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하위요소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Declines in the Components of Episodic Memory by Normal Aging Focusing on Object, Spatial Location, Temporal Order Memor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2, 2019년, pp.13 - 22  

허서윤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  박진혁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저하 양상을 일화기억의 하위요소인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의 건강한 젊은 성인과 노인 7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일화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인지과제를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각각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사진 10장을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진 10장을 본 이후에 사진 속의 사물의 종류, 사물의 위치, 사진이 제시된 순서를 물어보는 과정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각 하위검사의 정답률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사물과 공간위치 기억은 정상노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시간순서 기억은 정상노화 과정 속에서 큰 폭으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간순서 기억은 40대 이상부터 20~30대에 비해 유의한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80대 이후에는 사물 기억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상 노화 과정에 따라 시간순서 기억이 가장 먼저 감소되고 사물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의 하위요소별 저하 양상을 제시하였다. 사물 기억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신경심리학적 검사들을 통해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던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저하 양상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상노화에 따른 일화기억의 저하에서 벗어난 일화기억의 손상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정상노인에게 시행되는 예방적인 인지 중재에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할 근거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technical research is to determine decline of episodic memory by normal aging focucing on object, spatial location, and temporal order memory. Methods : We allocated seventy-seven of healthy adults from twenty to eighty years old, and performed computer-based cogni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학적인 과제를 사용하여 20대부터 80대까지 젊은 성인과 노인의 일화 기억을 평가하여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 기억 하위요소별 저하 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라 사물 기억보다는 장소와 시간 정보에 대한 기억이 더크게 저하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학적인 과제를 사용하여 20대부터 80대까지 젊은 성인과 노인의 일화 기억을 평가하여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 기억 하위요소별 저하 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라 사물 기억보다는 장소와 시간 정보에 대한 기억이 더크게 저하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은 무엇인가?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은 개인이 경험한 사건의 내용을 시간과 장소의 맥락 속에서 떠올리는 것을 의미하며 사물, 장소, 시간 정보에 대한 기억으로 구성된다(Tulving, 1993).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일화기억의 등록 및 인출과정은 안쪽관자엽과 이마앞엽 기능이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Eichenbaum, 2017; Piolino et al.
노인이 젊은 성인에 비해 일화기억이 저하를 보이는 이유는? 한편, 정상노화 과정은 해부학적인 구조의 변화와 뇌기능 감퇴를 초래하는데(Wang, Daselaar, & Cabeza, 2017), 이로 인해 노인은 젊은 성인에 비해 일화기억이 저하를 보이기도 한다(Kessels, Boekhorst, & Postma, 2007).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의 저하를 살펴본 연구의 대부분은 일정한 개수의 단어를 불러주고 시간이 지난 뒤 다시 회상하는 방식으로 사물에 대한 기억만을 주로 평가하고 있었다(Hoffman, Beran, & Washburn, 2009).
대상자가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일화기억의 하위요소를 한 번에 모두 평가하는 방식의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평가방법은 실제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일화기억의 양상을 최대한 가깝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lancher, Tirad, Gyselinck, Nicolas, & Piolino, 2012). 하지만 이런 방식을 가진 일화기억의 평가는 치매 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화기억 저하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에서 대부분 사용된 것으로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의 저하를 관찰한 연구는 제한적이다(Plancher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gel, L., Fay, S., Bouazzaoui, B., & Isingrini, M. (2010).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modulate age effects on the ERP correlates of retrieval success. Neuropsychologia 48, 3540-3553. 

  2. Babb, S. J., & Johnson, R. M. (2011). Object, spatial, and temporal memory: A behavioral analysis of visual scenes using a what, where, and when paradigm. Current Psychology Letters, 26(2), 1-12. 

  3. Bellassen, V., Igloi, K., de Souza, L. C., Dubois, B., & Rondi-Reig, L. (2012). Temporal order memory assessed during spatiotemporal navigation as a behavioral cognitive marker for differential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32, 1942-1952. 

  4. Brickman, A. M., & Stern, Y. (2009). Aging and memory in humans. In Squire, L. R. (Ed.), Encyclopedia of Neuroscience (ed., pp.175-180). Oxford: Academic Press. 

  5. Burgess, N., Maguire, E. A., & O’Keefe, J. (2002). The human hippocampus and spatial and episodic memory. Neuron, 35(4), 625-641. 

  6. Cabeza, R., Anderson, N. D., Houle, S., Mangels, J. A., & Nyberg, L. (2000). Age-related differences in neural activity during item and temporal-order memory retrieval: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2(1), 197-206. 

  7. Eichenbaum, H. (2017). Prefrontal-hippocampal interactions in episodic memor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8, 547-558. 

  8. Fjell, A. M., Walhovd, K. B., Fennema-Notestine, C., McEvoy, L. K., Hagler, D. J., Holland, D., ... & Dale, A. M. (2009). One-year brain atrophy evident in healthy aging. Journal of Neuroscience, 29(48), 15223-15231. 

  9. Grill-Spector, K., Kourtzi, Z., & Kanwisher, N. (2001). The lateral occipital complex and its role in object recognition. Vision Research, 41(10-11), 1409-1422. 

  10. Hoffman, M. L., Beran, M. J., & Washburn, D. A. (2009). Memory for “what”, “where”, and “when” information in rhesus monkeys (Macaca mulatta).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imal Behavior Processes, 35(2), 143-152. 

  11. Kennedy, K. M., Rodrigue, K. M., Bischof, G. N., Hebrank, A. C., Reuter-Lorenz, P. A., & Park, D. C. (2015). Age trajectories of functional activation under conditions of low and high processing demands: An adult lifespan fMRI study of the aging brain. Neuroimage, 104, 21-34. 

  12. Kessels, R. P., Hobbel, D., & Postma, A. (2007). Aging, context memory and binding: A comparison of “what, where, and when” in younger and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17(6), 795-810. 

  13. Kramer, J. H., Rosen, H. J., Du, A. T., Schuff, N., Hollnagel, C., Weiner, M. W., ... Delis, D. C. (2005). Dissociations in hippocampal and frontal contributions to episodic memory performance. Neuropsychology, 19, 799-805. 

  14. Marlon, P., Rolf-Dieter, S., Patrick, L., & Thomas, L. (2018). Ecologically relevant episodic memory assessment indicates an attenuated age-related memory loss: A virtual reality study. Neuropsychology, 32(6), 680-689. 

  15. Park, J. H., & Heo, S. Y. (2018). The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episodic memory training on memory and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7(2), 5-25. 

  16. Pflueger, M. O., Stieglitz, R. D., Lemoine, P., & Leyhe, T. (2018). Ecologically relevant episodic memory assessment indicates an attenuated age-related memory loss - A virtual reality study. Neuropsychology, 32(6), 680-689. 

  17. Piolino, P., Coste, C., Martinelli, P., Mace, A., Quinette, P., Guillery-Girard, B., ... Belleville, S. (2010). Reduced specificity of autobiographical memory and aging: Do the executive and feature binding functions of working memory have a role? Neuropsychologia, 48, 429-440. 

  18. Plancher, G., Tirad, A., Gyselinck, V., Nicolas, S., & Piolino, P. (2012). Using virtual reality to characterize episodic memory profiles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Influence of active and passive encoding. Neuropsychologia, 50(5), 592-602. 

  19. Plancher, G., Berra, J., Orriols, E., & Piolino, P. (2013). The influence of action on episodic memory: A virtual reality study.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6(5), 895-909. 

  20. Plancher, G., Gyselinck, V., Nicolas, S., & Piolino, P. (2010). Age effect on components of episodic memory and feature binding: A virtual reality study. Neuropsychology, 24(3), 379-390. 

  21. Raz, N., & Rodrigue, K. M. (2006). Differential aging of the brain: Patterns, cognitive correlates and modifier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30(6), 730-748. 

  22. Reid, L. M., & Maclullich, A. M. (2006).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peopl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2(5-6), 471-485. 

  23. Reijnders, J., van Heugten, C., & van Boxtel, M. (2013). Cognitive interventions in healthy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geing Research Reviews, 12, 263-275. 

  24. Sasaki, T., Leutgeb, S., & Leutgeb, J. K. (2015). Spatial and memory circuits in the medial entorhinal cortex.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32, 16-23. 

  25. Scarf, D., Boden, H., Labuschagne, L. G., Gross, J., & Hayne, H. (2017). "What' and "where" was when? Memory for the temporal order of episodic events i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biology, 59(8), 1039-1045. 

  26. Tulving, E. (1993). What is episodic mem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 67-70. 

  27. Wang, W. C., Daselaar, S. M., & Cabeza, R. (2017). Episodic memory decline and healthy aging. In Eichenbaum, H. (Eds.), Memory Systems, Vol. 3 of Learning and Memory: A Comprehensive References (2nd ed., pp.475-497). Oxford: Academic Press.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