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산욕초기 산모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분석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of Early Postpartum Women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2 no.1, 2019년, pp.73 - 84  

김평화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KCD code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27 postpartum women who had been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so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postpartum K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분만 후 ΟΟ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산욕초기 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치료 시 적용된 KCD 코드를 수집,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후의 한의진료 자료 구축 연구에 대한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풍은 무엇인가? 산후풍은 출산이나 유산 후에 신체허약이나 조리와 섭생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얻은 각종 증상들로서 원래 ‘화병’처럼 민간에서 사용되던 용어였으며, 문화적 특수성이 반영된 문화관련 증후군으로 인식할 수 있다11). 현재 국민행복카드 지원으로 산후 한의진료 시 사용가능한 KCD 코드는 U32.
산후조리원에서 한의사의 역할은? 한국인들은 출산 후 산후풍에 대한 염려가 비만, 당뇨 등의 다른 건강상의 문제보다 월등히 높으며5), 실제 서울시 소재 산후조리원 103곳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원 의료인 연계율을 조사한 연구6)에서도 한의사 연계는 63곳(61.2%), 산부인과 의사 연계 35곳(34%)로 조사되었으며, 한의사의 역할은 한약처방, 침구치료, 산모교육 등이었다. 이처럼, 산후풍 진단 이전에, 산후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진료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의 임상현장을 반영하기에 오 등4)의 연구에서 출산 후의 한방의료 이용질환으로 제시한 O85-O99(주로 산후기에 관련된 합병증,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산과적 병태), U32.
현재 임신⋅출산에 있어 한의약과 관련한 유일한 의료지원은 무엇인가? 2019년 1월부터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사업인 국민행복카드 지원액이 단태아 50만원에서 60만원, 다태아 9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각각 10만원이 인상되고, 분만예정일 이후 60일까지 사용에서 1년까지 사용으로 기간이 확대되었다2). 이 사업은 현재 임신⋅출산 한의약 관련 유일한 의료지원으로 산후에 한의진료시 사용 가능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코드(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KCD)는 U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oo EK. Development of WISE HHSanhujori Guidelin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3:1-29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Guide to 2019' Medical Care Services. Sejong: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151, 157. 

  3. Lee SY, Choi IS. Policy Support for Medical Expenses on Pregnancy and Delivery. KIHASA. 2016:156-8. 

  4. Oh JH. Effective Distribution of National Financial Support to Women before and during Pregnancy for Improving Pregnancy Outcomes SNU R&DB Foundation. 2012:1-55. 

  5. Bae GM, Lee IS.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n Postpartum Symptom among Korean, Korean Resident in America and American. J Korean Obestet Gynecol. 2010;23(2):131-44. 

  6. Jang SW, Heo SJ, Cho HJ. An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of Doctors' Linkage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at All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J Korean Obestet Gynecol. 2011;24(4):174-85. 

  7. Kim JY. The Study on the Impacts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hange on Disease Name Code Selection and Prescriptions of Herbal Medicine by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octors.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2011:1-2. 

  8. Jang ES, et al. Review on the Development State and Utiliz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in Korean Medicine by U Code of 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 30(2):124-5. 

  9.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5-15. 

  10. Lim JS, et al.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igh Risk Maternal and Neonatal Care Cent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14-5. 

  1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e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medicine Obestetrics & Gynecology Manual for Specialist. Seoul:Euiseongdang. 2017:280. 

  12. Bak JY, et al. A Study about the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al Postpartum Care. J Korean Obestet Gynecol. 2009;22(4):174-87. 

  13. E-daily. High-risk Pregnant Women Doubled after 2010[cited Oct 28, 2018]. Available from: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8&aid0004182961. 

  14. Kim PW, et al.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Symptoms of the Postpartum Wome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Six Weeks after Childbirth. J Korean Obstet Gynecol. 2017;30(4):114-34. 

  15. Park JK. Study on the Various Symptoms of Women in Early Postpartum Period - For Postpartum Women Who Admitted in to Gynecology Ward of Oriental Medicine Hospital.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2010. 

  16. Jang SR, Park YS, Kim DC. The Clinical Analysis of 104 Sanhupung Patients that Visited at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3):192-204. 

  17. Kim PW, Jung SY, Lee EH. An Analysis of Research on Korean Herbal Medicine Used in the Treatment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4):128-46. 

  18. Haran C, et al. Clinical Guidelines for Postpartum Women and Infants in Primary Care - A Systematic Review. BMC Pregnancy Childbirth. 2014;14:51-9. 

  1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3rd ed. Seoul:Euiseongdang. 2012:590. 

  20. Choi MS, Kim DI. Basic Research to Provide Severity Evaluation Criteria of Postpartum Edema.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4):207-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