Transmiss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x Viruses? Front Vet Sci 2017; 4: 225. 

  10.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 Vet Med 2000; 45: 23-41. 

  11. Groepper SR, DeLiberto TJ, Vrtiska MP, Pedersen K, Swafford SR, Hygnstrom SE. Avian influenza virus prevalence in migratory waterfowl in the United States, 2007-2009. Avian Dis 2014; 58: 531-540. 

  12. Hijmans RJ. Cross-valid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removing spatial sorting bias and calibration with a null model. Ecology 2012; 93: 679-688. 

  13. Hill NJ, Takekawa JY, Cardona CJ, Meixell BW, Ackerman JT, Runstadler JA, Boyce WM. Cross-seasonal patterns of avian influenza virus in breeding and wintering migratory birds: a flyway perspective. Vector Borne Zoonotic Dis 2012; 12: 243-253. 

  14. Kang HM, Jeong OM, Kim MC, Kwon JS, Paek MR, Choi JG, Lee EK, Kim YJ, Kwon JH, Lee YJ.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 in wild bird fecal samples from South Korea, 2003-2008. J Wildl Dis 2010; 46: 878-888. 

  15. Kim H, Lee DK, Mo Y, Kil S, Park C, Lee S.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J Environ Impact Assess 2013; 22: 39-50. 

  16. Korennoy FI, Gulenkin VM, Malone JB, Mores CN, Dudnikov SA, Stevenson MA. Spatio-temporal modeling of the African swine fever epidemic in the Russian Federation, 2007-2012. Spat Spatiotemporal Epidemiol 2014; 11: 135-141. 

  17. Lee EK, Kang HM, Song BM, Lee YN, Heo GB, Lee HS, Lee YJ, Kim JH.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es in South Korea between 2012 and 2014. Virol J. 2017; 14: 54. 

  18. Li Q, Ren H, Zheng L, Cao W, Zhang A, Zhuang D, Lu L, Jiang H. Ecological niche modeling identifies fine-scale areas at high risk of dengue fever in the pearl river delta, Chin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7; 14: 619. 

  19. Merow C, Smith MJ, Silander JA. A practical guide to MaxEnt for modeling species' distributions: what it does, and why inputs and settings matter. Ecography 2013; 36: 1058-1069. 

  20. Meyer A, Dinh TX, Nhu TV, Pham LT, Newman S, Nguyen TTT, Pfeiffer DU, Vergne T. Movement and contact patterns of long-distance free-grazing ducks and avian influenza persistence in Vietnam. PLoS One 2017; 12: e0178241. 

  21. Mischler P, Kearney M, McCarroll JC, Scholte RG, Vounatsou P, Malone JB.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risk modelling for Chagas disease in Bolivia. Geospat Health 2012; 6: S59-66. 

  22.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2017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2017. 

  23. Pandit PS, Bunn DA, Pande SA, Aly SS. Modeling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transmission in wild birds and poultry in West Bengal, India. Sci Rep 2013; 3: 2175. 

  24. Phillips SJ, Anderson RP, Schapire RE.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 Model 2006; 190: 231-259. 

  25. Serratosa J, Ribo O, Correia S, Pittman M. EFSA scientific risk assessment on animal health and welfare aspects of avian influenza (EFSA-Q-2004-075). Avian Dis 2007; 51: 501-503. 

  26. Shiravand B, Tafti AAD, Hanafi-Bojd AA, Almodaresi SA, Mirzaei M, Abai MR. Modeling spatial risk of zoonotic cutaneous leishmaniasis in Central Iran. Acta Trop 2018; 185: 327-335. 

  27. Sturm-Ramirez KM, Ellis T, Bousfield B, Bissett L, Dyrting K, Rehg JE, Poon L, Guan Y, Peiris M, Webster RG. Reemerging H5N1 influenza viruses in Hong Kong in 2002 are highly pathogenic to ducks. J Virol 2004; 78: 4892-4901. 

  28. Tarrant J, Cilliers D, du Preez LH, Weldon C. Spatial assessment of amphibian chytrid fungus (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 in South Africa confirms endemic and widespread infection. PLoS One 2013; 8: e695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