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알레르기 비염과 관련된 임상 논문에 대한 고찰
The Review on the Allergic Rhinitis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2 no.1, 2019년, pp.74 - 82  

강정인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  이동효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allergic rhinitis related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JKOOD). Method : We studied 32 articles of allergic rhinitis published in JKOOD from 1988 to 201...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알레르기 비염 관련 임상 논문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통하여 알레르기 비염 연구 경향 및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알레르기 비염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알레르기 비염의 한의 치료에 관하여 기존에 진행되어 온 임상 연구들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통하여 향후 알레르기 비염의 한의 임상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비염이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은 특징적인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IgE가 매개하는 면역반응으로 비점막의 염증을 일으켜 코막힘, 콧물, 재채기,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1). 또한 지속적인 증상들로 피로, 수면장애 및 업무장애, 집중력 감소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삶의 질의저하를 가져온다2,3).
알레르기 비염이 삶의 질의 저하를 일으키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알레르기 비염은 특징적인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IgE가 매개하는 면역반응으로 비점막의 염증을 일으켜 코막힘, 콧물, 재채기,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1). 또한 지속적인 증상들로 피로, 수면장애 및 업무장애, 집중력 감소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삶의 질의저하를 가져온다2,3).
알레르기 비염의 일차 치료 약물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의 일차 치료 약물로 항히스타민제와 국소 비충혈제거제 등이 사용되는데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재채기, 콧물 및 가려움증에는 효과적이지만 코막힘에는 효과가 불확실하며, 국소용 점막수축제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오히려 비점막 부종, 약물성 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6). 만성화되는 경과를 밟는 알레르기 비염의 질환 특성상 한의학에 대한 치료 수요가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JE, Baek JH. Research of Pattern Identification and Outcome Measurement in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16; 30(1):32-9. 

  2. Lee DH. A Review of Economic Evaluations in Acupuncture for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6;29(2):1-11. 

  3. Lee HS, Park EO.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llergic Rhinitis-Specific Quality of Life (ARSQOL) Scale fo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5):675-86. 

  4.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Annual Report. 2017. 

  5. Jeung CW, Jo HG, Kim HH, Song MY.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for Korean Medicine Manage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6;29(4):95-113. 

  6. Van Cauwenberge P, Bachert C, Passalacqua G, Bousquet J, Canonica G, Durham S, et al. Consensus statement* o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2000;55(2):116-34. 

  7. Kim MH, Yun YH, Ahn JH, Ko SG, Choi IH. Developing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of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7;30(2):112-125. 

  8. Son MS, Song GJ, Jang SJ, Lee HS.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97;(1):24-30. 

  9. Shin SH, Kim JH, Kim MB, Ko WS, Yoon HJ. A Clinical Study of 580 Cases on Hypersensitive Rhiniti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07;20(1):218-27. 

  10. Choi IH. A Clinical Study of Hypersensitive rhiniti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02;15(2):169-82. 

  11. Chun SC, Lee SG, Jee SY. A clinical report about the effect of Tonguetangmi on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02;15(2):145-55. 

  12. Ko SK, Shin YC, Kwon DY, Lee JY, Park BJ, Choi IH, et al. The Research on evaluation endpoint development for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al products about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port. 2008. 

  13. Kim NK, Lee DH, Choi IH, Ko SG. An expert survey for developing pattern diagnosis instrument of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3;26(2):1-9. 

  14. Lee KJ, Kim HT, Jang BH, Choi IH, Ko SG. Assessment of Concordance Rate in Pattern Analysis between Pattern Diagnosis of KiFDA on Allergic Rhinitis in 2008 and Doctor of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4;27(1):91-8. 

  15. Yun YH, Park JS, Kim KS, Kim NK, Kim KJ, Kim HT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Assessing Anterior Nasal Cavity Using Nasal Endoscopy on Allergic Rhinitis Patient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3;17(1):199-207. 

  16. Kim KS, Yun YH, Park JS, Kim NK, Kim KJ, Kim HT, et al.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Pattern Identification Using Nasal Endoscopy for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3;26(2):10-8. 

  17. Lee KJ, Yun YH, Kim KS, Jang SB, Choi IH, Ko SG.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RIA, TNSS and Nasal Endoscopy as Instruments of Evaluation for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5;28(1):109-18. 

  18. Ahn JH, Kim MH, Yun YH, Choi IH. Relationship between Nasal Endoscopy Index for Pattern Identification and Cold-heat Pattern Identification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5;28(4):1-11. 

  19. Kim YE, Jeong UM, Lee DH. A survey on treatment trend for allergic rhinitis in Korean medicine clinic.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 30:75-96. 

  20. Jang BH, Choi IH, Kim KS, Kim HT, Kim KJ, Kim M-H, et al. Current status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exploratory study based 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3 hospital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4;27(1):117-29. 

  21. Park KH, Cho JS, Lee KH, Shin SY, Moon JH, Cha CI. Rhinoconjunctiviti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RQLQ) as an Evaluator of Perennial Allergic Rhinitis Patients-The First Report.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002;45(3):254-62. 

  22. Lee JG, Cho WJ, Hwang SY, Jee SY.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ho Visit Daegu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07;20(3):191-203. 

  23. Kim JH, Shin SH, Kim MB, Ko WS, Yoon HJ. Systemic review: The study on alternative medicine for allergic rhinitis in Entrez Pubmed.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07;20(1): 239-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