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적정 양압을 위한 수동화 양압 측정법과 자동화 양압 측정법의 비교
Comparison for the Optimal Pressure between Manual CPAP and APAP Titratio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2, 2019년, pp.191 - 197  

김대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최병걸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  조재욱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문수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이비인후과) ,  이민우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  김현우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들의 양압기 사용을 위한 적정 양압측정은 편리함과 경제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으로 CPAP 측정법보다는 APAP 측정법을 더 선호한다. 그러나 PSG 감시하에 진행하는 CPAP 측정법보다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아직까지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대상자에 대한 CPAP과 APAP 측정법의 적정 압력과 무호흡-저호흡 지수를 변수로서 두 방법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분할 수면다원검사 중 CPAP 양압 측정과 7일 이상 APAP 양압 측정에 성공한 79명이 모집되었다. CPAP과 APAP 측정법의 적정 양압은 $7.0{\pm}1.8cmH_2O$, $7.6{\pm}1.6cmH_2O$ 무호흡-저호흡 지수는 $1.3{\pm}1.5/h$, $3.0{\pm}1.7/h$로 CPAP 측정법이 두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그러나 미국수면학회 가이드라인 무호흡-저호흡 지수 5/h이하의 적정 양압 도달 비율은 CPAP 측정법이 96.2% (76명), APAP 측정법이 94.9% (75명)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0.045, P=0.688). 본 연구를 요약하면, CPAP은 APAP 측정법보다 좀 더 효율적인 측정법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적정 양압에 도달하는 비율은 두 방법 모두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정확성을 가진다. 따라서 CPAP과 APAP 측정법 중 요구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정 양압을 측정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auto-adjusting positive airway pressure (APAP) titration at home has several advantages over a CPAP titration in terms of convenience and time saving, there are still concerns as to whether it will show corresponding accuracy when compared to laboratory-based polysomnography (PSG) and CPA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연구에서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고 무작위적으로 두 그룹을 분류하여 수치들을 비교한 것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시행 후 CPAP과 APAP 측정법의 적정 양압과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를 비교함으로써 두 방법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2018년 7월 이후 시행된 수면다원검사 보험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들에게 좀 더 정확하고 효율성 있는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8년 7월부터 OSA 환자들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건강보험 행위 비급여가 급여로 변경되어 수요가 급증함에따라 OSA 환자들의 치료법인 양압기 사용의 단점을 개선하고 적절한 적정 양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또한 양산 부산대학교 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규정된 인간대상연구와 관련하여 심의면제 사항인 ‘연구대상자 등에 대한 기존의 자료나 문서를 이용하는 연구’에 부합됨을 확인하고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CPAP과 APAP의 측정법을 비교하여 실제로 환자에게 적용하는 적정 양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적정 양압의 수치가 CPAP에서 APAP보다 낮게 측정되어 효율적인 압력을 주는 치료라고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정 양압(CPAP tiltration)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는 환자 개개인에게 상기도를 개방할 수 있는 적절한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적정 양압(CPAP tiltration)은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 관련 각성(respiratory effort related arousal, RERA), 코골이를 제거할 수 있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표준화된 방법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를 시행 후 2주 이내에 검사실 내에서 수면다원검사 감시하에 CPAP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다[9]. 그러나 이 방법은 2회에 걸친 검사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환자의 부담이 될 수 있다.
자동화 양압 측정 방법이란 무엇인가? 다른 하나는 자동화 양압기(auto-adjusting positive airway pressure, APAP)를 이용한 측정법이다[11]. 자동화 양압 측정 방법은 수면다원검사 후 환자가 장비를 대여하고, 최대와 최소 양압을 설정하고 집에서 직접 장비를 착용하고 일정기간 사용하고 난 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검사자가 검사실에서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면서 측정하는 CPAP 측정법과 달리, 센서에 의해서 압력의 수치가 자동 제어된다.
지속적 양압기(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사용시 발생하는 긍정적 임상적 효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환자들이 지속적 양압기(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의 불편함과 양압 적응의 어려움은 있다. 하지만 CPAP의 사용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 빈도의 감소, 주간 졸림증의 감소, 인지 기능과 아침두통 발현의 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등 다양한 임상적인 효과가 있다[6-8].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는 환자 개개인에게 상기도를 개방할 수 있는 적절한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ieto FJ, Young TB, Lind BK, Shahar E, Samet JM, Redline S, et al. Association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sleep apnea, and hypertension in a large community-based study. Sleep Heart Health Study. JAMA. 2000;283:1829-1836. http://doi.org/10.1001/jama.283.14.1829. 

  2. Kim CS.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Korean J Clin Lab Sci. 2014;46:106-110. http://doi.org/10.15324/kjcls.2014.46.3.106. 

  3. Shahar E, Whitney CW, Redline S, Lee ET, Newman AB, Nieto FJ, et al.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 cross-sectional results of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9-25. http://doi.org/10.1164/ajrccm.163.1.2001008. 

  4. Li J, Li MX, Liu SN, Wang JH, Huang M, Wang M, et al. Is brain damage really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Neuroreport. 2014;25:593-595. http://doi.org/10.1097/WNR.0000000000000143. 

  5. Engleman HM, Douglas NJ. Sleep. 4: Sleepiness,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Thorax. 2004:59:618-622. http://doi.org/10.1136/thx.2003.015867. 

  6. Farre R, Hernandez L, Montserrat JM, Rotger M, Ballester E, Navajas D. Sham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placebo-controlled studies in sleep apnea. Lancet. 1999;353:1154. http://doi.org/10.1016/S0140-6736(99)01056-9. 

  7. Engleman HM, Kingshott RN, Wraith PK, Mackay TW, Deary IJ, Douglas NJ.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trial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mild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Am J Respir Crit Card Med. 1999;159:461-467. http://doi.org/10.1164/ajrccm.159.2.9803121. 

  8. Jenkinson C, Davies RJ, Mullins R, Stradling JR. Comparison of therapeutic and subtherapeutic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randomised prospective parallel trial. Lancet. 1999;353:2100-2105. http://doi.org/10.1016/S0140-6736(98)10532-9. 

  9. Kushida CA, Chediak A, Berry RB, Brown LK, Cozal D, Iber C, et al.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ual titration of positive airway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J Clin Sleep Med. 2008;4:157-171. 

  10. Rodway GW, Sanders MH. The efficacy of split-night sleep studies. Sleep Med Rev. 2003;7:391-401. http://doi.org/10.1053/smrv.2002.0272. 

  11. Berry RB, Sriram P. Auto-adjusting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sleep apnea diagnosed by home sleep testing. J Clin Sleep Med. 2014;10:1269-1275. http://doi.org/10.5664/jcsm.4272. 

  12. McArdle N, Singh B, Murphy M, Gain KR, Maquire C, Mutch S, et 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itration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utomatic versus manual titration. Thorax. 2010;65:606-611. http://doi.org/10.1136/thx.2009.116756. 

  13. Shaarawy H, Gharraf H.S. Comparison between the use of APAP and manual titration during split night polysomnograph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 Egypt J Chest Dis Tuberc. 2018;67:175-181. http://doi.org/10.4103/ejcdt.ejcdt_20_18. 

  14.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 3rd ed. Westchester: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14. 

  15. Yun CH. A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J Korean Sleep Res Soc. 2014;1:34-40. http://doi.org/10.13078/jksrs.04006. 

  16.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Sleep. 1999;22:667-689. http://doi.org/10.1093/sleep/22.5.667. 

  17. Iber C, Ancoil-Israel S, Chesson AL, Quan SF.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 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Westchester: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7. 

  18. Peppard PE, Young T, Palta M, Skatrud J. Prospective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hypertension. N Enqi J Med. 2008;342:1378-1384. http://doi.org/10.1056/NEJM200005113421901. 

  19. Punjabi NM, Shahar E, Redline S, Gottlieb DJ, Givelber R, Resnick HE, et al. Sleep-disordered breathing, glucose intolerance, and insulin resistance: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m J Epidemiol. 2004;160:521-530. http://doi.org/10.1093/aje/kwj261. 

  20. Kim DJ, Lee SM, Lee SE, Jeon DS, Kim YS, Lee JK, et al. What do you think about CPAP? : Questionnaire Survey. J Kor Sleep Res. 2010;7:15-21. http://doi.org/10.13078/jksrs.10003. 

  21. Loube DI, gay PC, Strohl KP, Pack AI, White DP, Collop NA. Indications for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a consensus statement. Chest. 1999;115:863-866. http://doi.org/10.1378/chest.115.3.863. 

  22. Kushida CA, Littner MR, Morgenthaler T, Alessi CA, Bailey D, Coleman J Jr,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indications for polysomnography and related procedures: an update for 2005. Sleep. 2005;28:499-521. http://doi.org/10.1093/sleep/28.4.499. 

  23. Nicholl DDM, Hanly PJ, Zalucky AA, Mann MC, MacRae JM, Poulin MG, et al. CPAP therapy delays cardiovagal reactivation and decreases arterial renin-angiotensin system activity in human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J Clin Sleep Med. 2018;14:1509-1520. http://doi.org/10.5664/jcsm.7326. 

  24. Liquori C, Placidi F, Palmieri MG, Izzi F, Ludovisi R, Mercuri NB, et 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may improve optic nerve func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J Clin Sleep Med. 2018;14:953-958. http://doi.org/10.5664/jcsm.7158. 

  25. Kim DJ, Mun SJ, Choi JS, Lee MW, Cho JW. Case of a change in the polysomnograpy results after using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a patient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Korean J Clin Lab Sci. 2019;51:119-123. http://doi.org/10.15324/kjcls.2019.51.1.119. 

  26. McArdle N, Devereux G, Heidarnejad H, Engleman HM, Mackay TW, Douglas NJ. Long-term use of CPAP therapy for sleep apnea/hypopneas syndrom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5:1108-1114. http://doi.org/10.1164/ajrccm.159.4.9807111. 

  27. Kim JH, Kwon MS, Song HM, Lee BJ, Jang YJ, Chung Ys. Compliance with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Clin Exp Otorhinolaryngol. 2009;2: 90-96. http://doi.org/10.3342/ceo.2009.2.2.90. 

  28. Stammnitz A, Jerrentrup A, Penzel T, Peter JH, Vogelmeier C, Becker HF. Automatic CPAP titration with different self-setting device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Eur Respir J. 2004;24:273-278. http://doi.org/10.1183/09031936.04.000743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