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A Decad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17 - 728  

맹희주 (단국대학교) ,  손연아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e Korean curriculum has also undergone many changes, aiming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changes in science and curriculum, we examined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Professionali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2008년도에 수집되었던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10년이 지난 2018년도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일 자료를 수집하여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통합과학교육관련 교과교육학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10년 전과 후의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질문에서 포함하고 있는 인지의 범위가 유한하지는 않으나 학교급별 교육 환경과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개인적 관심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 있는 자기 보고식 질문으로, 질문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나 신념을 판단하여 통합과학교육의 수행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동기 요인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통합과학을 강조해 왔었음에도 불구하고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었던 2008년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 수준은 ‘보통’ 또는 ‘보통 이하’ 정도였으나, 교육과정상에서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융복합교육의 중요성의 확대로 2018년 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방안 마련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가? 이에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의 지식들을 의미 있게 결합하여 교육하는 창의 융합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MOE, 2015a). 세계 각국은 미래사회에서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방안 마련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전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시대적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점이 바꼈는가? 7차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이 강조된 이후 과학과 교육과정은 많은 변화를 거치며 교과의 통합성이 구현되었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18년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다. 과학교육은 과거 10년 동안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며 교육의 개혁을 통해 융합교육이 강조되어 왔다.
통합과학교육의 적용을 위해 어떤 인식의 변화가 시작됐는가? , 1996; Kim, 2000; Maeng, & Son, 2011)는 통합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통합형 교육과정인 ‘통합과학’을 성공적으로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과학교사로서 책무성에 의존하기보다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발적인 활동과 행동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Maeng, 2018). 또한 ‘통합과학’ 지도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역량 분석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Kwak, Lee, & Le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rake, S. M.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 Fogarty, R., & Stoehr, J. (1995). Integrating curricula with multiple intelligences: Teams, themes and threads. CA: Corwin Press. 

  3. Jacobs, H.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 Kim, J. (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2), 124-139. 

  5. Kim, Y. (2000). The state of the Art of Common Science Teaching in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200-213. 

  6. KOFAC (2018). Report on 2017 teacher training achievement of Integrated Science. Seoul: KOFAC. 

  7. Kwak, Y. (2019).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2), 197-205. 

  8. Kwak, Y., Lee, J., Lee, Y. (2017).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363-371. 

  9. Lee, G., & Hong, H. (2017a). Analysis on the Meaning Change of the Term 'Core Concep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0. 

  10. Lee, G., & Hong, H. (2017b). A Comparison of Integrated Science and Converg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rough Core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6), 981-992. 

  11. Lee, H. (1986). Survey on the Realitie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6(2), 43-52. 

  12. Lee, H., Kim, S., No, G., Son, Y. (1996). Research Articles : A Status on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Integrated Science Teachers in the Departments of Science Education. BIOLOGY EDUCATION, 24(1), 9-24. 

  13. Lee, K., Beak, K., & Lee, S. (2017). Key Competencies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2), 67-94. 

  14. Lee, K., On, J., & Paik, N., (2014). Exploration of curriculum content composition and achievement criteria statement methods. Koera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The 2nd National Curriculum Experts' Forum Proceeding (pp. 31-78). 

  15. Lee, Y., & Son, Y. (2010). A Case Study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ed Science Lesson by Beginning Teacher and Experienc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9(4), 552-566. 

  16. Maeng, H. (2018). Literature and Science Core Issue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Introducing 'Integrated Science' in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2018 Conference Proceeding, 22, 71-88. 

  17. Maeng, H., & Son, Y. (2011).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elementary teachers depend on application experien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601-614. 

  18. Maeng, H., & Son, Y. (2012). A Diagnosis of PCK an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pplication for Integrated Science Instruction Consult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6(2), 539-563. 

  19. MEST (2009). Manual for Science Curriculum(MEST Notification No. 2009-41). 

  20. Mitchner, C. P., Anderson, R. D.(1989). Teacher' perspectiv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STS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4), 351-369. 

  21. MOE (1992a).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1992-11. 

  22. MOE (1992b).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1992-19. 

  23. MOE (1997).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1997-15. 

  24. MOE (2015a).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25. MOE (2015b).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80. 

  26. MOEHRD (200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OEHRD Notification No. 2007-79[supplement 2]. 

  27. Shin, Y., & Choi, B. (2012). A Survey on the Management Statu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in High School Based on 2009 Curriculum Revi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0), 1599-1612. 

  28. Son, Y., Lee, H. (1999). A Theoretical Study to Formulate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19(1), 41-61. 

  29. Song, J., Kang, N., Kwak, Y., Na, J., Bang, D., Son, Y., Son, J., Shim, K., Lee, B., Jeon, H., & Choi, I. (2014). Research on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Integrating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Track.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0. Song, J., Na, J.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School Science Journal, 9(2), 72-84. 

  31. Sung, K., Park, G., & Lim, Y. (2001). A Study on Problems and Propositions of Department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3(1), 315-351. 

  32. Yang, C., Kwak, Y., Han, J., & Noh, T. (2013).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345-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