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Explo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 Novic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in Small Group Scientific Argumentation: Focus on Fram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39 - 753  

김봉준 (화원중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 논변 활동을 생산적으로 프레이밍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프레이밍 관점에서 분석했다. 논변 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초임 교사와 2개 학급 총 52명의 중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논변 활동을 도입하였다. 학생들은 귀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뒤, 고막이 찢어지면 들을 수 없을까에 대한 개인의 논변을 구성하고 논의를 통해 소집단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이 활발한 집단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특징이 유사하였으나 논변 활동의 양상이 달랐던 두 소집단을 초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소집단 논의 과정과 교사 면담, 학생 면담, 학생 추가 면담은 녹화·녹음 되었다. 이를 전사하여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관점에서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공유시킨 후, 서로 다른 의견을 합의해야 한다고 프레이밍하고 있었다. 이는 반응적 교수 실행에서 일치하게 나타났다. 교사는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 사고를 이끌어내고 탐색함으로써 학생 의견을 더욱 명료하게 제시하도록 논의를 아이디어 공유 논의로 프레이밍한 후, 서로 다른 의견의 불일치를 부각시키며 논의를 논쟁적 논의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교사의 생산적인 프레이밍이 학생들의 생산적인 실행을 보장하지는 않았다. 초임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추론을 정교화시킬 때 개념을 활성화시켜주는 데에 한계를 보였으며,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주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학생에게 반응적인 교수를 실행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 novice teachers'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who framed argumentation productively. One novice teacher and two eighth-grad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of the small student groups with active teacher interven...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과학 교실에 익숙해져있는 학생들은 논변활동 과정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는가? 하지만 전통적인 과학 교실에 익숙해져있는 학생들은 논변 활동과 같은 인식적 활동을 경험해본 바가 거의 없다(Crawford, 2005;Jiménez-Aleixandre, Rodriguez, & Duschl, 2000). 그 결과, 논변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은 동료와의 상호작용보다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더욱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González-Howard & McNeill,2019). 따라서 학생들을 논변 활동에 참여하게 할 때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과학적 논변 활동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논변 활동은 과학적 설명, 모델, 예측이나 평가 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여러 사람들이 증거와 이론을 검토하는 사회적 과정이다(Duschl & Osborne, 2002). 학생들은 논변 활동에 참여하면서 증거를 사용하여 주장을 구성하고, 그들의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한다.
교사가 학생에 대하여 반응하는 방식은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가? 반응적 교수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이끌어내고, 학생 사고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반응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Kang & Anderson, 2015). 그리고 교사가 학생에 대하여 반응하는 방식은 학생의 사고를 본질적으로 탐색하는 것과 학생 사고를 활용하여 다른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이끌어 내거나 교사가 직접 학생 사고에 반박하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Dyer & Sherin,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erland, L. K., & Hammer, D. (2012). Framing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1), 68-94. 

  2. Berland, L. K., & Reiser, B. (2009). Making sense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Science Education, 93(1), 26-55. 

  3. Bills, L. (2000). Politeness in teacher-student dialogue: A socio-linguistic analysi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0(2), 40-47. 

  4. Bosser, U., & Lindahl, M. (2019). Students' positioning in the classroom: A study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a socioscientific issue contex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2), 371-390. 

  5. Crawford, T. (2005). Embracing the essence of inquiry: New roles for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39-165. 

  6.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7. Duschl, R.,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1), 39-72. 

  8.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W. (Eds.)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9. Dyer, E. B., & Sherin, M. G. (2016). Instructional reasoning about interpretations of student thinking that supports responsive teaching in secondary mathematics. ZDM: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8(1-2), 69-82. 

  10. Garcia-Mila, M., Gilabert, S., Erduran, S., & Felton, M. (2013). The effect of argumentative task goal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ve discourse. Science Education, 97(4), 497-523. 

  11.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2. Gonzalez-Howard, M., & McNeill, K. (2019). Teachers' framing of argumentation goals: Working together to develop individual versus communal understan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6(6), 821-844. 

  13. Greeno, J. G. (2009). A theory bite on contextualizing, framing, and positioning: A companion to Son and Goldstone. Cognition and Instruction, 27(3), 269-275. 

  14. Grooms, J., Sampson, V., & Enderle, P. (2018). How concept familiarity and experience with scientific argumentation are related to the way groups participate in an episode of 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9), 1264-1286. 

  15. Ha, H., & Kim, H. B. (2017). Exploring responsive teaching's effect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in small group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63-75. 

  16. Ha, H., Lee, Y., & Kim, H. B. (2018). Exploring th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epistemological framing in whole class discussion after small group argumentation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1), 11-26. 

  17. Hammer, D., Goldberg, F., & Fargason, S. (2012). Responsive teaching and the beginnings of energy in a third grade classroom. Review of Science, Mathematics, and ICT Education, 6(1), 51-72. 

  18. Harre, R. & van Langenhove, L. (1999). Introducing positioning theory. In R. Harre & L. van Langenhove (Eds.), Positioning theory: Moral contexts of intentional action (pp. 14-31).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 Jimenez-Aleixandre, M. P., Rodriguez, A. B.,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20. Kang, H., & Anderson, C. W. (2015). Support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ility to attend and respond to student thinking by design. Science Education, 99(5), 863-895. 

  21.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22. Kawasaki, J., & Sandoval, W. (2019). The role of teacher framing in producing coherent NGSS-aligned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30(8), 906-922. 

  23. Lee, C. E., & Kim, H. B. (2016). Understanding the role of wonderment questions related to activation of conceptual resource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Focusing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and positional fram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471-483. 

  24.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25. Levin, D. M., Hammer, D., & Coffey, J. E. (2009). Novice teachers' attention to student think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2), 142-154. 

  26. Lineback, J. E. (2015). The redirection: An indicator of how teachers respond to student think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4(3), 419-460. 

  27. Lynch, S. (1997). Novice teachers' encounter with national science education reform: Entanglements or intelligent interconne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 3-17.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29. Monte-Sano, C., & Budano, C. (2013). Developing and enac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history: An exploration of two novice teachers' growth over three year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2), 171-211. 

  3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1. Noh, T., Kim, Y., Yang, C.,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214-1228. 

  32. Oliveira, A. (2010). Improving teacher questioning in science inquiry discussion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4), 422-453. 

  33. Park, J., & Kim, H. B. (2018). Exploring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in argumentation-based science classroom: Focus on structural and dialogical aspects of argu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1), 69-85. 

  34. Park, S., & Oliver, J.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5. Pierson, J. L.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classroom discourse and mathematics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X. 

  36. Radoff, J., & Hammer, D. (2015). Attention to student framing in responsive teaching. In A. D. Robertson, R. E. Scherr, & D. Hammer (Eds.),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189-202). New York, NY, Routledge. 

  37. Redish, E. F. (2004).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hysics education research:Modeling student thinking. In E. Redish & M. Vicentini (Eds.), Proceedings of the Erico Fermi summer school, course CLVI (pp.1-64). Bologna, Italy: Italian Physical Society. 

  38. Ritchie, S. M. (2002). Student positioning within groups during science activit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 35-54. 

  39. Robertson, A. D., Scherr, R. E., & Hammer, D. (Eds.) (2015).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New York, NY, Routledge. 

  40. Shim, S. Y., Kim, H. B. (2018). Framing negotiation: Dynamics of epistemological and positional framing in small groups during scientific modeling. Science Education, 102(1), 128-152. 

  41. van de Sande, C. C., & Greeno, J. G. (2012). Achieving alignment of perspectival framings in problem-solving discours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1), 1-44. 

  42. Wallace, C., & Kang, N. (2004). An investigation of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inquiry: An examination of competing belief se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936-960. 

  43. Wendell, K., Swenson, J., & Dalvi, T. (2019). Epistemological framing and novice elementary teachers'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aching engineering desig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6(7), 956-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