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클러스터
Symptom Clusters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3, 2015년, pp.378 - 387  

박은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이지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leads to death if the patient does not receive emergency treatment.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symptoms in the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of symptoms that represent AMI in Koreans. Methods: The study 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군에 있는 사람들이 급성 증상발생 시 증상을 올바로 인지하여 신속히 의료진의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증상 클러스터를 규명하고, 증상클러스터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고, 증상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증상 간 패턴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군집분석의 기준을 충족하는 충분한 수의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자료를 분석하여 증상클러스터를 규명하고 집단별 특성을 파악하여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군에 속한 사람들이 증상발생 시 올바로 인지하고 신속히 의료진의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의 경우 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급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폐쇄되어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혈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1]. 특히,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의 경우 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못하면 뇌손상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2]. 2012년 국내 급성 심근경색의 이환율은 76,085명으로 2011년 73,964명에 비해 4.
급성 심근경색이란? 급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폐쇄되어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혈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1]. 특히,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의 경우 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못하면 뇌손상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2].
우리나라의 경우 급성 심근경색의 증상 발생에서 병원 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급성 심근경색은 증상이 발생한 시간부터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빠를수록 좋으며[5],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F/AHA) guideline은 증상 발생 시 2시간 내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거나 시행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할 것을 권장한다[6].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증상발생에서 병원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40분으로 권고의 2시간이 넘고 병원도착 후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기까지 평균 61분이 소요되고 있다[3]. 따라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증상이 발생한 경우 빠른 대처를 통해 병원도착시간을 단축시키고 적정시간에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게 한다면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Gara PT, Kushner FG, Ascheim DD, Casey DE Jr., Chung MK, de Lemos JA, et al.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3;61(4):e78-e140. http://dx.doi.org/10.1016/j.jacc.2012.11.019 

  2. Rastan AJ, Dege A, Mohr M, Doll N, Falk V, Walther T, et al. Early and late outcomes of 517 consecutive adult patients treated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for refractory postcardiotomy cardiogenic shock. The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2010;139(2):302-311. http://dx.doi.org/10.1016/j.jtcvs.2009.10.043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valuation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1322009_24959.html&subject심평원급성심근경색증평가결과 치료는세계적수준none. 

  4.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2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4 May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08559. 

  5. Van de Werf F, Bax J, Betriu A, Blomstrom-Lundqvist C, Crea F, Falk V, et al.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persistent ST-segment elevation: The task force on the management of ST-segment eleva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uropean Heart Journal. 2008;29(23):2909-2945.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n416 

  6. Jacobs AK, Kushner FG, Ettinger SM, Guyton RA, Anderson JL, Ohman EM, et al. ACCF/AH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ethodology summit report: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3;61(2):213-265. http://dx.doi.org/10.1016/j.jacc.2012.09.025 

  7.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 Seoul: Koonja; 2011. 

  8. Chung HJ. The symptoms and the response related to treatmentseeking time amo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Nursing Science. 2008;20(1):33-45. 

  9. Lee JH, Jeong MH, Rhee JA, Choi JS, Park IH, Chai LS, et al. Factors influencing delay in symptom-to-door time in patients with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4;87(4):429-438. http://dx.doi.org/10.3904/kjm.2014.87.4.429 

  10. Kim HJ, McGuire DB, Tulman L, Barsevick AM. Symptom clusters: Concept analy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for cancer nursing. Cancer Nursing. 2005;28(4):270-284. 

  11. McSweeney JC, Cleves MA, Zhao W, Lefler LL, Yang S. Cluster analysis of women's prodromal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ymptoms by race and other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0;25(4):311-322.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1cfba15 

  12. Ryan CJ, DeVon HA, Horne R, King KB, Milner K, Moser DK, et al. Symptom cluster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secondary data analysis. Nursing Research. 2007;56(2):72-81. http://dx.doi.org/10.1097/01.NNR.0000263968.01254.d6 

  13. Choi KC, Choi S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hospital delay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2):707-712. http://dx.doi.org/10.5762/KAIS.2013.14.2.707 

  14. Han EJ. Impact of symptom recognition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on hospital arrival time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4. 

  15. Lee SO, Oh SE, Jeong MH, Kim HK, Jeon HJ, Choi YJ, et al. Clinical impact of symptom-to-door time on 1-year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n-ST segment eleva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0;78(6):717-724. 

  16. Lee HN, Cho KJ. Analysis on emergency care to the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re-hospital and in-hospital phase.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13;17(1):21-39. 

  17. Hwang SY, Ahn YG, Jeong MH. Atypical symptom cluster predicts a higher mortality in patients with first-tim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12;42(1):16-22. http://dx.doi.org/10.4070/kcj.2012.42.1.16 

  18. Mooi E, Sarstedt M. A concise guide to market research: The process, data, and methods using IBM SPSS statistics. Berlin, DE: Springer; 2011. 

  19. Johnson JA, King KB. Influence of expectations about symptoms on delay in seeking treatment during myocardial infarc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95;4(1):29-35. 

  20. Kim MJ, Kim KH. Lifestyle differences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2;32(1):260-280. 

  21. Nishiyama S, Watanabe T, Arimoto T, Takahashi H, Shishido T, Miyashita T, et al. Trends in coronary risk factors amo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ver the last decade: The Yamagata AMI registry. Journal of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 2010;17(9):989-998. 

  22. Cho SH, Choi MJ, Jeong M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related to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 171-181.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24. Woo M, Fan CQ, Chen YL, Husein H, Fang HY, Lin CJ, et al. Gender differences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stenting in current stent era. Chinese Medical Journal. 2011;124(6):862-866. 

  25. Saczynski JS, Yarzebski J, Lessard D, Spencer FA, Gurwitz JH, Gore JM, et al. Trends in prehospital dela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from the Worcester heart attack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8;102(12):1589-1594.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8.07.056 

  26. Farshidi H, Rahimi S, Abdi A, Salehi S, Madani A. Factors associated with pre-hospital dela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ranian Red Crescent Medical Journal. 2013;15(4):312-316. http://dx.doi.org/10.5812/ircmj.2367 

  27. Richards SB, Funk M, Milner KA. Differences between blacks and white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in initial symptoms and in delay in seeking car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0;9(4):237-244. 

  28. Riegel B, Hanlon AL, McKinley S, Moser DK, Meischke H, Doering LV, et al. Differences in mortality in acute coronary syndrome symptom clusters. American Heart Journal. 2010;159(3): 392-398. http://dx.doi.org/10.1016/j.ahj.2010.01.003 

  29. Hwang SY.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seeking behavior in younger and older patients with first-time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 888-898.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88 

  30. Arslanian-Engoren C, Patel A, Fang J, Armstrong D, Kline-Rogers E, Duvernoy CS, et al. Symptoms of men and women presenting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6;98(9):1177-1181.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6.05.049 

  31. Chin YR, Lee IS, Lee HY. Effects of hypertension, diabetes, and/or cardiovascular disea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Korean individual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Asian Nursing Research. 2014;8(4):267-273. http://dx.doi.org/10.1016/j.anr.2014.10.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