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d to suggest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treatments to 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sequelae.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on 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sequelae who visited the facial paralysis center from August 2017 to ...

주제어

표/그림 (3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말초성 안면마비 후유증 환자의 한의학적인 치료 효과 및 만족도를 확인하고 향후 후유증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초성 안면마비란 무엇인가 말초성 안면마비는 가장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안면 신경 장애 계통 질환 중 하나로, 안면 운동신경의 약화로 인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환측 이마주름의 실조, 안검하수, 안구건조 혹은 눈물 과다, 안면부 근육의 마비, 약화, 입꼬리 쳐짐 등이 나타나며, 이외에도 미각장애, 안면 감각이상, 전정계 장애 등의 다른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안면마비 환자의 이차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많은 안면마비 환자의 경우에서 안면 근육 마비로 인해 신체적 활동 중 발생하는 불편감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보여지는 얼굴의 모습에 따른 심리적 위축, 사회적 활동, 대인관계의 어려움, 완전 회복이 되기 전까지 호전에 대한 불안감 등 많은 이차적인 문제를 호소한다. 때문에 후유증 발생 시에 적절한 치료를 통한 회복이 중요시된다.
말초성 안면마비의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말초성 안면마비는 가장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안면 신경 장애 계통 질환 중 하나로, 안면 운동신경의 약화로 인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환측 이마주름의 실조, 안검하수, 안구건조 혹은 눈물 과다, 안면부 근육의 마비, 약화, 입꼬리 쳐짐 등이 나타나며, 이외에도 미각장애, 안면 감각이상, 전정계 장애 등의 다른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수술, 두부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Varicella zoster virus, 중이염 등 감염성 질환에 속발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ose F, Raquel R, Isabel G, Pedro V, Nuno B, Artur C. Peripheral Facial Palsy in Emergency Department. Iran J Otorhinolaryngol. 2018;30(98):145-52. 

  2. Somasundara D, Sullivan F. Management of Bell's palsy. Aust Prescr. 2017;40(3):94-7. 

  3. Ryu SH, Lee SY, Kim HG, Ryoo DW, Kim SJ, Jeong SM, et al.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n Objective Method for Evaluating Facial Palsy Sequelae Using Facial Scanning System. The Acupuncture. 2016;33(3):89-99. 

  4. Rhee DH, Choi JH, Park SY, Kim JH. Clinical Study of Three Cases of Recurrent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with Sequela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4):57-69. 

  5. Lee JW, Kwon SA, Kim MJ, Song JY, Kim PK, Seo BK, et al. A Study of Facial Palsy Sequelae and Evaluating Scale. The Acupuncture. 2011;28(2):75-87. 

  6. Ji YS, Lee SM, Lee CW, Jeon JH, Kim YI. Survey on Satisfaction of Needle-Nembedding Therapy on Sequelae of Peripheral Facial Palsy. Journal of the Spine&Joint Korean Medicine. 2012;9(1):41-9. 

  7. Cho E, Kang JH, Lee H. Case Study of Jung-an Acupuncture on the Sequelae of Peripheral Facial Palsy. The Acupuncture. 2013;30(3):155-63. 

  8. Lee SE, Yoon HJ, Ko WS. Research Trends on Non-surgical Treatment of Peripheral Facial Paralysis Sequela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31(4):42-64. 

  9.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Idiopathic Facial Palsy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1st ed. Seoul:Elsevier Korea LLC. 2015. 

  10.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Otorhinolaryngology. 1st ed. Seoul:Ilchokak. 2016:208-15. 

  11. Nicholas B, Melanie G, Amrita R, Michael J. Update in Facial Nerve Paralysis: Tissue engineering and new technologies.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4):291-9. 

  12. Ritvik P. Surgical Treatment of Facial Paralysis.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2009;2(1);1-5. 

  13. Won JS, Chou CY, Cho AR, Kim CH. The Clinical Observation of Bell's palsy sequel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167-77. 

  14. Hong KE. Comprehension of Embedding Therapy Through Meridian Muscle System -Focused on Face-. The Acupuncture. 2008;25(3):215-9. 

  15. Kim DH, Kim JH. Hwangjenaekyeong Yeongchu. 1st ed. Seoul:Uiseongdang. 2002. 

  16. Lee EM, Park DS, Kim DH, Kim HW, Jo EH, Ahn MS, et al. A Literature Study and Recent Tendency on Oriental Correction of Deformities and "Needle-embedding Therapy". The Acupuncture. 2008;25(3): 229-36. 

  17. Kim MB, Kim JH, Shin SH, Yoon HJ, Ko WS. A study of facial nerve grading syste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20(3):147-60. 

  18.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Pharmacopuncturology. 2nd ed. Seoul:Elsevier Korea LLC. 2011:208-22. 

  19. Choi CH, Song HS. Effect of Bee Venom Phamacopuncture Complex Therapy on Residual Symptom of Bell's Palsy After the Early Stage. The Acupuncture. 2009;26(4): 115-23. 

  20. Kim JH, Jeong JY, Lee SW, Shin SY, Park JH, Kim CH,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between Needle-embedding Therapy ans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he Acupuncture. 2013;30(4):3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