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 비교
Comparison of Retained Activity Level according to Activity Areas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2, 2019년, pp.1 - 12  

백영림 (두원공과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활동 수준을 확인해보고 일상 활동범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경제 활동을 하는 노인 30명과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 30명, 시설에 거주하면서 활동을 할 수 있는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 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여 활동 보유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상관이 있는 일반적 특성과 일상 생활 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수단적 활동에는 각 활동의 범주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반면 여가활동과 사회활동에서는 세 그룹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여가 활동에서는 세 그룹 모두 휴식하기와 텔레비전 보기를 가장 많이 하고 있어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 활동이 매우 제한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에는 학력, 결혼상태, 종교와 인지 수준이, 일상 활동 특성 중에는 받고 있는 치료와 규칙적인 운동 및 정기 모임 횟수가 노인의 활동 영역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노인의 일상 활동 범주에 따라 활동 보유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적 특성 및 일상 활동 특성이 노인의 활동 영역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 작업치료 시 노인의 일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과 활동보유 수준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중재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적 활동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activity possessed by the daily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daily activities. Methods : We used K-ACS to evaluate 30 older people who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신체 기능뿐만 아니라 그들이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다양한 문맥(context)을 확인해야 하며 활동과 연관된 특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경제 활동을 하는 노인과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 시설에 거주하면서 활동을 하는 노인에 따른 활동 보유 수준을 비교해 보고, 노인의 활동 영역과 상관이 있는 일반적 특성과 일상 생활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일상 활동 범주에 따라 노인이 선호하는 개별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에서는 인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작업치료에서는 인간을 작업(occupation)없이는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할 수 없는 작업적인 존재(occupational being)로 인식하기 때문에(Pollock, 1993), 클라이언트의 작업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작업(occupation)”이란 자신의 역할에 적합하고 그 역할을 실행하기 위해 개인에게 의미가 있는 모든 종류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활동을 말한다(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02).
노인에게 있어 활동은 어떤 장점이있는가? 노인에게 있어 활동이 갖는 의미는 노인 스스로가 정체감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지지하게 되고 활동이 많아질수록 역할에 대한 지지가 커져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게 된다(Pillemer, Moen, Wethington, & Glasgow, 2000). 즉 노인이 신체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은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되어(Funaki, Kaneko, & Okamura, 2005), 노인 스스로가 존재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게 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Jeon, 2011).
작업(occupation)이란? 작업치료에서는 인간을 작업(occupation)없이는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할 수 없는 작업적인 존재(occupational being)로 인식하기 때문에(Pollock, 1993), 클라이언트의 작업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작업(occupation)”이란 자신의 역할에 적합하고 그 역할을 실행하기 위해 개인에게 의미가 있는 모든 종류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활동을 말한다(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02).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의 활동에 대한 연구들은 의미 있는 활동과 삶의 질 관계 규명을 통해 인간의 존재 가치는 자신에게 중요한 활동이 무엇인지, 얼마나 많이 참여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므로(Kielhofner, 1995) 활동이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하고 있다(Nilsson & Fisher,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통계청. (2018). 2018 고령자 통계. Retrieved June 27, 2019,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Albert, S. M., Bear-Lehman, J., & Burkhardt, A. (2009). Lifestyle-adjusted function: Variation beyond BADL and IADL competencies. Gerontologist, 49(6), 767-77. doi: 10.1093/geront/gnp064. 

  3. Allen, C. K. (1985). Occupational therapy of psychiatric diseases: Measurement and management to cognitive disability. Boston: Little, Brown. 

  4. Allen, C. K., Austin, S. L., David, S. K., Earhart, C. A., McCraith, D. B., & Riska-Williams, L. (2007). Manual for the ACLS and LACLS-5. Camarillo, CA: ACLS and LACLS Committee. 

  5.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6), 609-639. 

  6. Chan, C. L., Ray, S., & Trudeau, S. (2001). Th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Cantonese version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8(4), 287-300. doi: 10.1002/oti.152 

  7. Choi, J. S., Lim, J. S., & Lee, M. H.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culture change of nursing homes in South Ko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4, 61-84. 

  8. F?nge, A., & Iwarsson, S. (2005). Changes in ADL dependence and aspects of usability following housing adaptation: A longitudinal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3), 296-304. 

  9. Fleming, R., & Purandare, N. (2010). Long-term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2(7), 1084-1096. 

  10. Funaki, Y., Kaneko, F., & Okamura, H. (2005).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persons in group homes. Scandinavian Journal Occupational Therapy, 12(1), 4-9. doi:10.1080/11038120510031725. 

  11. Hakansson, C., & Matuska, K. M. (2010). How life balance is perceived by swedish women recovering from a stress-related disorder: A validation of the life balance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7(2), 112-119. 

  12. Ham, C. H., & Oh, H. Y.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i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on the social relation of the participants: Focused on Jeonnam Provinc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48, 229-250. 

  13. Hooyman, N. R., & Kiyak, H. A. (2005). Social Gerontology.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14. Jeon, B. J.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ly's life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ngkyunkwan, Seoul. 

  15. Jeong, W. M., Lee, D. Y., Ryu, S. H., Hwang, Y. J., Kim, S. G., Choo, I. H., & Kim, K. W. (2008).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1-17. 

  16. Kielhofner, G. (1995).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7. Kim, J. Y. (2018). The effect of active senior's social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ir satisfaction of life.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ai Chai, Daejeon. 

  18. Kim, W. H., & Park, E. Y. (2010). Physcial therapy research methodology. Seoul: Jungdam media. 

  19. Ko, H. E., Oh, M. H., Baek, J. Y., & Lee, J.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unction and activities and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 Based on IC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4), 15-28. 

  20. Lee, B. R., & Lee, J. K. (201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 adults.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1(2), 351-377. 

  21. Lee, G. H., & Lee, H. J. (2016). A study on developmental direction of leisure activity for elderly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0(1), 7-16. 

  22. Lee, H. J., & Song, E. H. (2012). The impact of meaning of life, family support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successful aging among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Focused on gender.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8, 233-252. 

  23. Lee, S. H. (2009).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Yensei, Wonju. 

  24. Lee, S. H. (2012). The retained activity level of the community dwelling healthy group and stroke group aged more than 55 years: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3), 5337-5344. 

  25. Lee, T. Y., Jung, M. Y., Chung, B. I., Yoo, E. Y., Chang, S. J., & Nam, E. W. (2009).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1), 1-15. 

  26. Manacy, P. (2008). Later life social engagement and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State, Tallahassee. 

  27. Newman, M. (1987). Cognitive dis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c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28. Nilsson, I., & Fisher, A. G. (2006). Evaluation leisure activities in the oldest old. Scandinavian Journal Occupational Therapy, 13(1), 31-37. doi:10.1080/11038120500360655 

  29. Packer, T. L., Boshoff, K., & DeJonge, D. (2008). Development of the activity card sort-Australia.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5(3), 199-206. doi: 10.1111/j.1440-1630.2007.00686.x. 

  30. Paik, Y. R., & Lee, J. S. (2013).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research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3), 61-74. 

  31. Pillemer, K., Moen, P., Wethington, E., & Glasgow, N. (2000). Social integra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The Johns Jopins University Press. 

  32. Pollock, N. (1993). Client-centered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4), 298-301. 

  33. Shin, S. H., & Park, J. S. (2017).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9(2), 113-124. 

  34. Wilkie, R., Peat, G., Thomas, E., & Croft, P. (2006). The prevalence of person-perceived participation restri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research, 15(9), 1471-1479. 

  35. Young, M. H., Cha, S. M., & Yang, Y. A. (2012). A surve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Busan are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2), 39-4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