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지속적 양압기 사용 후 재검사시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변화
Case of a Change in the Polysomnograpy Results after Using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a Patient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1, 2019년, pp.119 - 123  

김대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문수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이비인후과) ,  최정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  이민우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  조재욱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쇄성 수면 무호흡은 반복적인 상기도 저항으로 인해 호흡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뇌 심혈관계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방법인 지속적 양압기의 치료효과는 많은 연구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지속적 양압기 사용 전과 후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비교한 것은 없다. 본 증례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된 환자가 2년 이상 꾸준히 지속적 양압기를 사용한 후 재검사를 통해 무호흡-저호흡 지수의 감소(64.7/h에서 12.9/h) 및 그 외 수면관련 지표들도 호전된 결과를 보였다. CPAP의 장기적 사용은 상기도 저항이 감소할 수 있는 기전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로 인한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변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꾸준한 수면다원검사의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sleep disorder with no breathing symptoms due to repetitive upper airway resistance. OSA is a disease that ca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erebral cardiovascular system. Active treatment is needed to prevent these complications. The use of continuous posi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수면 무호흡 환자의 CPAP 마스크 착용 유무에 따른 수면다원검사 결과 차이를 비교한 단면적 연구는 있었으나[7] 장기간 CPAP 치료에 따른 수면다원검사 결과 차이를 비교한 증례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최초 내원 시 수면 다원검사를 통해 중증(severe) 폐쇄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된 환자가 2년 이상 CPAP 치료 후, CPAP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수면다원검사에서 경도(mild) 폐쇄성 수면 무호흡으로 호전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무엇인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 저항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적절한 환기가 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성인에서 2∼4%의 발병률을 보이고 있다[1]. 또한 숙면을 방해하여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며, 뇌 및 심장질환과의 연관성이 알려짐에 따라 임상적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2-4].
폐쇄성 수면 무호흡 치료방법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본 증례에서 나타난 CPAP을 꾸준히 사용한 환자의 수면다원검사 결과는 CPAP을 사용하기 전 결과와 비교했을 때, 무호흡저호흡 지수 뿐만 아니라, 수면관련 지표들이 호전되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은 임상적인 증상, 병력, 수면다원검사, DISE등을 통해서 미국수면학회의 권고에 따라 치료방법을 결정한다[5]. 대표적으로 CPAP은 중등도 내지 중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경우, 주간 졸림증을 동반한 경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경우 등에서 권고되며[6], 수술적 치료와 구강 내 장치는 CPAP의 이차적인 치료법으로 권고한다[9, 10].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해부학적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첫째 가설을 확인해보면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해부학적 원인은 연구개(Soft palate)의 위치, 편도(tonsil) 및 주변 조직의 크기, 혀의 크기, 아래턱의 위치, 후두의 협착 유무 등으로 인한 상기도의 폐쇄이다[12, 13]. 본 증례의 환자는 CPAP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내시경 검사에서 비강과 후두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지만, 구강 내시경에서는 편도 크기가 기둥까지 커져있었고(Grade II), 연구개 위치는 전체 구개수는 보이나 편도는 보이지 않는(Grade II) 동일한 소견을 보여 차이점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un CH. A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J Kor Sleep Research Soc. 2004;1:34-40. http://doi.org/10.13078/jksrs.04006. 

  2. Shahar E, Whitney CW, Redline S, Lee ET, Newman AB, Nieto FJ, et al.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cross-sectional results of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9-25. http://doi.org/10.1164/ajrccm.163.1.2001008. 

  3. Li J, Li MX, Liu SN, Wang JH, Huang M, Wang M, et al. Is brain damage really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Neuroreport. 2014;25:593-595. http://doi.org/10.1097/WNR.0000000000000143. 

  4. Kim CS.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Korean J Clin Lab Sci. 2014;46:106-110. http://doi.org/10.15324/kjcls.2014.46.3.1063. 

  5. Kapur VK, Auckley DH, Chowdhuri S, Kuhlmann DC, Mehra R, Ramar 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479-504. http://doi.org/10.5664/jcsm.6506. 

  6. Gay P, Weaver T, Loube D, Iber C, Positive airway pressure task force, Standards of practice committee, et al. Evaluation of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Sleep. 2006;3:381-401. http://doi.org/10.1093/sleep/29.3.381. 

  7. Weaver TE, Chasens E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sleep apnea in older adults. Sleep Med Rev. 2007;11:99-111. https://doi.org/10.1016/j.smrv.2006.08.001. 

  8. Frideman M, Ibrahim H, Joseph NJ. Staging of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A guide to appropriate treatment. Laryngoscope. 2004;114:454-459. https://doi.org/10.1097/00005537-200403000-00013. 

  9. Kushida CA, Morgenthaler TI, Littner MR, Alessi CA, Bailey D, Coleman J Jr,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oral appliances: an update for 2005. Sleep. 2006;29:240-243. http://doi.org/10.1093/sleep/29.2.240. 

  10. Aurora RN, Casey KR, Kristo D, Auerbach S, Bista SR, Chowdhuri S,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surgical modifications of the upper airwa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Sleep. 2010;33:1408-1413. http://doi.org/10.1093/sleep/33.10.1408. 

  11. Peppard PE, T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Longitudinal study of moderate weight change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JAMA. 2000;284:3015-3021. http://doi.org/10.1001/jama.284.23.3015. 

  12. Caples SM, Rowley Ja, Prinsell JR, Pallanch JF, Elamin MB, Katz SG, et al. Surgical modifications of the upper airwa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2010;33:1396-1407. http://doi.org/10.1093/sleep/33.10.1396. 

  13. Lee CH, Hong SL, Rhee CS, Kim SW, Kim JW. Analysis of upper airway obstruction by sleep videofluoroscopy in obstructive sleep apnea: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Laryngoscope. 2012;122:237-241. http://doi.org/10.1002/lary.22344. 

  14. Moos DD.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edation in the endoscopy suite. Gastroenterol Nurs. 2006;29:456-463. 

  15. Deacon NL, Sande SA, McEvoy DR, Catcheside PG. Daytime loop gain is elevated in obstructive sleep apnea but not reduced by CPAP treatment. J Appl Physiol. 2018;125:1490-1497. http://doi.org/10.1152/japplphysiol.00175.2018. 

  16. Younes M, Ostrowski M, Thompson W, Leslie C, Shewchuk W. Chemical control stabili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181-1190. http://doi.org/10.1164/ajrccm163.5.2007013. 

  17. Salloum A, Rowley JA, Mateika JH, Chowdhuri S, Omran Q, Badr MS. Increased propensity for central apne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effect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m J Respire Crit Care Med. 2010;181:189-193. http://doi.org/10.1164/rccm.200810-1658OC. 

  18. Kusida CA, Littner MR, Morgenthaler T, Alessi CA, Bailey D, Coleman J Jr,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indications for polysomnography and related procedures: an update for 2005. Sleep. 2005;28:499-521. https://doi.org/10.1093/sleep/28.4.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