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회복기간에 따른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 변화
Symptom Clusters and Quality of Life Changes according to Recovery Period of Patients with Heart Valve Surgery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1, 2019년, pp.1 - 12  

황순정 (전주비전대학교 간호학부) ,  강정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It is widely accepted that addressing multiple symptoms together is the preferred approach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nd results in reduced negative patient outcomes. Yet, there are few studies examining symptom clusters and their impacts on quality of life longitudinally in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심장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의 회복기간, 즉 수술 후 3주, 6주, 10주의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회복기간별로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술 후증상클러스터와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심장판막 수술 후 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추후검진을 위해 외래를 방문하는 시기인 3 주, 6주, 10주 등의 회복기간에 따른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회복기간별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에 대한 이해는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 개발을 도모하고 심장질환의 재발이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회복기간(수술 후 3주, 6주, 10주)에 따른 수술 후 증상클러스터를 확인하 고,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증상클러스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연구는 심장판막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종속적으로 증상클러스터를 파악한 첫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심장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의 회복기간, 즉 수술 후 3주, 6주, 10주의 증상클러스터와 본 연구는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회복기간에 따른 수술 후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을 파악하고, 증상클러스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심장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의 회복기간, 즉 수술 후 3주, 6주, 10주의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회복기간별로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술 후증상클러스터와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회복기간(수술 후 3주, 6주, 10주)에 따른 수술 후 증상클러스터를 확인하 고, 증상클러스터와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증상클러스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연구는 심장판막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종속적으로 증상클러스터를 파악한 첫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심장판막 수술환자 대상의 증상클러스터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심근경색증, 허혈성 심질환,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의 심질환자 대상의 증상클러스터 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상클러스터는 무엇인가? 증상클러스터는 질병이나 치료와 관련하여 그 원인이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서로 강한 연관성을 갖고 동시에 나타나는 2개 이상의 증상 군집이다(Dodd, Miaskowski, & Paul, 2001). 좀 더발전된 의미의 증상클러스터는 한 군집의 특징적인 증상이 적어도 관련된 2~3개의 증상과 동시에 발생되나, 다른 증상 군집과는 독립적인 것이다(Kim, McGuire, Tulman, & Barsevick, 2005).
증상클러스터에 대한 연구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다양한 증상이 존재할때 각각의 증상을 개별적으로 간호하는 것보다 연관되고 유사한 증상들을 묶어 함께 간호중재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Lenz, Pugh, Milligan, Gift, & Suppe, 1997). 또한 증상클러스터 연구결과를 임상에 적용하면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이 미리 예견되어 적절한 증상관리 대비가 가능해지고, 추가비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Kim et al., 2005).
심장판막 수술 후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구체적인 상황은 무엇이 있는가? 심장판막 수술 후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증상은 삶의 질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심장판막 수술 후 심내막염 위험, 항응고제 복용으로 인한 출혈 위험, 인공판막 삽입으로 인한 불안감과 딸각거리는 판막 소리, 수술 상처로 인한 외모의 변화, 정기적 외래통원치료의 부담 감, 직업의 복귀에 대한 불안감, 대인관계의 변화, 식생 활에 대한 심리적 부담(Bae & Shim, 2011), 생명의 중심 장기인 심장에 질환이 발생했다는 사실로 인한 좌절과 심리적 불안, 수술 후 통증, 사회생활 제한으로 가족 부양책임에 대한 부담감(Yun, 2005), 일상생활 활동 감소, 우울과 불안감, 보행 능력 감소, 피로감 등은 정신적 황폐화를 유발시켜 심장 수술 후 삶의 질이 감소한다(Wo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bott, A. A., Barnason, S., & Zimmerman, L. (2010). Symptom burden clusters and their impact on psychosocial functioning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5(4), 301-310. 

  2. Bae, J. M., & Shim, M. S. (2011). A study o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valve surge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 3975-3983. 

  3. DeVon, H. A., Vuckovic, K., Ryan, C. J., Barnason, S., Zerwic, J. J., Pozehl, B., . . . Zimmerman, L. (2017). Systematic review of symptom clusters in cardiovascular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6 (1), 6-17. 

  4. Dodd, M. J., Miaskowski, C., & Paul, S. M. (2001). Symptom clusters and their effect on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8 (3), 465-470. 

  5. Herr, J. K., Salyer, J., Flattery, M., Goodloe, L., Lyon, D. E., Kabban, C. S., & Clement, D. G. (2015). Heart failure symptom clusters and functional statu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 (6), 1274-1287. 

  6. Jurgens, C. Y., Moser, D. K., Armola, R., Carlson, B., Sethares, K., & Riegel, B. (2009). Symptom clusters of heart failur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2 (5), 551-560. 

  7. Kim, H. J., McGuire, D. B., Tulman, L., & Barsevick, A. M. (2005). Symptom clusters: Concept analy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cancer nursing. Cancer Nursing, 28 (4), 270-282. 

  8. Kim, K. S., Kim, Y. S., Choi, K. O., Hyun, K. S., Yoon, E. J., Kim, S. Y., . . . So, H. S. (2012). Adult health nursing (7th ed.). Seoul, Korea: Hyunmoon Co. 

  9. Kim, S. Y. (2014). Predictors of quality of recovery after cardiac surg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ble, L. P., Dunbar, S. B., Weintraub, W. S., McGuire, D. B., Manzo, S. F., & Strickand, O. L. (2011). Symptom cluste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hronic stable ang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 (5), 1000-1011.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Cause of death by topic. Retrieved December 5, 2017,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 

  12. Lee, K. H. (2000). Needs assessment in open-heart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Lenz, E. R., Pugh, L. C., Milligan, R., Gift, A., & Suppe, F. (1997). The middle-rang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n updat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 (3), 14-27. 

  14. Liao, W. C., Huang, C. Y., Huang, T. Y., & Hwang, S. L. (2011). A systematic review of sleep patterns and factors that disturb sleep after heart surger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 (4), 275-288. 

  15. Nam, B. H. (2003).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SF-36 health surve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6. Nieveen, J. L., Zimmerman, L. M., Barnason, S. A., & Yates, B. C. (2008). Development and content validity testing of the cardiac symptom survey in patient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Heart & Lung: The Journal of Critical Care, 37 (1), 17-27. 

  17. Panagopoulou, E., Montgomery, A. J., Benos, A., & Maes, S. (2006). Are people emotionally predisposed to experience lower quality of life? The impact of negative affe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overing from cardiac surgery. Social Indicators Research, 76 (1), 55-69. 

  18. Park, K. Y., Kang, W. C., Kim, K. J., Kim, E. Y., Park, C. H., Shin, M. H., . . . Choi, C. H. (2018). Perioperative intensive care of cardiac surgery (3rd ed.). Seoul, Korea: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19. Schulz, P. S., Zimmerman, L., Pozehl, B., Barnason, S., & Nieveen, J. (2011). Symptom management strategies used by elderly patient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pplied Nursing Research, 24 (2), 65-73. 

  20. Skerman, H. M., Yates, P. M., & Battistutta, D. (2009). Multivariate methods to identify cancer-related symptom cluste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2 (3), 345-360. 

  21. Song, E. K., Moser, D. K., Rayens, M. K., & Lennie, T. A. (2010). Symptom clusters predict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5 (4), 284-291. 

  22. The Criteria Committee for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1994). Nomenclature and criteria for diagnosis of diseases of the heart and great vessels (9th ed.). Boston, MA: Little, Brown & Co. 

  23. The Korea Heart Foundation. (2016). Annual status of cardiac surgery 2016. Retrieved November 11, 2016, from http://heart.or.kr./korean/board/board_renew.php 

  24. Ware, J. E., Kosinski, M., Bjorner, J. B., Turner-Bowker, D. M., Gandek, B., & Maruish, M. E. (2008). SF-36v2 $^{(R)}$ Health survey: Administration guide for clinical trial investigator. Lincoln, NE: Quality Metric Incorporation. 

  25. Won, S. J. (2010).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6. Yun, I. H.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self care of open heart surgery patients after hospital dischar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