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남육괴 중부지방에 존재하는 소규모 화강암체들의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y on Small-scale Granites in the Central Part of Yeongnam Massif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4, 2019년, pp.279 - 298  

김형규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재환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박성철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풍 화강암체는 북쪽으로는 김천 화강암체와, 남쪽으로는 거창 화강암체와 인접하고 있으며, 흑운모각섬석 화강암(Gbh), 반상화강암(Gp),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Ghb)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암석학적 관찰 결과를 토대로 무풍 화강암체 내 Gbh를 흑운모 화강암(Gb)와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Gbh)으로 세분하였다. Gb는 회백색의 암색을 띠며, 중조립질의 반상 조직을 가진다. Gb는 마그마 기원으로 추정되는 소량의 백운모를 포함하고 있으나, 각섬석 및 염기성 미립 포유암(MME)가 관찰되지 않는다. 반면, 홍색 내지 담홍색의 Gbh에서는 MME가 흔히 발견된다. Gbh 내 유색 광물은 대부분 각섬석과 흑운모로 관찰된다. 무풍 화강암체 내 Gb에서는 김천 화강암체의 특징적 광물인 각섬석과 스핀이 관찰되지 않으며, Gb의 주성분 원소의 변화 경향이 김천 화강암체 보다는 거창 화강암체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Gb의 경우 거창 화강암체와 유사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무풍 화강암체 내 Gbh의 조직과 광물 구성은 주변의 Gp 및 Ghb와 유사하며, 이러한 암석학적 특징은 영남육괴 내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류 보다는 경상분지 내 백악기 화강암들과 유사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pung granite,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Gimcheon granites to the north and Geochang granites to the south, has been known to consist of biotite-hornblende granite (Gbh), porphyritic granite (Gp), and hornblende-biotite granite (Ghb). In this study, we subdivided the Gbh of Mupung granite into b...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성광물 차이에 의한 암체의 구분을 ACF 다이아그램에서 구체적으로 알아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에서 생성 과정에 상관없이 조성은 맨틀근원물질(MD)과 퇴적 근원물질(FS)의 최소용융점(MM) 사이에 놓이게 된다.
  •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된 김천화강암체와 거창화강암체를 무풍 Gb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암체를이루는 구성광물을 살펴보면, 김천 화강암체는 중조립질로 각섬석, 흑운모, 스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해 거창화강암은 중립질의 반상조직을 가지며 백운모, 인회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 연구의 목적은 구분된 각 화강암체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주변의 화강암체와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또한 추후 지구화학적, 연대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암석학적 연구결과를 상세히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남육괴 중부지방에 분포하는 소규모화강암체들에 대하여 암석 기재학적 연구를 통해 기존의 암체를 세분화 하였으며, 이들의 암석학적 특징을 자세히 밝혔다. 또한 추후 지구화학적, 동위원소 및 연대학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구체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으로 알려져있던 기존의 암체를 구성광물의 함량 및 특징에 따라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과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구분된 각 화강암체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주변의 화강암체와 상호 관계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또한 추후 지구화학적, 연대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암석학적 연구결과를 상세히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영남육괴 중부지역에 분포하는 무풍 지역 화강암체에 대해 야외 기재학적 연구를 바탕으로암체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관찰하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으로 알려져있던 기존의 암체를 구성광물의 함량 및 특징에 따라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과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풍 화강암체의 종류 및 구성은? 무풍 화강암체는 북쪽으로는 김천 화강암체와, 남쪽으로는 거창 화강암체와 인접하고 있으며, 흑운모각섬석 화강암(Gbh), 반상화강암(Gp),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Ghb)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암석학적 관찰 결과를 토대로 무풍 화강암체 내 Gbh를 흑운모 화강암(Gb)와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Gbh)으로 세분하였다.
영남육괴에서 관찰되는 암석학적 특징은? 1. 기존의 알려져 있던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은 암석기재적 특징, 구성광물 그리고 주성분원소의 지화 학적 특징에 의해 1차기원의 백운모를 포함하는 흑운모 화강암(Gb)과 염기성미립포유암(MME)을 포함하며, 각섬석이 나타나는 흑운모 각섬석 화강암(Gbh)으로 구분된다. 2. Gbh, Gp 그리고 Ghb는 조직 및 구성광물 그리고 현미경하에서 광물의 특징을 살펴볼 때, 경상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3. 본 연구를 통해 구분된 Gb은 인접하는 거창 및 김천 화강암체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거창화강암체의 조직, 구성광물 및 주성분원소의 변화경향에서 유사하게 관찰된다. 따라서 Gb는 거창흑운모 화강암체의 일부분이라 판단된다.
거창 화강암체란? 거창 화강암체는 중립질의 반상조직으로 반정은 주로 알칼리 장석으로, 광물구성에 따른 모드분석 결과 화강섬록암에서 몬조화강암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ppell, B.W., 1999, Aluminium saturation in I-and S-type granite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fractionated haplogranites. Lithos, 46(3), 535-551 

  2. Cheong, C.-S., Kwon. S.-T. and Park, K.-H., 2000, Pb and Nd isotopic constraints on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02, 207-220. 

  3. Cho, D.-L., 1992, Mineralogical and lithochemical studies on the origin of Phanerozoic granitic rocks in South Kore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89p. 

  4.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41-60. 

  5. Choi, J.B., Jwa, Y.-J., Kim, K.-K. and Hwang, G.-C., 2006, Analyses of Mineral Composition of Geochang granitic rocks for stone specification.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9, 363-381. 

  6.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Earth-Science Reviews, 52(1-3), 175-235 

  7. Hwang, J.H. and Kihm, Y.H., 2005, Geological report of The Ganghwa.Onsuri sheet. Korea Institi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6p. 

  8. Hine, R., Williams, I.S., Chappell, B.W. and White, A.J.R., 1978, Contrasts Between I- and S-Type granitoids of the Kosciusco Batholith.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25, 219-234. 

  9.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8, 523-548. 

  10. Lee, H.-S., 2010, Magmatic and Metamorphic Events from the Early Triassic to the Early Jurassic in the Central Yeongnam Massif, South Korea and their tectoic implications.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73p 

  11. Lee, S.R. and Cho, K.O., 2012,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era, 21, 89-112. 

  12. Lee, Y.I., Choi, T.J., Lim, H.S. and Yuji Orihashi., 2010,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of the Cretaceous Sindong Group, Southeast Korea: Implications for depositional age and Early Cretaceous igneous activity. Island Arc, 19, 647-658. 

  13. Jwa, Y.-J. and Park, J.-M., 1996, Petrology of the igneous rocks in the Goseong area, Gyeongsang basin. I. Major element geochemistry and K-Ar radiometric ag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561-573. 

  14. Jwa, Y.-J., 2002, Geochemistry of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The implications for tectonically controlled granitic magmatism. In Mesozoic sedimentation,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ed. Jin et al.), KIGAM, 1, 157-166 

  15. Jwa, Y.-J., 2004, Possible source rocks of Mesozoic granite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crustal evolution in NE Asia.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95, 181-198. 

  16. Jwa, Y.-J., Yuji Orihashi, Kim, H.-G. and Sung, K.-H., 2008, Zircon U-Pb ages of the Mesozoic granites in the central Yeongnam Massif: Including newly found Cretaceous granites. 63th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ty of Korea (Abstract), Daejeon Convention Center, Oct. 23-24, p.14. 

  17. Kee, W.S., Kim, S.W., Jeong, Y.-J. and Kwon S.-H, 2010, Characteristics of Jurassic Continental Arc Magmatism in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Geology, 118, 305-323. 

  18. Kim, J.-S., 2001, Petrology of enclaves from the granitoids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Emphasis on magma mingling.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10p 

  19. Kim, J.-S., Kim, K.-K., Jwa, Y.-J. and Son, M., 2012,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es and Magma Mixing in South Korea: Their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Tectonic Implications (Multiple Slab Window Mode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1, 203-216. 

  20. Kim, N.-J. and Kim, J.-H., 1970,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 map of Geoch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4p. 

  21. Kim, Y.-J., Park, Y.-S., Choo, S.-H. and Oh, M.-S., 1989, The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Southeastern Zone of the Ogcheon Geosynclinal Belt, Korea(I) with the Igneous Activity in Namweon-Geochang-Sangju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4, 355-370. 

  22. Kwon, S.-T., Cho, D.-L., Lan, C.Y., Shin, K.B., Lee, T., Mertzman, S.A., 1994,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Seoul granitic batholith.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6, 109-127. 

  23. Kwon, S.-T. and Ree, J.H., 1997, A note on the age of the Honam Shear Zon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3, 183-188. 

  24. Le Maitre, R.W., 1976, The chemical variability of some common igneous rocks, Jour. Petro., 17, 589-637. 

  25. Miller, C.F., Stoddard, E.F., Bradfish, L.J. and Dollase, W.A., 1981, Compositon of plutonic muscovite: genetic implications. Canadian Mineralogist, 19, 25-34. 

  26. Park, B.-S. and Lee, Y.-J., 196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 map of Mupu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26p. 

  27. Park, K.-H., Lee, H.-S., Song, Y.-S. and Cheong, C.-S., 2006, Sphene U-Pb ages of the granite-granodiorites from Hamyang, Geochang and Yeongju areas of the Yeongnam massif.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39-48. 

  28. Park, K.-H., 2012, Cyclic igneous activities during the Late Paleozoic to Early Cenozoic period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93-202. 

  29. Park, Y.-S., Kim, Y.-J., Kwon, S.-T. and Park, J.-B., 1993, Rb-Sr isotopic study on igneous rocks form the Geochang-Koryo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4, 32-43. 

  30.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31. Yun, H.S. and Hong, S.S., 2003, Geochemistry of granites in the Southern Gimcheon area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2, 16-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