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질문의 개념적 자원 활성화의 이해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Role of Wonderment Questions Related to Activation of Conceptual Resource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Focusing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and Positional Fram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3, 2016년, pp.471 - 483  

이차은 (서울대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사고 질문에 의한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가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떠한 맥락들이 학생들의 프레이밍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네 명씩 한 소집단을 이루어 배설 기작에 대한 소집단의 설명 모형을 협력적으로 구성하였다. 모형 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질문이 나타나며, 맥락에 따라 프레이밍이 변한 1개의 소집단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분석을 통해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 질문과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확인하였고, 그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추론하여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내에서 모형 구성 활동을 '현상 이해'로, 자신의 위치를 '촉진자'로 프레이밍 한 학생이 사고 질문으로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촉진했지만, '교실 게임'과 '비응답자'로 프레이밍 한 다른 학생들에 의해 상호 작용이 단절되어 개념적 자원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모두 '현상 이해', '촉진자'와 '응답자'로 프레이밍 한 경우 사고 질문을 통해 개념적 자원을 활성화 시킬 수 있었지만, 학생들의 프레이밍이 '교실 게임'과 '수용자'로 전환되었을 때 활성화된 개념적 자원이 소집단의 모형 구성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현상 이해'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촉진자'와 '응답자'로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서로 역동적으로 전환시킨 경우 학생들은 모두 동등한 인식적 권위를 갖고, 사고 질문을 통해 다양한 개념적 자원을 활성화시키며 소집단의 모형을 정교하게 발달시켰다. 이와 같은 모형 구성 과정에서 학생들의 프레이밍은 인지적 어려움의 지속과 정답 제공자 또는 사고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등에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생산적인 모형 구성 활동을 지원하는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and positional framing affect the role of wonderment question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conceptual resources and to investigate what contexts affect students' framings during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Four stud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념에 대한 단일적 관점의 문제는 무엇인가? , 2005; Oh, 2015). 개념에 대한 단일적 관점은 학생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대체되어야 할 학습의 방해 요소로 여기고, 맥락에 따라 학생들이 다른 개념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diSessa, 1993; Hammer, 1996; Hammer & Elby, 2002; Hammer et al., 2005).
현상학적 기초 요소에 대한 예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diSessa(1993)는 지식을 구성하는 세분화된 요소로 ‘현상학적 기초 요소(Phenomenological primitives, p-prims)’를 제안했다. 예를 들어, 그는 ‘움직임에는 힘이 필요하다.’는 오개념을 ‘지속성(maintaining agency)’과 ‘작동성(actuating agency)’ 등의 p-prims로 세분화하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p-prims를 모두 갖고 있고, 맥락에 따라 적절하게 또는 부적절하게 활성화시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Hammer & Elby(2002)는 diSessa의 p-prims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켜 ‘자원(resource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념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측면에서의 학습을 설명하였다.
담화 분석을 통해 무엇을 분석하였는가? 모형 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질문이 나타나며, 맥락에 따라 프레이밍이 변한 1개의 소집단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담화 분석을 통해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 질문과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확인하였고, 그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추론하여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내에서 모형 구성 활동을 '현상 이해'로, 자신의 위치를 '촉진자'로 프레이밍 한 학생이 사고 질문으로 개념적 자원의 활성화를 촉진했지만, '교실 게임'과 '비응답자'로 프레이밍 한 다른 학생들에 의해 상호 작용이 단절되어 개념적 자원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erland, L. K., & Hammer, D. (2012). Framing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1), 68-94. 

  2. Berland, L. K., & Reiser, B. J. (2011). Classroom communities' adaptations of the practic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5(2), 191-216. 

  3. Berland, L. K., Schwarz, C. V., Krist, C., Kenyon, L., Lo, A. S., & Reiser, B. J. (2015). Epistemologies in practice: Making scientific practices meaningful for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oi:10.1002/tea.21257 

  4. Chin, C., & Brown, D. E. (2000). Learning in science: A comparison of deep and surface approach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109-138. 

  5. Chin, C., & Brown, D. E.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s: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6. Chin, C., & Osborne, J. (2008). Students' questions: a potential resource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4(1), 1-39. 

  7.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8. Clement, J. J. (2008). Student/teacher co-construction of visualizable models in large group discussion. In J. J. Clement & M. A. Rea-Ramirez (Eds.),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pp. 11-22). Springer Netherlands. 

  9. diSessa, A. A. (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2-3), 105-225. 

  10. Elby, A., & Hammer, D. (2010). Epistemological resources and framing: A cognitive framework for helping teachers interpret and respond to their students' epistemologies. In L. D. Bendixen & F. C. Feucht (Eds.), Personal epistemology in the classroom: Theory,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pp. 409-43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Engle, R. A., & Conant, F. R. (2002). Guiding principles for fostering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Explaining an emergent argument in a community of learners classroom. Cognition and Instruction, 20(4), 399-483. 

  12. Entwistle, N. J., & Ramsden, P. (1982). Understanding Student Learning, London: Croom Helms: NY: Nichols Publishing Co. 

  13. Gilbert, J. K., Pietrocola, M., Zylbersztajn, A., & Franco, C. (2000). Science and education: Notions of reality, theory and model. In J. K. Gilbert and C. Boulter (Eds.),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pp. 19-40). Springer Netherlands. 

  14.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Y: Harper & Row. 

  15. Greeno, J. G. (2009). A theory bite on contextualizing, framing, and positioning: A companion to Son and Goldstone. Cognition and Instruction, 27(3), 269-275. 

  16. Hammer, D. (1996). More than misconceptions: Multiple perspectives on student knowledge and reasoning, and an appropriate role for education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4(10), 1316-1325. 

  17. Hammer, D. (2004). The variability of student reasoning, lecture 3: manifold cognitive resources. In E. Redish & M. Vicentini (Eds), Proceedings of the Enrico Fermi Summer School, Course CLVI (pp. 321-340). Bologna: Italian Physical Society 

  18.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h, NJ: Erlbaum. 

  19. Hammer, D., Elby, A., Scherr, R. E., & Redish, E. 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P.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p.89-120).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 Harre, R., & van Langenhove, L. (Eds.), (1999). Positioning theory: Moral contexts of international action. London: Wiley-Blackwell. 

  21. Harrison, A. G., & Treagust, D. F. (1996). Secondary students' mental models of atoms and molecules: Implications for teaching chemistry. Science education, 80(5), 509-534. 

  22. Hogan, K., Nastasi, B. K., & Pressley, M. (1999). Discourse 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23. Hutchison, P., & Hammer, D. (2010). Attending to student epistemological framing in a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94(3), 506-524. 

  24. Jimenez-Aleixandre, M. P., Rodriguez, A. B.,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25. Kuhn, D. (1991). The skills of argument.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Lee, Yun, & Kim. (2015). 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and Epistemological Framing of Gifted Science Students a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Their Reponses to Anomalous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3), 419-429. 

  27. Louca, L., Elby, A., Hammer, D., & Kagey, T. (2004). Epistemological resources: Applying a new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science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9(1), 57-68. 

  28. MacLachlan, G., & Reid, I. (1994). Framing and interpretation. Portland, OR: Melboume University Press. 

  29. Maskill, R., & de Jesus, H. P. (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799. 

  30. Oh (2015). A Theoretical Review and Trial Application of the 'Resources-Based View' (RBV) as an Alternative Cognitiv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73-986. 

  31. Passmore, C., Stewart, J., & Cartier, J. (2009). Model-Based Inquiry and School Science: Creating Connec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9(7), 394-402. 

  32. Philips, S. (1972). Participant structur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Warm Springs children in community and classroom. In C. Cazden, D Hymes, & V. John (Eds.), Functions of language in the classroom (pp. 370-394).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3. Radinsky, J., Oliva, S., & Alamar, K. (2010). Camila, the earth, and the sun: Constructing an idea as shared intellectual proper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6), 619-642. 

  34. Rea-Ramirez, M. A., Clement, J., & Nunez-Oviedo, M. C. (2008).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J. J. Clement & M. A. Rea-Ramirez (Eds.),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pp. 23-43). Springer Netherlands. 

  35. Redish, E. F. (2004).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hysics education research: Modeling student thinking. In E. Redish & M. Vicentini (Eds), Proceedings of the Enrico Fermi Summer School, Course CLVI (pp. 1-63). Italian Physical Society: Italy. 

  36. Rosenberg, S., Hammer, D., & Phelan, J. (2006). Multiple epistemological coherences in an eighth-grade discussion of the rock cycl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2), 261-292. 

  37. Scardamalia, M., & Bereiter, C. (1992). Text-based and knowledge based questioning by children. Cognition and instruction, 9(3), 177-199. 

  38.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Shwartz, Y., Hug, B.,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39. Tabak, I., & Baumgartner, E. (2004). The teacher as partner: Exploring participant structures, symmetry, and identity work in scaffold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2(4), 393-429. 

  40. Tannen, D. (1993). Framing in discourse. NY: Oxford University Press. 

  41. Tannen, D., & Wallat, C. (1993). Interactive frames and knowledge schemas in interaction: Examples from a medical examination/interview. In D. Tannen (Ed.), Framing in discourse (pp.57-76).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2. van de Sande, C. C., & Greeno, J. G. (2012). Achieving alignment of perspectival framings in problem-solving discours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1), 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