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도 산방산 용암돔(Lava Dome)의 구성암석에 대한 화산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the Sanbangsan Lava Dome, Jeju Volcanic Field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4, 2019년, pp.307 - 317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남서부에 위치하는 산방산 용암돔에 대하여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방산 용암돔의 형태를 용암분출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화구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계속적인 마그마 주입에 의하여 서서히 밀면서 상승 팽창한 '내부 기원형'에 해당하며, 용암돔 외곽부에 발달하는 테일러스 에이프런은 대부분 침식 제거되고 그 내부의 용암류의 냉각에 의한 수직절리가 발달하고 있는 '낮은 용암돔형'에 해당한다. 산방산을 구성하는 암석을 화산암 TAS 분류도에 적용하여 분류하면, Cox et al.(1979) 분류도에서 일부 벤모리아이트 영역에 도시되나 대부분이 조면암의 영역에 도시되며, 최근 사용하는 Le Maitre et al.(2002)의 분류도와 Zr/TiO2-Nb/Y 분류도에서는 모두 조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암석을 '조면암질 안산암'이라고 설명한 표현은 마땅히 '조면암'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화산암은 노옴 석영을 함유하는 조면암으로 SiO2 59.75-63.46 wt.%의 범위에서 일정한 분화 경향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tr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on the Sanbangsan lava dome, located in the southwest of Jeju Island Volcanic Field. According to the lava ejection method, it is 'an internal primitive form' that is gradually pushed up and expanded by continuous magma inj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

Keyword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암석에 대하여 암석기재, 주성분원소 조성 특성을 파악하여 화산암 분류도에 적용하는 화산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화산지대에 속해있는 것은? 한반도 남해안에서 약 90 km 거리에 위치하는 제주도(濟州島)는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단성화산지대 (monogentic volcanic field)로서 장축의 길이가 약 74 km, 단축의 길이가 32 km에 이르며, 면적은 1,825 km2에 이른다. 제주도 화산지대 전역에는 360여개의 소화산체인 오름이 분포하며, 이들 오름들은 대부분 분석구이나 응회환/응회구, 소순상체, 용암돔 등을 포함한다.
산방산을 구성하는 암석을 설명하는 표현은 어떻게 수정되어야하는가? (2002)의 분류도와 Zr/TiO2-Nb/Y 분류도에서는 모두 조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암석을 '조면암질 안산암'이라고 설명한 표현은 마땅히 '조면암'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산방산 용암돔을 구성하는 화산암은 노옴 석영을 함유하는 조면암으로 SiO2 59.
제주도의 지형적 특성은? 한반도 남해안에서 약 90 km 거리에 위치하는 제주도(濟州島)는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단성화산지대 (monogentic volcanic field)로서 장축의 길이가 약 74 km, 단축의 길이가 32 km에 이르며, 면적은 1,825 km2에 이른다. 제주도 화산지대 전역에는 360여개의 소화산체인 오름이 분포하며, 이들 오름들은 대부분 분석구이나 응회환/응회구, 소순상체, 용암돔 등을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lake, S., 1989, Viscoplastic models of lava domes, IAVCEI Proceddings in Volcanology, Vol.2. Lava flows and domes, Springer Verlag, Heidelberg, 88-126. 

  2. Carmichael, I.S.E., 1965, Trachytes and their feldspar phenocrysts. Mineralogical Magazine and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34, 107-125. 

  3. Chang, K.H., Park, J.B. and Kwon, S.T., 1999, Petrography and mineral chemistry of trachytes in Cheju volcanic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1), 1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ang, K.H., Park, J.B. and Kwon, S.T., 200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chyte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2), 235-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1st edition): Springer Netherlands, 450p. 

  6. Koh, K.W. and Park, J.B., 2010, The study on geology and volcanism in Jeju Island (III): Early lava effusion records in Jeju Island on the basis of $^{40}Ar/^{39}Ar$ absolute ages of lava sample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3(2), 163-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h, K.W., Park, J.B., Kang, B.R., Kim, G.P. and Moon, D.C., 2013, Volcanism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 209-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D.Y., Yun, S.K., Kim, J.Y. and Kim, Y.J., 1987, Quaternary geology of the Jeju Island. Korea Institute Energy & Resources Report 87-29, 233-278. (in Korean) 

  9.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Science Reports of the Tohoku University, Series III, 15, 177-256. 

  10. Lee, M.W., Won, C.K., Lee, D.Y., Park, G.H. and Kim, M.S., 1994,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souther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Geolgical Society of Korea, 30(6), 521-5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 Maitre, R.W., 1989, A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and Glossary of Terms. Recommendations of the IUGS 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Oxford: Blackwell. 

  12. Le Maitre, R.W., 2002.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3. Park, K.H., Cho, D.L. and Kim, J.C., 2000, Geological report of the Moseulpo-Hanlim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earce, J.A., Harris, N.W.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ournal of Petrology, 25, 956-983. 

  15.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ical Geology 20, 325-343. 

  16. Won, C.K., Matsuda, J., Nagao, K., Kim, K.H.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radiometric age of trachytes in Jeju Island, Korea.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9, 2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Wood, D.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 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ti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0, 11-30. 

  18. Yun, S.K., Han, D.S. and Lee, D.Y. (1987) Quaternary geology in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Institute of Energy & Resources Report, KR-86-2-(B)-2, 64p. (in Korean) 

  19.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1s1225a 

  20.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26233 

  21.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7682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