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중기(姙娠中期)에 나타난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에 가미당귀산(加味當歸散)을 투여하여 효과를 보인 증례보고
Treatment of Mid-trimester Oligohydramnios Using Gami-danggui-san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2 no.1, 2019년, pp.85 - 93  

김효정 (유앤그린여성한의원) ,  김은섭 (유앤그린여성한의원) ,  진대환 (유앤그린여성한의원) ,  황덕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benefi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n adjuvant therapy in management of mid-trimester oligohydramnios. Methods: It is a case report of a 31 year-old woman hospitalized for oligohydramnios at $24^{+4/7}$weeks of gestation. Th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증례를 통해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양수과소증에 한약치료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의미 있는 케이스로 사료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임신중기에 양수과소증으로 진단되었으나 태아의 기형이나 이상, 양막파 수 등의 뚜렷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은상태로 본원에 내원하여 한약을 복용함으로써 비교적 단기간에 양수양을 정상범위로 회복하고 이후 만기출산에 성공한 환자사례를 보고하여 한의학적 치료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뒷받침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의 정의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은 해당주수의 표준 양수량에 비해 하위 10% 이하로 양수의 양이 감소한 것을 말한다1,2). 임신중 양수과소증의 발생빈도는 진단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전체 임신의 8.
임신중 양수과소증의 주요원인 양수과소증이 임신중반기에 발생할 경우, 태아의 폐 발달 장애 및 태아성장지연, 압박성 골격기형 등의 위험이 높고, 주산기 사망률이 80%에 이르러 임신 후기에 발생한 경우에 비해 예후가 더욱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8). 이러한 양수과소증의 주요원인으로는 태아기형, 조기파막, 태반기능부전 등이 있는데9), 현재까지 양수과소증의 치료는 대기요법과 분만이외는 효과적인 방법이 없으며 현재 시도되고 있는 양수주입법의 경우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10-2).
한의학적으로 양수과소증에 유효한 효과를 보인 연구 이러한 양수과소증과 정확히 부합하는 한의학적 명칭은 없으나 조기파수로 인한 조산(早産), 난산(難産), 반산(半産), 태아발육지연을 의미하는 태위부장(胎萎 不長) 등의 범주로 볼 수 있다. 관련 연구로는 임신중기에 나타난 양수과소증에 단삼(丹蔘)추출물을 복용하여 유효한 효과를 보인 연구13)가 있다. 국내 연구로 는 양수과소증으로 인해 사산을 한 산모의 사후관리를 위한 한의학적 치료 사례14) 가 보고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임신중 양수과소증에 대한 직접적인 한의학적 치료사례 보고는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helan JP, Ahn MO, Smith CV. Amniotic fluid index measurements during pregnancy. J Reprod Med. 1987;32(8):601-4. 

  2. Magann EF, et al. The amniotic fluid index, single deepest pocket, and two -diameter pocket in normal human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2000; 182(6):1581-8. 

  3. Rutherford SE, et al. The four-quadrant assessment of amniotic fluid volume: an adjunct to antepartum fetal heart rate testing. Obstet Gynecol. 1987; 70(3 Pt 1):353-6. 

  4. Sarno PA, et al. Intrapartum Doppler velocimetry, amniotic fluid volume, and fetal heart rate as predictors of subsequent fetal distress. Am J Obstet Gynecol. 1989;161(6, Part 1):1508-14. 

  5. Moore TR, Cayle JE. The amniotic fluid index in normal human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90;162(5):1168-73. 

  6. Farooqi A, et al. Survival and 2-year outcome with expectant management of second-trimester rupture of membranes. Obstet Gynecol. 1998;92(6):895-901. 

  7. Deutsch A et al.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based on the gestational age of midtrimeste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J Matern Fetal Neonatal Med. 2010;23(12):1429-34. 

  8. Hadi HA, Hodson CA, Strickland D.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between 20 and 25 weeks' gestation: role of amniotic fluid volume in perinatal outcome. Am J Obstet Gynecol. 1994; 170(4):1139-44. 

  9. McCurdy CMJr, Seeds JW. Oligohydramnios: problems and treatment. Semin Perinatol 1993;17(3):183-96. 

  10. Lissauer D, Morris R, Kilby M. Fetal lower urinary tract obstruction. Semin Fetal Neonatal Med. 2007;12(6):464-70. 

  11. Combs A, et al. Aggressive tocolysis does not prolong pregnancy or reduce neonatal morbidity afte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Am J Obstet Gynecol. 2004;190(6):1723-31. 

  12. Locatelli A, et al. Role of amnioinfusion in the management of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at <26 weeks' gestation. Am J Obstet Gynecol. 2000;183(4):878-82. 

  13. Chu H, Shen M. Treating oligohydramnios with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A randomized control trial. Therapeutics and Clinical Risk Management. 2008; 4(1):287-29. 

  14. Lee SH, et al. A Case Report of Patient Treated after Stillbirth Caused by Oligohydramnio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0;23(4):164-75. 

  15. Hong SY. The Caus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lyhydramnios. Korean J Perinatol. 2012;23(2):50-60. 

  16. Kim KM. Perinatal outcomes Associated with Oligohydramnios in Full-Term Neona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7;14(1):66-70. 

  17. Hyung WJ, Choi HM. The Relationship between Idiopathic Polyhydramnios and Oligohydramnios and Perinatal Outcomes. Korean J Perinatol. 2006; 17(3):287-93. 

  18. Battaglia C, et al. Hemodynamic, hematological and hemorrheological evaluation of post-term pregnancy. Acta Obstet Gynecol Scand. 1995; 74(5):336-40. 

  19. Redline RW, Pappin A. Fetal thrombotic vasculopath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xtensive avascular villi. Hum Pathol. 1995;26(1):80-5. 

  20. Zhang ZJ.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Seoul:Awoolos Publishing Company. 1994:573. 

  21. Hwang DY. Bangyakhappyun. Seoul: Yeokang Publishing Company. 1994:155. 

  22. Park Y. Influence of Geumgue-Dangguisan on the uterine contraction and spontaneous movement of white rat.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1990. 

  23. Moon Y, et al. Effect of Keumgyedanggwisan Decoction on Female Genital System of white rat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1995;8(1) :141-59. 

  24. Kim E, et al. Prevention of Preterm Birth and Management of Uterine Contr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4):2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